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6초

브랜드 인식, 브랜드 충성 및 구매의도에 대한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의복관심의 영향 - 최적모형 구축을 중심으로 -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Clothing Interest's Effects on Brand Consciousness,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 To Select the Best Model of Constructs -)

  • 김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5-134
    • /
    • 2008
  •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reflects individual differences in counterconformity and 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brands as well as purchase behavio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behavior,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clothing interest on the brand consciousness,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Survey was utilized to collect the data and subjects were 271 college students. Measures consisted of five main constructs: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clothing interest, brand consciousness,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The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were evaluated using PRELIS 2 and LISREL 8.53.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was confirmed to have three constructs: creative, unpopular, and avoidance. The researcher tested Model 1 and developed five other models-Models 2 through 6-based on the results from Model 1 evaluation. The additional Models 2 through 6 were nested in Model 1. To select a best model, the researcher compared the value of chi-square, RMSEA, GFI, AIC, and ECVI. Since Model 6 also illustrated conceptually or theoretically reasonable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as well, it was finally selected as a best model. In the Model 6, the creative dimension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brand loyalty, while the avoidance dimension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had positive relationship. The unpopular dimension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clothing interes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brand consciousness. The brand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brand loyalty and brand loyalty to purchase intention.

  • PDF

중국 영유아의류 브랜드의 온라인 체험 마케팅과 브랜드 충성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nline Experience Marketing and Brand Loyalty of Chinese Infant Clothing Brands on Purchase Intention)

  • 장헌;한아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3호
    • /
    • pp.1-18
    • /
    • 2023
  • The online shopping industry in China has experienced rapid growth, particularly in the infant goods sector, which is considered highly promising in terms of its growth potential. This growth can be attributed to the Chinese market's increasing economic power, the implementation of new policies concerning marriage and childbirth, changes in family structure, and evolving and diverse consumer demands for infant products. While the infant clothing industry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player in the Chinese market, there is still a lack of sufficient academic research on the online shopping environment specific to China's infant clothing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online experiential marketing on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among Chinese consumers of children's wear. The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motional experience, action experience, and relationship experience encountered by consumers during online interaction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brand loyalty. Both perceptual experience and cognitive experience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s' willingness to make a purchase.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brand loyalty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perception of online experiential marketing,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varied based on individual attributes, and gender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experiential marketing and brand loyalty.

기능성 화장품의 온라인 사용 후기 신뢰도가 브랜드 선호도, 광고 신뢰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외선 차단제의 긍정적 사용 후기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nsumer trust on positive online reviews of cosmetics)

  • 박지혜;김미숙;황춘섭
    • 복식문화연구
    • /
    • 제25권6호
    • /
    • pp.831-846
    • /
    • 2017
  • Considering that the effectiveness of ads varies according to the credibility of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ata regarding consumer credibility in relation to online reviews. To conduct a successful study on the marketing strategies of online reviews,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dibility and th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s of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trust of on-line reviews, brand preference, ads credibility, and purchase intentions in relation to cosmetic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normative 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stimuli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consumer reliance on online reviews of cosmetics influences brand preference, credibility of brand ad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consumers' on-line reviews, brand preference, and trust of brand ads are important factors for increasing the purchase intentions. The mediation effect of brand preference and brands' ads credibility were found in the process where on-line reviews exercise an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s. It was also found that brand preference has a stronger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an credibility of brand ads. It was discovered that the credibility of on-line reviews directly influences purchase intentions more than indirectly influence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grams that encourage customers to post on-line reviews, and strategies to promote brand preference by targeting groups that exhibit high trust in online reviews would be recommended.

식스시그마를 응용한 시장분석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Six Sigma Application on Market Analysis)

  • 최경석;윤원영
    • 산업공학
    • /
    • 제15권4호
    • /
    • pp.409-425
    • /
    • 2002
  • This case study provides a market analysis methodology for overseas markets by applying statistical tools and the Six Sigma approach. The study suggests a procedure with seven steps to improve brands position in the market. These steps consist of interviewing consumers and floor salesmen of stores, survey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brand position and customers satisfaction, analysis of relationship with companies and customer satisfaction factors, analysis of the customer satisfaction gap between companies,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customer satisfaction factors, and suggestion for enhancement of brand position. The Six Sigma approach such as "Define", "Measure" and "Analyze" is used in this procedure, which is part of Six Sigma procedure, D-M-A-I-C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Minitab and SAS a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뉴럭셔리 패션브랜드 제품추구혜택이 브랜드 충성도와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에 의한 이중경로 형성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New Luxury Fashion Brand's Product Benefit on Brand Loyalty and Brand Commitment - Focus on dual path model by brand Attitude and brand Attachment -)

  • 최미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17-727
    • /
    • 2011
  • As new luxury brands are becoming more popular, recent new luxury consumers are showing different tendencies of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s the specific bond between the product benefits for new luxury fashion brand and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Specifically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 dual path which leads to brand loyalty and brand commitment. 300 data from on-line survey were collected from middle class women who had trading up needs and respondents were asked to select their favorable new luxury fashion brand.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dimensions of product benefit for new luxury brand group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psychological/emotional benefits, social/symbolic benefits, self-expressive benefits, and product functional benefit. Additional results show that brand attitude had more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and brand attachment had more positive effect on brand commi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 on market segmentation for new luxury brands.

한국쌀시장에서 상표충성도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Antecedents of Brand Loyalty in South Korean Rice Market)

  • ;김경훈;김동율;문학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9권
    • /
    • pp.175-188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상표충성도와 쌀상표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모델을 개발하여, 한국 쌀시장에 대해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제언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첫째, 소비자들의 정보원천은 쌀시장에서 상표충성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제품군에서 높은 관심을 가진 소비자들은 보다더 상표충성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셋째, 구매행동의 특성과 상표충성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상표충성도간의 차이가 있는것으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상표충성도가 높은 사람들은 고객만족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소비자-브랜드 관계 품질 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ing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 강명수;김병재;신종칠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1-131
    • /
    • 2007
  • 브랜드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다양한 브랜드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최근 들어서는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브랜드 연구의 중심이 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있어서 높은 품질과 지속적인 연대를 가능하게 하는 브랜드 관계 품질의 측정을 다루고 있다.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Fournier(1994, 1998)가 제시한 6개 구성요소 또는 하위 차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에서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구성하는 6가지의 요소 또는 하위차원들이 소비자-브랜드 관계 품질이라는 하나의 단일차원을 이루고 있는지 확인하지 못한 채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이들 하위차원들을 결합하여 점수를 계산하고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브랜드 관계 품질을 구성하고 있는 상호의존, 몰입, 사랑/정열, 자아연관, 친밀감, 브랜드 파트너 품질 등의 6개의 차원들이 단일차원의 개념인가를 검토하였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구성개념들의 하위차원들이 단일차원의 구성개념인가를 검토한 선행연구들(Naver & Slater, 1990; Cronin & Taylor, 1992; Chang & Chen, 1998)에서 사용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구성하는 하위차원들이 단일차원을 이루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증연구를 통해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구성하고 있는 6개 차원들의 신뢰성, 수렴타당성, 판별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소비자-브랜드관계를 구성하는 6개의 하위차원들이 단일차원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구성하는 6개의 하위차원을 결합하여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연구하였던 기존 연구들, 소비자-브랜드관계를 구성하는 하위차원을 통합하여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려는 여러 연구들에 있어서 방법론상의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 PDF

통합기술수용이론을 활용한 온라인 명품 플랫폼 소비자 행동 연구 - 확장된 UTAUT(2) 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umer Behavior on Online Luxury Platforms us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 Focusing on the Extended UTAUT(2) Theory -)

  • 정다운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6-398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rrobor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technology acceptance on online luxury platforms, which are rapidly emerging as distribution channels for luxury brands.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technology acceptanc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fashion consumers on online luxury platforms and the effect on specific factors such as age and gender was investigated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behavior and use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 consumers between the age of 20 and 40 who have used online luxury platforms and then,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performance expectancy and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price value, and habi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latform behavioral intention, but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Additionally, both facilitating conditions and habit were found to have a direct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latform use behavio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tform behavior intention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behavior.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age, there was no difference based on gender, bu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price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t is hoped that domestic online luxury platforms will grow into channels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continue to develop in the luxury market by utilizing specific affect factors of this study.

패션 뷰티 콘텐츠의 동영상 플랫폼 활용 특성에 대한 연구 - 유튜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Platforms Usage of Beauty Content with YouTube at the Center)

  • 위서현;정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27-137
    • /
    • 2021
  •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활용한 유튜브 뷰티 콘텐츠 채널이 양적, 질적 확장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tatista를 통해 국내 및 해외 주요 뷰티 브랜드 및 패션지와 뷰티 인플루언서들을 대표하는 상위 5위의 채널을 선정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 뷰티 콘텐츠 생산자에 따른 동영상 플랫폼 활용 특성과 콘텐츠 성격 비교 및 매력적인 콘텐츠가 어떤 유형과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증가하는 뷰티 관련 콘텐츠를 위한 전략으로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상 중심의 유튜브 플랫폼의 성장은 제품 정보의 원천을 다양화시킴으로서 기존 광고의 수동적 소비자들을 생산자 혹은 새로운 전달자의 역할로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산자에 따라 다른 성격의 콘텐츠가 소비됨에 따라 객관적인 저널리즘적인 시선보다는 생산자 중심의 콘텐츠가 제작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차별화되는 뷰티 콘텐츠를 위해서는 밀레니얼 세대에 효과적인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요소와 더불어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 및 연결을 강화시킬 수 있는 '브랜드 가치'의 전달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컬러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기업 로고를 중심으로 (Research about the Influence of Color Communication on Brand Images - based on Industrial Logos)

  • 이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54-162
    • /
    • 2012
  • 컬러는 어떠한 다른 요소보다 앞선 단계에서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에 영향을 주며 형태보다 강하게 소비자에게 다가갈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컬러 마케팅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컬러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하여 컬러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브랜드 이미지의 가치를 높이는 전략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효과적 연구를 위해 기존 연구 자료와 문헌을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실증 조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신뢰(credibility)와 호감을 갖는 브랜드는 컬러커뮤니케이션 보다는 여러 마케팅 활동으로 인한 신뢰 있는 기업의 브랜드를 선호한다고 볼 수 있다. 또, 선호하는 컬러의 차이는 분명하지만, 선호하는 브랜드 로고의 컬러와 자신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컬러와는 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브랜드 로고의 컬러 보다는 신뢰와 호감을 느껴 선호하는 브랜드가 있으며 이 또한 자신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컬러와는 독립적임을 알 수 있다. 소비자의 자아 이미지를 나타내는 컬러와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감성적 컬러와의 영향은 없으며, 선호하는 컬러가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감성적 컬러와의 영향관계는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 자아 이미지를 나타내는 컬러 보다는 표적 시장의 소비자 선호 컬러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서 컬러커뮤니케이션을 전략적으로 어떻게 활용하며, 기존의 컬러커뮤니케이션 연구와 달리 각 브랜드 로고의 컬러 감성을 통한 이미지와 소비자 선호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