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Secondary Poor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2초

Prevalence of Mycotoxins and Their Consequences on Human Health

  • Omotayo, Oluwadara Pelumi;Omotayo, Abiodun Olusola;Mwanza, Mulunda;Babalola, Olubukola Oluranti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1-7
    • /
    • 2019
  • Mycotoxin contamination is a global phenomenon and causes a wide array of negative effects and other complications. This study focused on commonly found mycotoxins in Africa and the possible means of prevention or reduction of their contaminating effects. Mycotoxins are secondary metabolites of mold and fungi; they are generally toxic to living organisms. Hundreds of mycotoxins have been identified thus far, with some, such as aflatoxins, ochratoxins, trichothecenes, zearalenone, fumonisins, and patulin, considered agro-economically important. Several factors contribute to the presence of mycotoxins in food, such as climatic conditions, pest infestation, and poor harvest and storage practices. Exposure to mycotoxins, which occurs mostly by ingestion, leads to various diseases, such as mycotoxicoses and mycoses that may eventually result in death. In light of this, this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focuses on mycotoxin contamination, as well as various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ir prevalence, to avert its debilitating consequences on human health. Clear evidence of mycotoxin contamination is present in Africa, and it was therefore recommended that adequate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se toxic substances in our food system should be encouraged and that appropriate measures must be taken to ensure food safety as well as the enhanced or long-lifespan of the African populace. Governments, research institu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should tailor the limited resources available to tackle mycotoxin prevalence, as these will offer the best prospects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food system in Africa.

모듈 기반 교육용 아두이노 호환 키트 제작 (Implementation of an Arduino Compatible Modular Kit for Educational Purpose)

  • 허경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547-554
    • /
    • 2019
  • 2015년 교육과정 개편으로 중학교 정보교과가 필수로 지정됨에 따라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대학에서도 프로그래밍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아두이노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도구 중 하나로 그 유용성은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하지만 기존 아두이노 기반 키트는 연결 방법이 복잡하거나, 확장성이 떨어지는 등 하드웨어 의존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모듈 기반의 구조를 가지고,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능 확장이 가능하며, 다양한 수준에서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아두이도 호환 키트 설계를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제안한 키트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FRUTO 키트와 이를 사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현 방법을 설명한다. FRUTO 키트는 몇 번의 디자인 변경을 통해 현재의 형태로 결정되었으며, 현재 출시 전 테스트 진행을 준비 중에 있다.

구순암 환자에서의 의치접착제를 이용한 상악 총의치와 심한 치주 상태에서의 하악 이중관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Prosthetic treatment for patient with upper lip cancer and severe periodontitis: Maxillary complete denture with denture adhesive and mandibular double crown-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 최현석;이청희;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74-80
    • /
    • 2015
  • 구강암의 발생 시, 구순의 결손과 방사선치료에 의한 치주조직과 치경부우식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DI (Association of dental implantology)에 의하면 상 하악골에 대한 방사선치료가 최근에 시행되었을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은 상대적 비적응증이 된다. 대부분의 경우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물의 제작이 어렵고 의치를 사용한 수복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구강암 수술로 인한 구순결손은 의치의 유지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증례는 상순암을 가진 환자로 일차적으로 절제술을 시행하고, 이차적으로 방사선 치료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진 결과, 환자의 상악 치아들은 순차적으로 자연 발치되었고, 하악은 매우 불량한 치주상태를 나타내었다. 상악은 총의치에 의치접착제를 적용하여 구순결손에 의한 의치의 유지력 저하를 극복하였고, 하악에서는friction pin을 이용한 하악이중관의치가 2년 동안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The Effect of Barbiturate Coma Therapy for the Patients with Severe Intracranial Hypertension : A 10-Year Experience

  • Kim, Young-Il;Park, Seung-Won;Nam, Taek-Kyun;Park, Yong-Sook;Min, Byung-Kook;Hwang, Sung-Nam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4권3호
    • /
    • pp.141-145
    • /
    • 2008
  • Objective : Barbiturate coma therapy (BCT) has been known to be an useful method to control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ICP) refractory to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s. We have used BCT for patients with severe IICP during the past 10 years, and analyzed our results with review of literatures. Methods : We analyzed 92 semicomatose or comatose patients with Glasgow coma scale (GCS) of 7 or less with severe IICP due to cerebral edema secondary to parenchymal damages irrespective of their causes. Forty patients who had received BCT with ICP monitoring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2006 were included in BCT group, and fifty-two patients who had been managed without BCT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1995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 We compared outcomes with Glasgow outcome scale (GOS) and survival rat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Good outcome (GOS=4 and 5) rates at 3-month after insult were 27.5% and 5.8% in BCT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p<0.01). One-year survival rates were 35.9% and 12.5% in BCT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p<0.01). In BCT group, the mean age of good outcome patients ($37.1{\pm}14.9$)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oor outcome patients ($48.1{\pm}13.5$) (p<0.05). Conclusion : With our 10-year experience, we suggest that BCT i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severe IICP patients for better survival and GOS, especially for younger patients.

파종성 폐결핵을 가진 남아에서 합병된 장결핵 1례 (A case of intestinal tuberculosis complicated by miliary tuberculosis)

  • 정민국;최정호;유정석;안승인;이진;김봉림;김정아;장진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1호
    • /
    • pp.1227-1231
    • /
    • 2006
  • 소아에 있어서 복부 및 위장관 결핵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임상증상도 복통, 설사, 체중감소, 발열 등 비특이적이어서 크론병, 맹장염 및 다른 위장관 질환의 증상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복부 질환의 진단에 있어 간과하기 쉽다. 특히 결핵성 장염은 사망률이 19-38%에 이르지만 조기에 진단, 치료하면 예후가 좋아 조기 진단의 중요성이 높다. 저자들은 복부팽만,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게 속립성 폐결핵에 합병된 결핵성 장염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며, 아직도 결핵 유병율이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위장관 증세를 호소하는 환아에게 위장관 결핵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겠다.

코일을 이용한 역행성 경정맥 폐색술에 의한 십이지장 정맥류 출혈의 성공적 치료: 증례 보고 (Successful Treatment of Duodenal Variceal Bleeding with Coil-Assisted Retrograde Transvenous Obliteration: A Case Report)

  • 박세진;김영환;강웅래;지승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231-236
    • /
    • 2020
  • 십이지장 정맥류는 간경화증에 의한 문맥압 고혈압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치명적인 심한 상부 위장관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한 치료 지침이 정립되어 있지는 않다. 일차적으로 내시경으로 치료를 시도하고 지혈 실패 시 목정맥경유간속문맥전신순환연결술, 풍선 혹은 혈관 마개를 이용한 역행성 경정맥 폐색술, 피부간경유 폐색술 등과 같은 중재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저자들은 내시경적 치료에 실패한 십이지장 정맥류 출혈 환자에게 저하된 간 기능과 해부학적인 구조의 제한으로 인해 코일을 이용한 역행성 경정맥 폐색술을 시행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2018년도에 분리된 닭 전염성기관지염 바이러스에 대한 병원성 시험 (Determining Pathogenicity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Isolated in Korea 2018)

  • 박담희;윤하나;주효선;김규직;고성혜;이다예;송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63-269
    • /
    • 2019
  • IBV는 전세계적으로 양계산업에 문제시되고 있는 호흡기성 질병으로 육계 및 산란계의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2018년도에 분리된 3개의 IBV의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동물실험을 통해서 염증정도, 섬모소실도 그리고 폐사율의 결과를 바탕으로 2018년도 분리주인 QX-like IBV형은 병아리에게서 충분한 병원성을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천공지 기저 피판을 이용한 다양한 하지 재건 (Lower Extremity Reconstruction by Perforator Based Flap)

  • 오창현;심정수;박대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720-726
    • /
    • 2009
  • Purpose: Fasciocutaneous flap with random pattern flap has limitation in mobility and length - width ratio. This characteristic is more pronounced in lower extremity which has relatively poor vascularity. Perforator based flap in lower extremity reconstruction has various advantages as a axial flap, allowing abundant blood supply and widening of mobility range. So if it is not a case of wide defect, free flap can be replaced by perforator based flap. Methods: From April 2007 to March 2009, 18 cases of perforator flap were performed. 8 had defect in upper 1/3 of calf, 6 in middle 1/3, and 4 in lower 1/3. In 10 cases island flap were used, 3 case had transposition flap, 2 cases used advancement flap, 2 case had propeller flap and 1 case had rotation flap. Results: 17 cases survived without flap necrosis. Partial flap necrosis occurred in 1 case, so secondary split thickness skin graft was done. Chronic wound with pseudomonas infection occurred in 1 case, but it was completely cur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Conclusion: Perforator based flap is useful in lower extremity reconstruction because of relative freedom in changing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flap depending on the recipient site, good mobility, and abundant vascularity. And donor site morbidity can be minimized. Lower extremity reconstruction using perforator based flap is a good method because it can minimize the complication and obtain effective result.

Laparoscopic management of early primary peritoneal pregnancy: a case report

  • Koo, Hwa-Seon;Bae, Ju-Youn;Kang, Inn-Soo;Koong, Mi-Kyoung;Kim, Hye-Ok;Cha, Sun-Hwa;Choi, Min-Hye;Kim, Ji-Young;Yang, Kwa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8권2호
    • /
    • pp.109-114
    • /
    • 2011
  • Peritoneal pregnancy is an implantation in the peritoneal cavity exclusive of tubal, ovarian, or intra-ligamentary implantations. This is a rare obstetric complication with high maternal mortality and even higher perinatal mortality, and secondary type was most common. Risk factors for peritoneal pregnancy are previous history of extrauterine pregnancy or tubal surgery pelvic post-inflammatory status or presence of an intrauterine device. As it is a life-threatening condition, expectant management carries a risk of sudden life-threatening intra-abdominal bleeding and a generally poor fetal prognosis. So, when it is recognized, immediate termination of pregnancy is usually recommended. Early diagnosis of peritoneal pregnancy is difficult, but is important by their life threatening progress course to patients. Recently, we experienced primary peritoneal pregnancy which meets both the original and modified criteria. In this paper, we reported the case of early diagnosed and successfully treated peritoneal pregnancy despite of their diagnosis was incidentally.

장관골 단순성 골낭종에 동반된 병적 골절의 치료결과 (Outcomes of Treatment for Pathologic Fractures Secondary to Simple Bone Cyst)

  • 전시현;송광순;김철용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8-44
    • /
    • 2003
  • 목적: 장관골 단순성 골낭종에 동반된 병적 골절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2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장관골 단순성 골낭종에서 병적 골절을 동반한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2세에서 19세까지 평균연령 9세였고, 남자 11명, 여자 1명이었으며 추시 기간은 12개월에서 69개월까지 평균 32.9개월이었다. 병적 골절에 대하여 일차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원칙적으로 하였으며, 전위가 있는 체중 부하부위 골절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골절 유합 후 남은 잔존 병소에 대하여 국소적 스테로이드 주입법, 피질천공술 또는 소파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하였으며 골유합 소견이 보이면서 골낭종의 치유소견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처치 없이 관찰하였다. 추시 기간 중 효과 판정 방법은 낭종이 완전히 치유된 경우를 우수(excellent), 낭종이 치유 되가는 과정을 보인 경우 양호(good)로 판정하였으며, 낭종의 크기의 변화가 없거나 계속 커지는 경우를 불량(poor)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병적 골절은 보존적 치료(9예)와 관혈적 정복술(3예)을 통하여 전례에서 유합 소견을 보였다. 골유합 후 골낭종의 치유소견이 보여 특별한 처치 없이 관찰한 6예에서 양호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잔존병소가 지속되는 6예에 대해서는 국소적 스테로이드 주입법(3예), 피질 천공술(1예) 또는 소파술 및 골이식술(2예)을 시행 후 양호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결론: 단순성 골낭종에 동반된 장관골 병적 골절의 치료에서 전위가 없거나 도수 정복이 가능한 경우 보존적 치료가, 체중 부하부위의 전위골절의 경우 관혈적 정복술이 좋은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또 병적 골절의 골유합 소견을 얻은 후 골낭종의 치유소견이 나타나는 경우 지속적 관찰이 필요하며, 잔존 병소가 지속되는 경우 이차적 치료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