• 제목/요약/키워드: The women who have escaped from prostitu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성매매 피해 여성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정신건강-탈 성매매 후 추적 연구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Mental Health in Female Victims by Sex Trade : A Follow-Up Study in Shelter Samples)

  • 김성철;이준우;송정민;전태연;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38
    • /
    • 2006
  • Objectives : Since prostitution is multitraumatic phenomena, it is known that most women in prostitution hav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other mental illness. In Korea, new anti-prostitution law launched in the year of 2004 imposes protecting prostituted victims at government-supported shel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ntal symptoms, especially PTSD features of women who escaped from prostitution with those of control subjects. Methods : We assessed 113 ex-prostituted women who live in shelter for 8 months on the average and 65 normal control subjects. Demographic data, questionnaire for sleep, physical illness, smoking, alcohol and drug use, Stress Response Inventory, Davidson Trauma Scale (DTS),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were used. Results : Ex-prostituted women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DTS, IES-R, stress related responses, sleep problems, smoking problems, and alcohol problems than control group. Age and duration of sex trade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r frequency of PTSD symptoms. The degree of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sleep problems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TSD symptom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mental symptoms did not disappear even after women escaped from prostitution.

  • PDF

탈성매매 여성들의 생애사 연구 : 그 끝없는 탈주에 대하여 (A Study on the Life History of Post-prostitute Women: Episodes of Endless Escapes from the Public)

  • 김영숙;이근무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3호
    • /
    • pp.5-30
    • /
    • 2008
  • 본 연구는 성매매에서 탈출한 여성들의 적응과정을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그들의 사회적응을 도울 수 있는 실천적 개입 프로그램 마련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는 성매매에서 탈출한 7명의 여성이 참여하였고, 이들은 눈덩이표집방법으로 선정했다. 수집된 자료는 Mandelbaum이 제안한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의 3가지 개념틀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삶의 영역에서는 가정, 종교, 생업터전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은 "나와 남의 허물을 떠맡는 실존의 재구성이 이루어지는 장"으로 분석 되었다. 생업터전은 "성매매 재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견제수단"으로 분석되었다. 종교는 "자신의 잠재력과 고유성을 발현할 수 있는 질적인 전이의 현상학적 장"으로 분석되었다. 전환점 분석에서는 하나의 공통된 주제를 발견하였는데 이를 "몸의 저항을 통한 일상적 권력의 무력화"로 분석했다. 적응분석에서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공통주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스스로 찍은 낙인을 안고 살아가기", "익명의 존재로 살며 도망가기", "사회적 지위 이동을 통한 과거의 수치 씻어내기"로 분석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공익기금의 조성과 사후 지지 서비스의 확대를 제언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