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development teaching materials

검색결과 677건 처리시간 0.029초

과학수업모형의 비교 분석 및 내용과 활동 유형에 따른 적정 과학수업모형의 고안 (The Identification and Comparison of Science Teaching Models and Development of Appropriate Science Teaching Models by Types of Contents and Activities)

  • 정완호;권재술;최병순;정진우;김효남;허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3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ppropriate science teaching models which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relevant situations. Five science teaching models;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s, generative teaching model, learning cycle teaching model, hypothesis verification teaching model and discovery teaching model, were identified from the existing models. The teaching models were modified and in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using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r teaching science concepts, three teaching models were found more effective;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 generative teaching model and discovery teaching model. 2. For teaching inquiry skills, two teaching models were found more effective; learning cycle teaching model and hypothesis verification teaching model. 3. For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two teaching models were found more effective; learning cycle teaching models and discovery teaching model. Each teaching model requires specific learning environment.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select a suitable teaching model carefully after evaluating the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teacher and student variables, learning objectives and curricular materials.

  • PDF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활동자료의 개발과 유형 분석 (Development and Analysis of Various Activity Types for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 박종원;김진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10-327
    • /
    • 2013
  • 본 연구는 과학 창의성 지도를 위한 자료를 개발하고 특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5개 영역에서 80여개의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의 특징으로는,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였고, 활동마다 창의성 요소가 명시되어 있으며, 창의적 활동을 위해 사고하는 방법과 활동결과 예시를 제시한 데 있다. 또 개발된 자료는 목적과 상황에 따라 변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창의적인 활동을 위한 사고방법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정리함으로서 다른 창의성 활동에서 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자료에 대해 교사들이 살펴본 후, 교사들은 창의성 자료로 적절하며, 앞으로 과학 창의성 지도에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장점과 단점, 그리고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자료의 다양한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영재학급용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가변칠교판 활용 소재 발굴 (Discovery of Materials Using Rotatable Tangram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Gifted Class)

  • 강민정;송상헌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69-186
    • /
    • 2020
  • 본 연구는 보통의 초등학생들에게도 익숙한 전통칠교판을 변형하여 만든 가변칠교판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영재학급용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소재 발굴을 목적으로 한다. 가변칠교판은 영재학급 학생들이 수학적 의사소통을 통해 정당화를 수 있다. 다만, 영재학급 학생이라도 초등학교 수준에서는 '기호화' 단계를 거치지 않으면 모든 크기의 삼각형, 직사각형을 찾아 정당화(증명)하기에는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문자와 기호에 대한 탐구 과정이 필요한 학생들에게는 보충 학습 자료와 추가 발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영재학급용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가변칠교판이라는 소재는 영재학급 학생들의 수학적 추론능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을 발달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워터폴 모델을 적용한 앱 인벤터 프로그래밍 교재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App Inventor Programming Using the Waterfall Model)

  • 설문규;손창익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09-419
    • /
    • 2013
  •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앱 인벤터 교육용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고 기존 프로그래밍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초등학생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재를 개발하였다. 스마트기기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 동기를 강화하였고 STEAM적 요소를 가미하고 앱 인벤트 프로그래밍 학습 내용을 학생들의 실생활적인 상황 제시와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을 따라가면서 보다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개발하였다.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이론 워터폴 모델을 도입하여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사고과정을 따라가게 함으로써 기존의 교재가 가지는 단순 프로그램 언어와 관련된 지식의 습득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협동 사고력 등 고차원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초등 교사의 수학과 교수법적 내용 지식 정립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Fost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 방정숙;김상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29-148
    • /
    • 2007
  • 최근의 수학교육 개혁은 교육과정의 개발이나 평가의 변화에 국한하지 않고, 교사의 학습이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저변에 깔려 있는 요소 중의 하나는 가르치는 내용과 방법을 망라한 교수법적 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PCK 정립을 위해서 수학과 내용 전반에 걸쳐서 핵심적인 학습 주제를 선정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에서 비와 비율 주제와 관련하여 수학 내용에 대한 지식, 교수법에 대한 지식, 학생들의 수학적 이해 및 학습에 대한 지식,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분석, 교과서 재구성 및 적용으로 나누어 개발된 사례를 제시하였다.

  • PDF

학습 포트폴리오를 통한 '학습전략과 진로탐색' 교과목의 개선 효과 - A대학교 교양필수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and Career Development' Classes for Freshman - Focused on Utilization of the Learning Portfolio -)

  • 한안나
    • 교양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241-267
    • /
    • 2012
  • 본 연구는 신입생들이 대학생활에서 실제적으로 필요한 학업수행과 진로 탐색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방법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목의 운영방법을 개선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A대학교에서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교양필수로 개설, 운영 중인 '학습전략과 진로탐색' 교과목을 학습 포트폴리오(Learning Portfolio) 활용 중심의 교수-학습법으로 개선하여 운영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 국내외 우수 사례 분석, 전문가 자문, 교수자 및 학습자 설문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통해 학습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습전략과 진로탐색' 교과목을 2011학년도 1학기의 수업에 전면적으로 운영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활용결과, 담당 교수자와 과목 수강생들이 학습 포트폴리오 활용 교수-학습방법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과목 수강생 대상의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 본 교과목의 수강이 학습전략과 진로탐색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과학교과서와 그에 관련된 교수 학습자료의 활용 실태 조사 (On Science Textbooks and Related Teaching Learning Materials)

  • 권치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1-88
    • /
    • 198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a new view of textbook which may contribute to the abolishment of the instruction mainly based on the only textbook and to the promotion of creativities of students. We first reviewed science textbooks and rela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foreign countries with emphasis on the relationship among textbook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practical use of them. In western countries the roles of traditional textbook has been changed. That is, various kinds of materials such as reading book, work-book, worksheet, experimental guidebook, filmstrips are used to raise effect of instruction besides of traditional type of textbook. Secondary, we identifie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science textbook-view of textbook, textbook contents, practical use of textbook-through opinion survey administered to principals akd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Concerning the view of textbook, most teachers did not recognize textbook as an absolute materials. They thought that textbook contents could be taught reorganized according to their judgements. On the contrary,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y follow contents of textbook as they are presented in it were approximately 30%. Further, more than 75% of them have seldom used instructional materials except textbooks. In order to revise the problems of our present textbook as stated above, a new view of textbook should be established. We, above all, established 4 basic premises for searching a new view of textbook. 1) Textbook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only material but as being at the center of various teaching -learning materials. 2) The importance of textbook should be illustrated Among Curriculum, textbook and rela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struction and evaluation. 3. Textbook contents should not be regarded as definitely fixed or absolute ones. 4. Human being can understand environment more fully by commanding his swnsory organ multilaterally. Under these premises we disscussed about curriculum and textbook, textbook, and instruction, akd evaluation method.

  • PDF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워크숍 방식의 심화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orkshop Type of Enriched in-Service Program for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 박종원;김본경;최재혁;지경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017-103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박종원, 박종석, 이강길(2008)이 개발한 과학적 창의성 활동자료를 활용하여, 교사들이 직접 창의성 활동을 수행한 후에 지도 자료를 개발하는 워크숍 방식의 영재심화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수 결과, 교사들은 기존의 프로그램과 달리 다양한 프로그램과 지도전략을 배우고 실습할 수 있어, 영재지도를 위한 실질적인 목적을 연수를 통해 달성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프로그램들이 흥미롭고 난이도도 적절하여 앞으로의 영재교육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실제 연수활동을 관찰하여 교사들이 오랜 시간동안 집중적으로 활발하게 참여하였고, 과학개념의 올바른 이해에도 도움을 받았지만, 보다 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도록 연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이 개발한 수업자료에서 잘한 부분과 부족한 부분을 찾을 수 있어, 이러한 부분이 앞으로의 연수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초등 수학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대학과 초등학교의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 (Reporting the Activiti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for Enhancing Elementary Mathematical Teaching Professionalism)

  • 박영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47-61
    • /
    • 201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육대학교의 교과전문가와 단위학교의 4학년 교사들로 구성된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의 활동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는 학습공동체의 방향 및 내용 설정하기, 우수수업동영상 보고 논평하기, 공동으로 수업 아이디어 도출하고 실천하며 반성하기의 활동을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습공동체 구성원의 수업관련 자료 및 모임 기록 등이 이용되었다. 그 결과로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는 교사가 일상의 초용 수학 수업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개선점을 찾도록 유도하였으며 수학 수업을 매개로 교과 전문가와 교사, 교사들 간의 수평적 협력 관계가 가능하고 수업전문성 신장의 효과적인 방안임을 보여준다.

단계적 듣기 자료 개발.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istening materials)

  • 조병훈
    • 영어어문교육
    • /
    • 제3호
    • /
    • pp.43-54
    • /
    • 1997
  • According to Asher(1972) listening skill must be taught before any other skills. Despite such an importance of listening skill, listening tests taken at the secondary schools depend on simple multiple choice method. So more various method such as Task-Based Listening Test need suggesting. This study aims at (1) three step listening material development (2) and advancement of listening ability through the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