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three elements of Theatr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연극의 3요소가 없는 연극에 대한 연구 : 공연과 실험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atre without its Three Elements : Focused on Performance and Experiment)

  • 박이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83-97
    • /
    • 2021
  • 본 연구는 연극의 3요소가 없는 연극에 대한 호기심으로 출발하여 공연과 실험을 통해 가능성을 밝혀 보고 각 요소의 확장과 동시에 새로운 형식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코로나19의 등장 이후, 연극은 현장성이라는 고유한 특성에 따라 비대면, 언택트 소통의 큰 한계에 부딪혀있다.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연극의 생존을 위해서는 기존의 공연 방식을 점검하고, 미래로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형식에 대한 고민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더 본질적인 연극에 대한 탐구로 시작한 '연극의 3요소가 없는 연극 실험'을 중심으로 3요소(배우, 관객, 희곡)를 거시적인 관점으로 정리해본다. 또 공연과 실험을 통하여 이 요소들이 공연에 미치는 영향과 요소들의 제거에도 연극이 가능한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연구는 한 번의 공연과 두 번의 실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획자, 실험자의 인터뷰와 진행 내용 및 실험 참여자의 설문을 바탕으로 한다.

연극 무대 공간디자인에 대한 수사학적 연구 - 세익스피어 작 "리어왕"의 무대 공간디자인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hetorical Expression of Scene Design in Theatre - Focused on the Case Study of the Scene Design of King Lear -)

  • 안주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21-29
    • /
    • 2007
  • The communication in a play has a dual structure, which is composed of the communications within a play and in a theatre spac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scene design that creates the background or the theme of a play and communicates theme of a play to the audience. A scene design of a theatre has meta-linguistic aspects, which is the image or mood as the theme of a play. The scene design is composed of various design elements of space and objects as the properties of a play. Design elements and the objects are the design languages in various form; plane, three-dimensional, multi-dimensional form. These design languages have the significant meanings as signs like human language. The play works chooses the rhetorical expression to arouse the audience's sympathy. The scene design is completed with rhetorical expression for communication in theatre too. This research defines the category of meanings that design elements of scene design can create and the rhetorical expression of the scene design language. King Lear directed by Robert G. Anderson was analyzed with the category of design elements as a sign and the pattern of the rhetorical expression. The scene design for a play is completed effectively by the rhetorical expression of design elements as the design language for th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in theatre.

연극 무대 공간 디자인의 수사학적 연구 - 세익스피어 작 "리어왕"의 무대 공간 디자인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hetorical Expression of Scene Design in Theatre - Focused on the Analysis of Scene Design of "King Lear" -)

  • 안주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6-180
    • /
    • 2007
  • The stage space in theatre for the performance of a play requires two aspects of the physical space for a play and the image as the background or the theme of a pla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scene design that creates the background or the theme of a play and communicates it to the audience. The scene design is composed of various design elements of space and objects as the properties of a play. Design elements and the objects are the design languages in various form; plane, three-dimensional, multi-dimensional form. These design language have the significant meaning as a sign like human language. The scene design is completed with rhetorical expression for communication in theatre. This research defines the category of meaning that design elements of scene design can create and the rhetorical expression of the scene design language. King Lear directed by Robert G. Anderson was analyzed with the category of design elements as a sign and the pattern of the rhetorical expression. The scene design for a play is completed effectively by the rhetorical expression of design elements as the design language for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in theatre.

  • PDF

영화 도그빌 속의 연극성에 대한 고찰 (Review about the Theatrical Style in Film Dogville)

  • 류지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03-114
    • /
    • 2008
  • 본 논문은 영화 Dogville 속에 나타난 연극성에 관하여, 연극적인 시선으로 소고 했다. 특히 전반적인 구성과 형식에 있어서 Brecht 의 서사연극(Epic theatre) 에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첫째, Dogville 은 영화 서사가 진행되는 장소 자체를 연극이 한 공간 에서 진행 되는 것처럼 한정된 공간을 제시 한다. 두 번째로 미장센적인 요소에 있어서 영화에서 공간적 분열을 상징하는 연극무대 장치를 사용 했다는 것이다. 이는 변증법적으로 인물들의 소외감과 충돌하게 되는 인간 삶의 단편을 표현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영화는 연극적인 마임과 비디제시스적 음향효과를 사용하였다는 것이다. 마임동작은 관객이 배우의 연기에 더욱 집중하게 하는 효과를 주며 지루 한 듯 흘러가는 영화의 서사에 탄력을 준다. 이렇 듯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은 연극에서 사용되는 여러 장치들을 영화에 삽입함으로써 관객에게 극에 대해 감정적인 동화 없이, 좀 더 많은 상상력을 요구하고, 배우의 연기와 영화의 서사에 집중 할 수 있게 하는 힘을 불어넣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