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port-opening era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9초

개항기 일본으로부터 수입된 의복의 종류와 무역 특성 (Types and Trade Characteristics of Clothes Imported from Japan during the Port-Opening Era)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890-909
    • /
    • 2022
  •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clothing imported from Japan during the port-opening era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import trade related to these clothing products. This is a literature study based on trade statistics data and books on Western clothing published in Japan during the Meiji perio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clothing products imported from Japan were divided into 6 types: 1) clothing, 2) undergarments, 3) shirts, 4) waterproof coats, 5) European-style clothing, and 6) nightgowns. "Clothing" is a unified name for any kind of garment, appearing in import records only from 1877 to 1884. Undergarments and shirts were imported from 1884. Waterproof coats were imported only in 1886 and 1898. European-style clothing and nightgowns were imported from 1902. In the total import of clothes, the proportion of clothing was the highest (48.0%), followed by undergarments (41.3%) and shirts (10.6%), while the ratio of nightgowns and raincoats was almost 0%. During the port-opening period, the change in the import value of clothes did not show a continuous increase, but rather showed a large stepwise increase over the course of several years.

개항기 일본으로부터 수입된 직물 상품의 종류와 무역 특성 -면직물, 견직물, 모직물을 중심으로- (Types and Trade Characteristics of Textile Products Imported from Japan during the Port-Opening Era -Focusing on Cotton, Silk, and Woollen Cloths-)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70-787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of cotton, silk, and woollen products imported from Japan during the port-opening period and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import trade related to these textile product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Japanese trade statistics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betwee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Several key findings were made from these data. First, at least 24 types of cotton fabrics, 13 silk fabrics, and 16 woollen fabrics imported from Japan were identified. Several types of weaves that can be found in the present day were also identified. Second, the total import of textiles during the port-opening period made up 33.7% of the total imports from Japan, indicating that textiles were an important aspect of import trade with Japan. The value of textile imports from Japan tended to increase overall during this time. Cotton fabrics and silk fabric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continuously, while woollen fabrics showed a trend of gradual increase over repeating periods of increase and decrease. It is apparent from examining the ratio of Japanese and foreign products that cotton fabrics, silk fabrics, and woollen fabrics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전(前)자본주의 분배체계의 해체 - 환곡을 중심으로 1910년 강제병탄까지 - (The Dissolution of Pre-capitalistic Distributional System - From 1876 to 1910 -)

  • 윤홍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2호
    • /
    • pp.79-105
    • /
    • 2016
  • 본 연구는 1876년 개항을 전후한 시기부터 1910년까지의 분배체계를 검토하면서 전자본주의 사회의 분배체계를 정치와 경제의 연관성 하에서 이해하려고 했다. 너무나 당연한 결론이지만 분배체계는 한 사회의 정치적 경제적 특성과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명제가 전자본주의 사회에서도 여전히 통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경제적 변화에 조응하지 못하는 분배체계는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축복이 아니라 재앙"이라는 사실을 환곡이 세금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통해서 확인했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몇 가지 중요한 함의와 질문을 도출해 냈다. 하나는 일제강점기 이전 조선사회의 분배체계에 대한 새로운 서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른 하나는 대부분의 사회복지 문헌들에서 근대이전의 조선의 분배제도로 '계'와 '향약' 등 민간에서 이루어진 자조적 제도를 언급하지만 이는 조선사회의 분배체계, 특히 조선후기 분배체계의 특성을 적확(的確)하게 설명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제도가 진공상태에서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조선이 자본주의 세계체계에 편입된 개항을 전후한 조선후기의 분배체계에 대한 이해 현재 한국사회의 분배체계(복지체제)를 이해하는 출발점으로 다시 복원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PDF

20세기 초 한성부 종로 주변 시전의 배치구조와 공간 변화 (Changes in Layout Structure and Space in the Vicinity of Jongno in Hanseong-bu(漢城府) in the Early 20th Century)

  • 정수인;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5호
    • /
    • pp.17-28
    • /
    • 2021
  • The Sijeon (Licensed Markets) legally permitted by the government along the Jongno and the Namdaemunro Avenues played a central commercial role in Hanyang. However,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in the late Joseon era, the Licensed Markets suffered a blow and declin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product of civilization and the appearance of foreign merchants. Although the Licensed Markets, which have been maintained without major changes for a long time,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the exact location has not been still determined, and researches until now has remained limited for such that. In this study, based on the 1912 land survey records, the location of the Licensed Markets pre-and post- 1910 is identified, and the spatial change of the dismantling process is investigated.

동북아물류협력에 있어 효율적 Cabotage운용에 대한 연구 (Studies on Effective Management of Cabotage in Maritime Co-operation of Northeast Region)

  • 김진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5-93
    • /
    • 2007
  • 현재 국제경제와 무역은 자유화의 물결속에 동시대의 의미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해운과 물류역영 등 해사분야에서의 자유로운 추세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해운산업의 특징이 국제성이라는 사실을 언급한다 할지라도 이 분야에 대한 일련의 폐쇄적 시장구조가 지속되어져 오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해운과 물류영역에 대한 개방과 협력은 각국의 이해관계에 관련된 민감한 사안이라서 쉽게 접근하기가 어려운 분야이다. 하지만 전술한 개방적 경제사조와 이의 해운물류영역에 대한 폭넓은 적용을 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러한 차원에서 카보타지 문제가 동북아 역내 해운과 물류영역의 협력과제로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고 보여진다. 본고에서는 카보타지에 관련된 국가간 협력과 이해를 전향적으로 풀어갈 수 있는 문제접근을 시도하려했다. 특히 우리보다 앞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했던 유럽과 미주지역의 예를 교훈 삼아 동북아지역에서의 효율적 카보타지 운용방향에 대한 문제해결 노력을 중시했다. 결론적으로 동북아 역내국가들이 상호협력과 문제해결 의지를 얼마나 갖고 카보타지 문제에 접근하는가 하는 것과, 또한 자국의 이해관계자들을 얼마나 잘 설득하고, 동시에 기술적 문제, 노동 및 환경문제 등을 함께 생각하는가 하는 문제가 중요한 것 같다.

  • PDF

시대적 배경과 주거건축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Residential Building by Time Period)

  • 전범우;최문규;이낙운
    • 산업기술연구
    • /
    • 제30권A호
    • /
    • pp.59-68
    • /
    • 2010
  •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hanges of residential building characteristics in period class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uring Joseon dynasty, it is judged that the social changes in the ideology of ruling classe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tyle. The mid period and latter period of Joseon, it is changed toward horizontal and practical residential layout in place of confucian courtesy based style. During port opening period,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tyle was remodeled through addition of glass panes to inter-chamber floor in tune with the influx of modern materials and ideologies like glass or cement etc. The Japanese ruling era of Korea period, the modern housing style of room separation type was settled.

  • PDF

근대 전환기 한국 '工藝(공예)' 용어의 쓰임과 의미 변화에 대한 고찰 (A Literary Study on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Gongye During Korea's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 노유니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3호
    • /
    • pp.192-203
    • /
    • 2021
  • 이 글에서는 근대 전환기 한국에서 '工藝(공예)'라는 용어의 의미가 변화하는 과정을 문헌을 통해 고찰한다. 근대이전의 용례는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개항 후 중국과 일본을 통해 번역됐을 때 달라지는 각각의 의미는 1882년 조선과 미국이 체결한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 외에 『승정원일기』, 『각사등록』 등의 사료와 통감부 문서(1904~1910년), 주한일본공사관 기록(1894~1908년), 1910년 이전에 발간된 잡지와 신문을 대상으로 '공예'라는 용어가 어떻게 쓰였고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공예'의 의미는 개항 이후 각기 다른 분야의 사람들이 종사하는 일·직분이라는 넓은 범위에서 제조업·공업과 같은 산업의 한 분야를 나타내는 범위로 좁혀진다. 새로운 의미로 쓰인 '공예'라는 단어는 동아시아 국가 중에 가장 먼저 근대화에 성공한 일본을 본받아 서구의 문물을 수용하고 산업을 일으키자는 문맥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개항과 더불어 산업화가 국가적 과제로 부상하면서 새로운 개념을 표현할 용어가 필요해지자 일본이 서양의 개념을 번역하여 조어한 한자어를 기표 그대로 수입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공예'는 '공업'과 서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혼용되었다. 그러나 한일합병 후 총독부의 문화정책을 통해 미술로서의 개념이 부여되면서 '공예'는 공업으로부터 분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어와 개념의 성립을 살펴보는 작업은 한국 공예가 안고 있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부산측후소(釜山測候所)를 중심으로 본 근대기 측후소 건축의 설치과정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Observatory Construction, Centering on the Busan Meteorological Observatory)

  • 김영분;김기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2호
    • /
    • pp.39-52
    • /
    • 2014
  • This study researched changes over time regard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station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station construction us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Meteorological Station. First, meteorological stations were located in port areas, and then moved to high altitude areas for stable meteorological observation beginning in the transition phase. Here, office buildings and residences were joined, but were separated due to the increase in functions from the stabilization phase. Second, as for spatial composition, in the establishment phase, existing buildings were used, and the scale of newly constructed buildings differed according to time and area. However, after the Japan-Korea Annexation, with increased funds and increased observation equipment, floor plans subdivided by function started to appear. In the stabilization phase, space was subdivided with redundancy due to the increase in functions. In the wartime transition phase, '一' shaped floor plans with redundancy became the norm. Meanwhile, the location of the maritime customs where the first meteorological observations took place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and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Busan Temporary Observatory built in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transition phase (1905) were investigated. Also,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Busan Meteorological Observatory, newly constructed before 1934,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era meteorological observatories were studied.

개항기 조선정부의 관세자주권 회복 시도 (A Historical Study on the Joseon Government's Attempt to Recover the Tariff Autonomy during the Period of Port Opening)

  • 윤광운
    • 무역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01-319
    • /
    • 2019
  • This study is to review the Joseon government's attempt to recover the tariff autonomy lost in the course of entering into the unequal treaty with then-Japan government, as well as the practical effort to realize such an attempt. Among other attempts, the Joseon government ① began imposing tariffs starting September 1878 by establishing Dumopo Customs Office in Busan, ② dispatched on April 1881 a group of investigators to the competent authorities to review and look back the Joseon's tariff system against Japan and ③ entered into a tariff negotiation with then-Japan government on September 1881 with the emissary (Susinsa) Byeong-ho Jo representing the Joseon government. A series of these attempts, in line with each other, represents the Joseon government's ceaseless, constant effort to recover the tariff autonomy, which is what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from the modern-day perspectives. Authored by Byeong-ho Jo to capture an advantageous position in the 1881's tariff negotiation against then-Japan government, 「Joilseui」 successfully represented the Joseon government's position on matters of ① the Japanese tax-autonomous district in Korea, ② defining tariff rates, ③ use of Japanese Yen for payment of tariffs, ④ effective period of the treaty and ⑤ export restrictions on grains. Failure of the Joseon government's attempt to recover the Tariff autonomy was attributable not only to, as 「Joilseui」 defined, ① governments' non-cooperative attitudes on the negotiation table, ② lack of authorities that the entrusted bodies had, ③ import tariffs defined high and ④ export restrictions on grains and red ginseng, but also to loss of the tariff autonomy in 1876 and the 1881's negotiation broken down that were plotted by then-Japan government's invasive policy.

개항기 인천 근대정원의 조영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 리키다케 별장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Garden in Incheon During the Opening Period - Focused on Rikidake's Villa -)

  • 진혜영;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3-91
    • /
    • 2020
  • 본 연구는 근대정원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인천 제물포의 조계지 형성 및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이곳에 조성된 근대정원의 조영 내용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천 조계지의 형성은 1876년 조일수호조규 체결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과거 제물포는 황량한 어촌이었으나 1881년 개항 이후 일본 조계지와 청국전관조계 및 각국공동조계가 형성되었다. 이후 일본은 남쪽 갯벌지대를 매립하여 조계지를 확장했고, 조선지계(현신흥동 일대)로 진출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전관조계를 중심으로 일본의 근대도시경관을 이식하였으며, 조계지의 중심가 주변지역에 근대정원들이 분포하고 있다. 둘째, 리키다케 별장을 대상으로 정원의 조성과정을 살펴본 결과, 일본인 리키다케가 인천의 대지주였던 우리탕의 과수원 부지를 매입하여 정원을 조성하였다. 리키다케의 거주 당시에는 정원공간만 약 3,000평으로 매우 큰 규모였으며, 해방 이후에는 인천시에서 인수하여 율목어린이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곳은 개항 당시 부촌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율목동 일대 가장 높은 곳에 정원이 위치하여 인천항 일대의 조망이 용이했다. 또한 리키다케의 정미소와 직선거리로 약 3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점 또한 입지선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셋째, 오늘날 리키다케 별장의 정원은 석축을 쌓은 사다리꼴 형태의 부지에 복층의 일본식 가옥이 위치하고, 남측에 약 990㎡ 규모의 정원이 조성되어 있다. 현재 남쪽에서의 진입과 북쪽 율목 어린이공원에서의 진입이 가능하나 과거에는 인천항과 조계지, 그리고 리키다케 정미소를 조망할 수 있는 방향이 가옥의 주 향이었을 것으로 보아 정원을 앞에 두고 가옥이 위치했을 것이다. 정원은 원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석등과 비석, 정원석, 수목 등을 배치한 다정양식에 해당하며, 주변에 주목, 스트로브잣나무, 단풍나무 등의 수목식재와 둥글게 전정한 철쭉과 영산홍이 주를 이루고 있다. 가옥 주변에는 관목 중심의 식재를 통해 가옥 내부에서의 조망을 확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