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fire fighting science clas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학생 소방안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고양소방서 소방과학교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sures for Activating the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Fire Fighting Science Class of Gyeonggi-do Goyang Fire Station -)

  • 현성호;차정민;송윤석;박경효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67-7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안전교육 분야 중에서 소방안전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에 먼저 소방안전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고, 초등학교 안전사고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현재 경기도 고양소방서에서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소방과학교실을 중심으로 소방과학교실의 교육개요 및 현황, 교육 목적 및 내용, 그리고 소방과학교실에 참여한 초등학생들과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화학이나 물리의 과학에 기반을 두고 있는 소방관련 화학 실험을 일반 및 청소년에게도 보급하여 자연스러운 소방교육 및 홍보 관련뿐만 아니라 학습과 소방상식을 동시에 직접 체험하는 즐거움(fun)과 놀라움(surprise)이 있는 프로그램으로 새로운 소방교육 홍보영역을 개발함으로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소방안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하여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방과학교실을 통한 초등학생 소방안전교육 제고방안 (The Enhancement Schem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by the Fire Fighting Science Class)

  • 차정민;송윤석;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70-2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안전교육 분야 중에서 소방안전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에 먼저 소방안전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고, 초등학교 안전사고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현재 경기도 고양소방서에서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소방과학교실을 중심으로 소방과학교실의 교육개요 및 현황, 교육목적 및 내용, 그리고 소방과학교실에 참여한 초등학생들과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화학이나 물리의 과학에 기반을 두고 있는 소방관련 화학실험을 일반 및 청소년에게도 보급하여 자연스러운 소방교육 및 홍보 관련뿐만 아니라 학습과 소방상식을 동시에 직접 체험하는 즐거움(fun)과 놀라움(surprise)이 있는 프로그램으로 새로운 소방교육 홍보영역을 개발함으로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소방안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하여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수용액의 특성과 소화성능 (Characteristics of Water Solutions Containing Nonionic Surfactants and Their Fire Fighting Performance)

  • 이윤우;이윤용;박양원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61-70
    • /
    • 2002
  • 환경친화적이면서 저가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소화약제를 조제하고 이의 물성과 소화약제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약제의 주된 계면활성제로서 에톡실레이티이드 솔비톨 셉타올레이트, 에톡실레이트 솔비톨 트리올레이트 그리고 선형 에톡실레이트 이차 알코올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휘발유의 부피보다 4배 가량의 6% 소화약제가 투입되는 경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단위 B급 화재 진화 시험을 수행한 결과, 소화성능은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정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긴급서어비스 시설의 적정소요 및 배분 (A Study on an Optimal Requirement and Allocation Planning of Emergency Service Facilities)

  • 황학;황흥석;정호원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5-82
    • /
    • 1981
  • This paper considers urban emergency service systems that dispatch vehicles (facilities) from fixed bases with the objective of finding an optimum allocation of emergency facilities. A case study of fire station problem of Seoul cit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deployment of fire-fighting resources and develop a class of improved deployment strategies with Parameteric Allocation Model (P.A.M.). The study shows a long term plan leading to balanced fire protection for most fire hazardous districts as well as low alarm districts.

  • PDF

의용소방대 교육프로그램 재설계를 통한 지역사회 안전 Network기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community safety Network through volunteer fire department training program reengineering)

  • 박찬석;오택흠;윤명오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30
    • /
    • 2013
  • Korean Volunteer Fire Departments are the representative disaster-related civilian organizations which are based on "Firefighting Framework Act Article 37"and ordinance for complementing the lack of fire-fighting personnel and volunteer and they play a part as community safety keepers. They are operated by the National funding, but cannot be defined as the organization in governmental sources completely or pure volunteer organization in terms of its founding purpose and activities. In these special characteristics, some Volunteer Fire Departm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Civilian Volunteer Disaster Prevention by being managed effectively, but the others do not. There can be many cause-analyses about this difference. They aren't profit-making organizations and are groups which have no compulsion. So it is important that who the leader is, and what type of leadership he has. By solving this bias by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make them perform the center role of community safety network through analyzing the existing status and problems of volunteer fire department education and customized training program reengineering to meet class-specific and regional level.

Text Mining 기법을 활용한 농촌마을 긴급구호서비스 접근 취약성 평가 (Evaluation of Vulnerability on Rural Emergency Relief Service using Text Mining)

  • 우재형;박진선;윤성수
    • 농촌계획
    • /
    • 제24권1호
    • /
    • pp.67-74
    • /
    • 2018
  • The rural areas are large residential space with fewer people than urban areas. That is why they are vulnerable to social services such as health care and security. This research analyzed the vulnerability of emergency relief service in rural village through text mining and the weighting value have been calculated. Based on the calculated statistics data, the police facilities are the most important, While the fire fighting and hospital facilities are important as well. In addition, the distance from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facility to the rural village was confirmed by using Open API. By combining these results, The vulnerable areas of the rural villages and the emergency relief service facilities were calculated and classified into 5 levels. For rural areas, the 1st class will have 33 places, following by 1,179 in 2nd class, 199 in 3rd class, 17 in 4th class and 8 in 5th class. Hence in order to further supplement the vulnerable areas to emergency relief service in villages, geographical relocation and policy approach of emergency relief service facilities are necessary.

119 구급대 구급차 교통사고 현황 분석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119 emergency)

  • 이정호;신동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4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th the occurrence status of emergency vehicles traffic accidents and contents of the experience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in fire station.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51 EMTs in fire stations in 6 cities provinces from February 9, 2017 to February 27, 2017. Results: Of 451 EMTs, 207 (45.9%) had traffic accidents experience. Regarding environment-related features, results indicated hour (12~18 hours), place (national highway), traffic flow (smooth), weather (clear), season (winter), and day (Friday). Regarding correlation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mbulance traffic accidents pursuant to general features of accident-experienced drivers as a human fact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ruitment, driving careers of regular cars, driving careers of fire engines, and clas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re-fighting careers. Accident experience in the group with careers over 6 years and less than 10 years higher than in the other groups. Conclusion: Efforts to expand fire engine drivi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119 emergency vehicles are required.

실규모 심부화재 소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ire Extinguishment Characteristic for the Real Scale Deap-Seated Fire)

  • 김남균;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3-19
    • /
    • 2015
  • 본 연구는 침윤소화약제의 소화성능평가를 위해 실규모 소화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수동식소화기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A급 소화실험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목재 외에도 목분과 왕겨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소화용수는 물과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3종의 침윤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성능평가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물과 침윤소화약제의 명확한 변별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물의 경우에서 내부 온도의 유지시간이 길게 유지되고 침윤소화약제의 경우 빠른 온도 하강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온도분포를 통해 소화능력의 변별력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최적화 침윤소화약제 성능평가 방법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미분무수 소화시스템의 도로터널 적용을 위한 실물 화재 실험 (Full-scale Fire Suppression Test for Application of Water Mist System in Road Tunnel)

  • 한용식;최병일;김명배;이유환;소수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1-56
    • /
    • 2011
  • 도로터널에서의 미분무수 소화시스템의 화재진압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물 터널 화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적용된 소화시스템은 압력이 3.5 bar인 저압 물분무 소화설비와 60 bar인 고압 미분무수 소화시스템이다. 미분무수 소화시스템은 물분무 소화시스템의 1/6 만큼의 소화용수량을 사용한다. 화원 (fire source)은 실물 승용차와 유류화재를 모사한 화원면적 $1.4m^2$의 헵탄 연료 팬 화재로 구성하였다. 터널 내의 환기조건을 구현하기 위해 실물모형 터널의 한쪽 끝단에 유속(0.9~3.8 m/sec 범위) 발생장치를 설치하였으며, 화원에서 하류 방향으로 터널 내 온도분포는 K-type 열전대 트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고압 미분무수 소화시스템은 B급 화재의 경우 저압 물분무 시스템과 동등한 수준의 냉각효과를 보였다.

특수재난지역 정찰로봇 시제품의 성능평가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of Search Robot Prototypes for Special Disaster Areas)

  • 곽지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09-118
    • /
    • 2015
  • 고열과 다량의 연기, 유독가스, 방사능 등을 수반하는 사고 현장에서 소방관을 대신하여 시야확보가 가능하고 화염으로 인한 고열을 극복하며 탐색 및 구조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3종의 특수한 정찰로봇이 최근 개발되었다. 이러한 로봇은 내열성능과 다양한 장애물 극복성능이 있어야 하고 화재진압성능과 탐색성능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수재난지역 정찰로봇의 다양한 성능시험을 통해 실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소형 및 중형 로봇은 $100{\sim}200^{\circ}C$의 주위환경에서, 소방관탑승형 로봇은 $500^{\circ}C$의 환경에서도 30분 이상 활동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소방관 탑승형 로봇은 A 10 단위 화재모형을 3분 이내에 소화하여 화재진압성능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종 로봇 모두 다양한 장애물 극복성능과 현장운용성능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어 특수재난현장에서의 활약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