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조선후기 유물에 나타난 십장생문의 조형성 분석 - 자수품을 중심으로 -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Ten Traditional Longevity on Relics of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 With a Focus on Embroideries -)

  • 이하정;이상은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1-139
    • /
    • 2010
  • The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are represented as 10 which means perfection in oriental philosophy, the sun, mountain, water, cloud, rock, pine tree, elixir plant, tortoise, crane and deer. each subjects symbolizing longevity had used in isolation. unlike China and Japan,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became a fixed form and was widely used in paintings, household effects and clothes in Korea. therefore, It will be a meaningful study how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s one of subjects in painting, changed into a pattern on clothes.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was affected by various philosophies and religion. especially, it laid emphasis on order by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the order was applied to arrange each subjects and use colors carefully. the sun colored with red and was on the upper. the pine tree colored with green meaned tree and was on the left. the earth and the mountain meaned the soil and was on the center. the rock meaned the iron and was on the right. the water meaned the water and was on the botto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mbroideries like spectacle cases, spoon cases and pouches. the scope of study was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re are more relics in the Joseon Dynasty than any other times.

  • PDF

자수 기법을 응용한 컴퓨터 텍스타일 문양 디자인 연구 - 조선시대 십장생 자수 문양을 중심으로 - (A study of Computer Textile Pattern design Development with Korean Embroidery Techniques - Using The Ten Longevity Symbols Embroidery of Chosun Period -)

  • 박서린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9-47
    • /
    • 2008
  • Korean embroidery is the long historical industrial arts of real life and has handed down Korean sentiment up to now. Korean traditional embroidered pattern is designed to wish someone's health and luck, who uses the embroidery on the clothes and the goods in real life. Especially, the ten longevity symbols' design is represented as 10 which means perfection in oriental philosophy, the sun, mountain, cloud, water, crane, rock, turtle, pine tree, the elixir of life and deer; these 10 symbols show how ancient Korean believe and wish perpetual youth. However, fiber material used embroidery relic has difficulty in preserving for long period compared to other relic descended from historical events for long time and their preserved state isn't so good owing to have been used directly in the real life. Therefore, it is essentially embossed to preserve the embroidery relic and pattern, and make DB for the data. With preservation of the pictures about the handicraft, it's necessary to preserve embroidery technique and make DB through digital imagination. Through the process, we can apply Korean embroidery image to cul-duct package and digital image related field, and it will be helpful to make the tradition popular. In this study, through the research for the embroidery technique applied pattern on the embroidery relic of ten longevity symbols, we'll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fication of Korean embroidery image and then develop a worldwide Korean image.

  • PDF

조선 말기 이후 첨모직 깔개에 관한 연구 (Study on Pile Cloth Rugs Produced after the Late Joseon Period)

  • 박윤미;오준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4호
    • /
    • pp.84-107
    • /
    • 2018
  • 첨모직은 표면에 짧은 파일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선시대 후기에는 첨모직 깔개를 지칭하는 용어로 채담이 사용되었으며, 20세기 초에는 융전과 단통, 양탄자 등으로 불리었다. 조선 말기 이후의 여러 문헌이나 신문기사, 그리고 각종 사진자료를 통해 첨모직 깔개가 왕실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사용하였고 당시 국내에서 제작하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말기 이후의 첨모직 깔개 6점을 실물 조사하였는데 5점은 페르시아매듭의 컷파일이며 1점은 루프파일의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컷파일의 깔개는 크기가 가로 72~98 ${\times}$ 세로 150~156cm의 직사각형이며, 나비, 사슴, 호랑이, 그리고 십장생 등의 주 무늬를 중앙에 배치하고 卍자를 가장자리에 배치하였다. 컷파일의 소재는 지경사는 모두 면사이며 지위사는 3점은 면사, 1점은 모사, 그리고 1점은 면사와 비스코스레이온의 혼섬사이다. 지위사는 4점이 S꼬임의 실 여러 올을 합쳐 Z방향으로 합사한 실을 사용했다. 파일위사는 4~6가지의 색이 사용되었는데 홍색을 제외하고 모두 염색을 하지 않은 자연색 그대로의 모섬유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S나 Z꼬임의 모사를 2올 이상 합하여 반대방향으로 꼬임을 주었는데 굵기에 맞춰 올수를 합하였다. 깔개의 위아래 가장자리는 위사를 6올 이상 넣고 남은 지경사는 몇 올씩을 한데 묶어서 정리하였으며, 좌우 가장자리는 3올 이상의 면사를 가운데 놓고 수평으로 감아 마치 둥근 막대처럼 만들며, 가장자리에서 2~3번째 지경사를 징거서 튼튼하게 고정하였다. 루프파일은 경사방향으로 고리를 만든 경첨모직이며 지경사와 지위사는 면사, 파일경사는 모사로 추정된다. 소재의 성분 분석이 가능했던 깔개는 3점으로 파일위사는 판단이 불명한 것을 제외하고 염소와 비미종 양으로 판명되어 첨모직 깔개에 다양한 종류의 동물털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6점의 깔개는 1800년대 말부터 1900년대 초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깔개의 정확한 제작지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당시 국내에서 첨모직 깔개를 제작하고 있다는 문헌기록과 깔개의 문양의 조형성을 고려한다면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