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검색결과 1,354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인의 연령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대한 주요 요인 분석 (Important significant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by age group in Korea based on KNHANES(2014))

  • 오현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573-58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연령대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효과를 분석,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4년도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에 참여한 19세 이상의 성인 5,976 명이며 EQ-5D 점수를 삶의 질에 대한 평가 척도로 이용하였다. 연령대는 젊은층(19세-39세), 중년층 (40세-65세), 노년층 (66세 이상)으로 나누었고 각 연령층에서 총 29개의 요인들에 대하여 베이지안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전 연령대에서 공통적으로 삶의 질에 주요한 효과를 나타내는 요인은 성별,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정도, 스트레스, 각종 질병요인들이다. 여성의 삶의 질은 남성보다 낮고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으며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특히, 노년층에서 남녀간 차이와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의한 차이가 두드러졌다. 질병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그 정도는 중년층, 젊은층, 노년층 순이다. 연령집단을 비교했을 때, 중년기에는 직업 활동이 삶의 질에 주요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노년기에는 앉거나 누워있는 시간이 많을수록, 비만 정도가 심할수록 삶의 질이 낮고 걷기를 자주 할수록 삶의 질이 높다.

50대 이상 성인의 저작불편감이 골관절염 유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ewing Difficulty on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in Adults Aged 50 Years and Older)

  • 황수현;한삼성;유왕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5-152
    • /
    • 2015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 원시자료 중 검진 및 건강 설문조사를 모두 완료한 50세 이상 8,498명의 성인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저작불편감과 골관절염과의 관련성을 PASW Statistics ver. 18.0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대상자의 저작불편감 상태에 따른 분포에서 저작불편감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38.8%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비교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서는 50~64세 34.3%, 65세 이상 46.4%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교육 및 소득이 낮을수록, 흡연상태인 경우, 우울증 및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저작불편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저작불편감과 골관절염과의 관계는 저작불편감을 가진 대상자는 저작불편감이 없는 대상자에 비해 골관절염의 유병위험률이 1.44배(95% CI=1.23~1.70)로 저작불편감과 골관절염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성별을 층화시켜 분석한 결과, 남성에서 1.36배(95% CI=0.98~1.88)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남성에서는 관련성이 없었다. 여성에서 1.47배(95% CI=1.22~1.7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여성에서는 저작불편감과 골관절염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50세 이상 성인의 저작불편감 여부가 여성의 골관절염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위생을 통한 구강건강의 문제를 개선시킴으로써 골관절염의 악화를 예방 및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젊은 성인에서 비만이 심혈관대사질환 위험인자 군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Obesity on Cardiometabolic Disease Risk Factor Clusters among Korean Young Adults)

  • 허연
    • 비만대사연구학술지
    • /
    • 제3권1호
    • /
    • pp.1-8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cardiometabolic disease clusters in Korean adults aged 19-39 years. Methods: We included 3,785 participants (1,767 men and 2,018 women) aged 19-3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20-2022). The risk factors for cardiometabolic disease were defined as follows: high blood pressure; hypertriglyceridemia; hyperuricemia; and high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ow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igh fasting plasma glucose, elevated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Results: The prevalence of participants with ≥ 1, ≥ 2, and ≥ 3 cardiometabolic disease risk factors was 95.2%, 84.2%, and 65.6% in men and 90.0%, 70.5%, and 43.0%, in women with class 2-3 obesity,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for young adults with underweight/normal weight, th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the clustering of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were 17.26 (8.32-35.80) for ≥ 1; 19.43 (12.18-31.00) for ≥ 2; and 22.93 (14.15-37.15) for ≥ 3 factors in men with class 2-3 obesity and 14.67 (8.00-26.91) for ≥ 1; 20.88 (12.15-35.88) for ≥ 2; and 36.26 (20.20-65.09) for ≥ 3 factors in women with class 2-3 obesity. Conclusion: Although the patients were young, the prevalence and ORs for cardiometabolic disease risk factor clusters in young adults with obesity were prominently high.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besity in young Korean adults are urgently needed at both individual and public levels.

한국 노인의 인구·사회경제적 특성과 미 충족 치과진료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lderly and unmet dental care needs)

  • 정은서;안금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11-920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lderly and their unmet dental care needs, by using the 2015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Methods: In total, 1,372 elderly persons aged 65 and over, who responded to the $6^{th}$ NHAN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any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unmet dental care needs. Results: The rate of unmet dental care needs was shown to be less by 0.799 times in the elderly who reside in dong than those who live in eup and myeon (OR: 0.799, 95% CI: 0.679-0.959). Unmet dental care needs were higher in participants with 'low' and 'below average' than 'above average' income, by 1.645 times (OR: 1.645, 95% CI: 1.087-2.366) and 1.172 times (OR: 1.172, 95% CI: 1.108-1.880), respectively.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had a higher rate of unmet dental care needs than those living with their family by 1.157 times (OR: 1.157, 95% CI: 1.084-1.498). Conclusion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influenced unmet dental care needs, causing inequality. Proper policy support to the vulnerable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nhance the elderly's access to dental care.

한국 폐경 여성의 허리둘레/신장비 및 안정시 심박수와 심혈관-대사 위험요인과의 상관성 (The Association of Waist to Height Ratio and Resting Heart Rate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박하늬;변지용;전용관
    • 운동과학
    • /
    • 제28권1호
    • /
    • pp.82-90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waist to height ratio (WHtR) and resting heart rate (RHR)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mong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analysis included a total of 1,540 postmenopausal women. RESULTS: Individuals with higher WHtR (>0.56)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lucose, triglyceride, insulin,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HOMA-IR), total cholesterol,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compared with ones with lower WHtR (≤0.51). Similar findings were found in those with higher RHR (≥90 bpm) compared with ones with lower RHR (<60 bpm) for glucose and HOMA-IR. When determining the combined effects of WHtR and RHR 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dividual with WHtR above 0.5 and RHR above 80 bpm showed 10.39 times higher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compared with those with WHtR below 0.5 and RHR below 70 bpm. We further perform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how WHtR and RHR contribute to fasting glucose, and found that both WHtR and RHR contribute to fasting glucose levels independent of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income level. CONCLUSIONS: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the WHtR and RHR are associated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한국 성인의 고 위험 당뇨에 대한 스트레스와 체질량 지수의 성별 차이 (Sex Difference in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and Stress on High-Risk Diabetes Mellitus in Korean Adults)

  • 이혜순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1권3호
    • /
    • pp.224-230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ex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BMI) and stress on high-risk diabetes mellitus (DM). Methods: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4,271 male and female adults participating i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was performed. The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questionnaires and blood tes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2-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PSS 24.0). Results: To identify sexspecific effects, interaction variables were included. Hemoglobin A1c (HbA1c) level was higher in men than in women, and the risk of DM decreased 0.31 times in women compared to that in men. As age increased, the odds of risk DM increased 1.03. The risk of DM increased 1.99 times in overweight individuals and 2.79 times for obese individuals compared to that in individuals with normal weight. Stress levels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but stress is not an influential factor in high-risk DM. In age-sex interaction, the odds of risk DM increased 1.02 in women compared to that in men as age increased. Conclusion: HbA1c level was affected by age-sex interaction, and age and sex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pplication of HbA1c in the diagnosis of DM.

폐경 여성의 비만 및 신체활동과 골관절염 유병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physical activities and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in menopause women)

  • 채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17-225
    • /
    • 2020
  • 본 연구는 폐경 여성의 비만 및 신체활동과 골관절염 유병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 년도(2017) 자료를 이차분석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 년도(2017)에 참여한 19세 이상의 폐경 여성 1,516명으로, 연구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았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골관절염 유병율은 체질량지수가 저체중이거나 정상이고 복부비만도 없는 여성에 비해 체질량지수가 비만전단계 이상이고 복부비만은 없는 여성은 1.88배, 체질량지수가 비만전단계 이상이고 복부비만도 있는 여성은 1.9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경 여성의 골관절염 예방을 위해서는 비만의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하며, 비만은 체질량지수 뿐 아니라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복부비만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성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 혈압 및 지질 조절률과 그 영향요인 (Glucose, Blood Pressure, and Lipid Control in Korean Adults with Diagnosed Diabetes)

  • 부선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6-41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were first to identify the number of Korean adults achieving goals set b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for hemoglobin A1c (HbA1c), blood pressure (BP),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and secondl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lack of goals attainment. Methods: The sample was 413 Koreans with diagnosed diabetes aged thirty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Goals attainment for HbA1c, BP, and LDL-C were presented in percentages.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lack of goals attainment. Results: About 48% had HbA1c<7%, 48.2% had BP<130/80mmHg, and 34.1% had LDL-C<100mg/dL. Only 8.7% of the sample achieved all three parameters. In multivariate analysis, younger age, longer diabetes duration, insulin use, and abdominal obesity were associated with not meeting HbAlC goal. Smoking and use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 were associated with BP${\geq}$130/80 mmHg. No use of lipid lowering agents was associated with LDL-C${\geq}$100 mg/dL. Conclusion: Many Koreans with diabetes were not at goals for HbA1c, BP, and LDL-C. For optimal control, appropriateness of therapy and poor lifestyle habits should be assessed periodically and managed accordingly.

중년 여성의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leep time and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middle aged women)

  • 채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263-272
    • /
    • 2020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 년도(2017)에 참여한 40-64세 여성 1,617명으로, 연구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말 수면시간이 7시간 이상 9시간 미만인 여성에 비해 5시간 미만인 여성에서 자살생각이 3.6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면시간과 우울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 여성의 자살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에 적절한 수면시간 유지를 위한 중재전략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며, 수면시간이 5시간 미만인 중년 여성은 우선적인 중재 대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중년 여성의 수면시간과 우울의 관계에 대해서는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혈중 비타민 E 수준과 알레르기 비염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 자료 분석 (Serum Vitamin E levels and Allergic Rhinitis : Analysis of the KNHANES VII-3)

  • 이소나;최혜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62-6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혈중 비타민 E 수준과 알레르기 비염의 위험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복합표본 빈도와 백분율, 복합표본 교차분석, t-test, ANOVA 그리고 Odds ratio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10세 이상 혈중 비타민 E 수준는 평균 12.60mg/L이었고, 의사로부터 알레르기 비염을 진단받은 사람은 15.9%였다. 연구 대상자의 혈중 비타민 E 수준이 낮을수록 알레르기 비염 유병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0.05, p=.013). 따라서 한국인의 알레르기 비염 예방 및 관리를 위해서는 혈중 비타민 E 모니터링 및 비타민 E 를 포함한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