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e Geum River

Search Result 67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Occurrences of High-Saline Ground Water at Seocheon Area, Korea (서천 길산천 소유역의 고염분 지하수 수질과 산출 특성)

  • Moon, Sang-Ho;Lee, Bong-Joo;Park, Kwon-Gyu;Ko, Kyung-Seo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2 no.3
    • /
    • pp.235-246
    • /
    • 2009
  • High-saline ground water, whose eclectrical conductivity value ranges from 12,000 to 21,000 $\mu$S/cm, occurs at the small catchment of Gilsan stream near Geum-river estuary dike. These high-saline ground water comes form three different aquifers consisting of two horizons of sand sediments and one weathered zone with top part of unconformity. For these three aquifers showing mutual independence in terms of hydrogeological and hydrogeochemical connection, we examined characteristics of aqifer occurrences and their water chemistry, and observed and analyzed the fluctuations of the ground water leve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ur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saline characteristics of ground water in this study area should not come from dynamic recent seawater intrusion, but might be due to the fossil saline water included and isolated within the paleo-sediments or weathered zone and their upper unconformity part. This high-saline water seems to be now partially mixed and affected by freshwater in the higher inland reach of Gilsan stream.

Estimation of Optimal Ecological Flowrate of Fish in Chogang Stream (초강천에서 어류의 최적 생태유량 산정)

  • Hur, Jun Wook;Kim, Dae Hee;Kang, Hyeongsi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 no.1
    • /
    • pp.39-48
    • /
    • 2014
  • In order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 for stream restoration and environmental flow, we investigated optimal ecological flowrate (OEF) and riverine health condition in the Chogang Stream, a tributary to Geum River, Korea. The number of fish individuals sampled in this period were 4,669 in 36 species of 9 families. The most abundant species was Korean chub (Zacco koreanus, 34.0%) followed by pale chub (Z. platypus, 22.6%) and Korean shin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13.3%).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values decreased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long the stream. The estimated IBI value ranged from 27.9 to 38.6 with average 32.2 out of 50, rendering the site ecologically fair to good health conditions. OEF was estimated by the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 (PHABSIM) using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es (HSI) of three fish species Z. koreanus, C. splendidus and Pseudopungtungia nigra selected as indicator species. In Z. koreanus, HSI for flow velocity and water depth were estimated at 0.1 to 0.4 m/s and 0.2 to 0.4 m, respectively. In P. nigra, HSI for flow velocity, water depth and substrate size were estimated at 0.2 to 0.5 m/s and 0.4 to 0.6 m and fine gravel to cobbles, respectively. OEF values increasing from up to downstream was found to increase, weighted usable area (WUA) values increased accordingly.

Predicting Habitat Suitability of Carnivorous Alert Alien Freshwater Fish (포식성 유입주의 어류에 대한 서식처 적합도 평가)

  • Taeyong, Shim;Zhonghyun, Kim;Jinho, Ju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0 no.1
    • /
    • pp.11-19
    • /
    • 2023
  • Alien species are known to threaten regional biodiversity globally, which has increased global interest regarding introduction of alien speci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designated species that have not yet been introduced into the country with potential threat as alert alien species to prevent damage to the ecosystem. In this study, potential habitats of Esox lucius and Maccullochella peelii, which are predatory and designated as alert alien fish, were predicted on a national basis. Habitat suitability was evaluated using EHSM (Ecological Habitat Suitability Model), and water temperature data were input to calculate Physiological Habitat Suitability (PHS). The prediction results have shown that PHS of the two fishes were mainly controlled by heat or cold stress, which resulted in biased habitat distribution. E. lucius was predicted to prefer the basins at high latitudes (Han and Geum River), while M. peelii preferred metropolitan areas. Through these differences, it was expected that the invasion pattern of each alien fish can be different due to thermal preferenc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model's predictive power, and future predictions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are required to aid establishing sustainable management plan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ellular automata-based urban inundation and water cycle model CAW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도시침수 및 물순환 해석 모형 CAW의 개발 및 적용)

  • Lee, Songhee;Choi, Hyeonjin;Woo, Hyuna;Kim, Minyoung;Lee, Eunhyung;Kim, Sanghyun;Noh, Seong J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3
    • /
    • pp.165-179
    • /
    • 2024
  • It is crucial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undation and water cycle in urban areas for mitigating flood risks and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Cellular Automata-based integrated Water cycle model (CAW). A comparative analysis with physics-based and conventional cellular automata-based models was performed in an urban watershed in Portland, USA, to evaluate the adequacy of spatiotemporal inundation simulation in the context of a high-resolution setup. A high similarity was found in the maximum inundation maps by CAW and Weighted Cellular Automata 2 Dimension (WCA2D) model presumably due to the same diffuse wave assumption, showing an average Root-Mean-Square-Error (RMSE) value of 1.3 cm and high scores of binary pattern indices (HR 0.91, FAR 0.02, CSI 0.90). Furthermore, through multiple simulation experiments estimating the effects of land cover and soil conditions on inundation and infiltration, as the impermeability rate increased by 41%, the infiltration decreased by 54% (4.16 mm/m2) while the maximum inundation depth increased by 10% (2.19 mm/m2). It was expected that high-resolution integrated inundation and water cycle analysis considering various land cover and soil conditions in urban areas would be feasible using CAW.

Determination of bromide in bottled mineral water and ground water in Korea (먹는 샘물 및 지하수 원수 중 bromide 분석연구)

  • Ahn, Hye-Sil;Seo, Kyoung-Ae;Park, Ju-Hyun;Lee, Jun-Bae;Kim, Tae-Seung;Han, Jin-Seok;Kwon, Oh-Sang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1
    • /
    • pp.10-14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international analytical methods of bromide and applied to determine bromide in bottled mineral water and raw ground water in Korea. Bromide in water was eluted by 10~50 mM potassium hydroxide (KOH) and determined by ion chromatography-suppressed conductivity detector (IC-CD). Sample was purified with Ba- and H-on-guard cartridge and $0.2\;{\mu}m$ membrane filter. The method detection limit (MDL)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bromide were 0.2 and $0.5\;{\mu}g/L$, respectively. The calibration curve showed good lineality above 0.9993 in the ranges of the $0.5\sim80\;{\mu}g/L$.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bromide in ground water and sum of bromide and bromate in bottled mineral water is 0.808.

Establish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Pencycuron in Representative Agricultural Commoditie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대표 농산물 중 살균제 Pencycuron의 HPLC 정밀 잔류분석법 개발)

  • Lee, Hyeri;Choi, Hoon;Kim, Byung-Joon;Kim, Eunhye;Kim, Su-Hee;Lee, Jin-Beom;Lee, Young Deuk;Kim, Jeong-Ha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21 no.1
    • /
    • pp.75-83
    • /
    • 2017
  • The single residue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for determining fungicide pencycuron residues in various agricultural commodities with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Pencycuron residue was extracted with acetone from representative crops such as Korean cabbage, apple, brown rice and green pepper. After ethyl acetate/n-hexane partition and subsequent clean-up with silica gel chromatography, pencycuron residue was quantified by reversed phase HPLC with UV detection at 240 nm. The suspected residue of pencycuron was confirmed using selected-ion monitoring (SIM) LC/mass spectrometry (MS). Instrumental limit of quantitation (ILOQ) and method LOQ (MLOQ) were set at 2 ng and 0.02 mg/kg, respectively. Overall recoveries of pencycuron from different crop samples fortified at three levels (MLOQ, 10MLOQ, 100MLOQ) were 72~108%. This proposed method could be useful as official analytical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pencycuron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Analysis of the 2015 drought for Geum river basin and northwesten area in Chungnam (2015년 금강수계 및 충남 서북부 지역의 가뭄상황 분석)

  • Kim, Jeong Yup;Sung, Jang Hyun;Choi, Yong Joon;Park, Sang Geun;Kim, Ya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45-245
    • /
    • 2016
  • 지난 해 금강수계 강수량은 835.0mm로 평년('81~'10)의 64.3%, 삽교천수계는 765.1mm로 평년의 61.1% 정도로 매우 적었다. 특히 작년 6월부터 9월까지의 금강수계 강수량은 343.1mm로 평년 894.8mm의 38.3%, 삽교천수계 강수량은 301.1mm로 평년 860.6mm의 35.0% 수준으로 일반적으로 연간 강수량의 2/3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현상과는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며 충남 서북부지역 8개 시 군은 최악의 가뭄을 겪었다. 따라서 작년 가을에는 전국적으로 가뭄이 만연한 가운데에서도 충남 서북부 8개 시 군에는 8월말부터 시작된 물 절약 캠페인에 이어서 10월8일부터 물 사용량 20%를 줄이기 위한 급수조정이 시작돼 지역주민들의 일상생활이 제약을 받기 시작하였다. 수도꼭지를 틀어보아도 시원한 물줄기를 볼 수 있은 지가 오래되었고 목욕이나 세차 등으로 충분히 물 쓰는 것이 눈치가 보일뿐더러 마실 물 걱정까지 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금강수계 대부분의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 공급을 담당하는 대청댐의 상황도 2015년 9월말 기준 누적 강수량은 536.7mm로 전년 강수량 791.6mm 대비 67.8%, 예년 강수량 1,077.5mm의 대비 49.8% 수준으로 강수량이 매우 적은 상황이었다. 9월말 기준으로 대청댐의 '15년 누적 강수량은 1981년 댐 운영 이후 가장 최소이며, 2순위로 9월말 누적 강수량이 적었던 해는 1994년이며 이 때 누적 강수량은 543.8mm, 3순위로 적었던 해는 1982년으로 이 해는 585.8mm였다. 대청댐의 저수위 현황을 살펴보면 6월말에 예년 수준과 비슷한 수위로 운영하였지만 7월말부터 예년보다 수위가 낮아지기 시작하여 8월 이후에는 예년과 격차가 나기 시작하였고 작년 10월 중순에는 1981년 댐 운영 이후 3번째로 낮은 저수율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6월부터 실수요량 수준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시작하였고 8월말부터 농업용수 공급량 중 일부를 감량하였고 10월부터는 생공용수만 하루 1,987,200톤으로 계획하여 공급하면서 '16년 우기 전까지 최대한 저수량을 확보하면서 용수공급을 지속할 수 있도록 운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5년 강수량 부족으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은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가뭄 현황을 분석하고, 충남 서북부지역의 주요 공급원인 보령댐과 기타 충남지역의 주수원인 대청댐의 운영현황과 가뭄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추진한 방안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ystematic Approach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Geum River Estuary in Korea (하구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적 접근: 금강하구해역 사례)

  • Lee, Chang-Hee;Kim, Tae In;Cho, Honglae;Ryu, J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8-18
    • /
    • 2020
  • 금강하구와 같이 막힌 대형 하구는 근본적으로 복잡한 물리화학적 프로세스와 다양한 이해당사자간의 갈등 때문에 단편적인 접근으로는 관리의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더욱이 하굿둑의 갑문을 열어 하구순환을 복원하는 해수유통 사업은 그 자체가 가지는 환경적 효용성의 확인과 기존 용수이용 체계의 전면적 변화와 관련된 상당한 비용이 요구된다는 면에서 특별한 논란이 되어왔다. 본 연구는 해수유통으로 인한 금강 하구해역의 수리, 수질, 퇴적 및 생태 등 다양한 환경적 변화를 집중적인 현장 조사 및 통합 모델링을 통해 정량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지역 이해당사자 논의 체계인 금강하구해역정책협의회에 제공함으로써 해수유통과 연관된 이해당사자 간 갈등을 완화하고 과학적 자료에 근거한 정책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과학-정책의 통합). 조사연구는 하굿둑 갑문 개방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해수유통으로 인한 영향을 하구해역(하굿둑의 바다 쪽 해역)과 하구호(하굿둑의 하천 쪽 담수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하천-하구호-연안해역의 공간적 통합). 시나리오는 하구해역정책협의회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개발되었고, 시나리오별 영향파악은 수리(조석 및 파랑 포함), 퇴적물 이동 및 수질은 Delft3D모델을, 유역으로부터의 유량 및 오염물질 부하량은 분포형 비점모델인 STREAM을, 김양식과 이매패류 생산량을 추정하는 생태모델은 통계기반의 포인트 모델을 통해 이루어졌다(수리-퇴적-수질-생태계 모델의 통합). 시나리오 분석결과, 상시 해수유통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굿둑 부분 개방 시나리오에서는 하구해역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하굿둑 부분 개방에 따른 담수방류량 및 이에 대응하는 해수의 유동패턴이 현재와 크게 달라지지 않음을 반영한다. 반면 하구호에 대한 영향은 하구해역에 비해 하굿둑 갑문 운영시나리오에 따라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변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갑문의 부분 개방을 통해 하구호의 수위를 현재 대비 5cm~50cm 변화시켰을 때 1psu 염분의 저층에서의 침투거리는 하굿둑 상류 6km~18km 정도로 예측되었고 갑문 개방에 의해 염분 침투 거리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사용된 통합모델은 수년간의 검보정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였지만, 모델운영 자체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실제 해수유통을 위해서는 시범개방을 통해 모델 예측의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PDF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Cyanobacterias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in Geum River (금강유역의 남조류 세포수와 수질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Gue Tae;Jang, Dong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3-213
    • /
    • 2020
  • 최근 나타나는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로 인해 가뭄과 홍수피해 같은 자연재해 발생 빈도가 높아졌고, 하천에서는 오염된 수질과 수생태계 복원 및 수변공간 조성, 수자원 관리 등의 목적으로 수질환경 개선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수질환경 측면에서 하천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녹조 즉, 남조류의 발생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 개방을 통하여 수질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금강을 대상으로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구간에 대하여 주요 수질인자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남조류 세포수와 주요 하천 수질인자를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보 위치별 남조류 세포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상관도가 높은 수질인자를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식을 도출하여 금강 내 주요 하천 수질인자의 농도에 따른 남조류 세포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기간은 2012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보 건설 이후 시점으로 선정하였고, 월 평균 남조류 개체수가 조류경보제 발령기준 관심단계이상에 해당하는 금강수계의 3개 보에 대하여 남조류 세포수와 수질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인 강수량, (수온)W·T,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부유물질량)SS, (총질소)TN, (총인)TP, (클로로필-a)Chl-a, (전기전도도)EC, (질산성질소)NO3-N, (암모니아성 질소)NH3-N, (인산염 인)PO4-P, (용존총질소)DTN, (용존총인)DTP, (총유기탄소)TOC 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측정 지점별 남조류 세포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인자는 서로 상이했지만 (수온)W·T과 pH의 경우 모든 지점에서 남조류 세포수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세종보는 W·T(0.383, P<0.01), pH(0.391, P<0.05)의 양의 상관계수를 나타냈고, 공주보에서는 (수온)W·T(0.436, P<0.05), pH(0.412, P<0.05)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백제보에서는 (수온)W·T(0.415, P<0.01), pH(0.221, P<0.01)의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남조류 세포수와 수질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 중 (수온)W·T과 pH에 영향을 받는 영양염류와 퇴적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연구를 통해 제시된 남조류 세포수 다중회귀식은 주요 수질인자 농도에 따라 발생 가능한 남조류세포수를 예측하여 금강의 수질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hange of Fish Assemblage with Altered Flow Regime in Geum River (금강에서의 유량변동과 어류상 변화)

  • Seo, Jin-Won;Hong, Young-Pyo;Kim, Jeong-Kon;Park, Sang-Young;Kim, Gee-Hyoung;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12-616
    • /
    • 2007
  • 오랫동안 홍수조절, 용수공급, 전력생산, 레저 활동을 위해 건설된 댐들은 하천이나 호소의 생태적 기능보다는 치수 및 이수기능이 중요시되면서 운영 관리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 및 생태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하천생태계 보호를 위한 환경유량 산정이 언급되고 있는데 이는 하천이 동 식물의 서식처로서 적절한 수질뿐만 아니라 수심, 유속, 하상재료, 먹이원, 어류를 보호할 수 있는 휴식 및 은신처 등의 다양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시되고 있다. 이들 조건 중 유량(Flow)은 하천에서 생물집단을 구성하는데 있어 물리적 서식조건의 주요한 결정인자로 작용하는데, 댐 하류하천의 자연유량(natural flow)을 변화시키면 생태학적 측면에서 기대치 않던 영향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댐 건설 전 후의 자연유량과 조절유량 사이에서 생태학적 어류조사연구를 통한 차이점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수계 내 댐 건설 전 후의 어류군집과 유량 등 수리조건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하천구간별로 어류생태에 적합한 유량을 산정하는 것이다. 조사대상 구간은 금강본류를 대상으로 하되 용담댐과 대청댐을 중심으로 하여 10개 구간을 선정하였고. 과거로부터 2000년도까지와 용담댐 건설후인 $2002{\sim}2004$년도에 조사된 어류생태자료를 활용하였다. 용담댐 상류로부터 대청댐 하류에 이르기까지 전 구간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20과 82종이 출현하였고, 이중 종 45종(54.9%)이 잉어과에 해당하며 미꾸리과(6종), 동자개과(4종), 망둑어과(5종)를 제외한 대다수의 분류군(Family)들은 단일 또는 2종으로만 구성되었다. 이들 중 천연기념물 제 259호로 지정되어 법적으로 보호되고 있는 어름치(금강에서 서식한 어름치를 따로 천연기념물 238호로 지정함)를 비롯하여 다묵장어를 포함한 7종의 멸종위기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각시붕어 등 총 29종(39.4%)의 높은 한국고유종 출현과 6종의 외래도입종도 확인되었다. 금강의 중 상류에 해당하는 구역을 포함하는 대청댐 상 하류 구간에서 대청댐 건설 전(1980년 이전)을 포함하는 2000년 이전 조사 자료가 가장 다양한 어류상과 특이어종(멸종위기종 및 한국고유종)을 보였고, 최근자료$(2002{\sim}2004)$를 살펴볼 때 용담댐 상 하류에서보다 대청댐 상 하류에서 멸종위기종(7종$\rightarrow$1종) 및 한국고유종(28종$\rightarrow$16종)의 출현감소와 외래도입종의 출현증가(1종$\rightarrow$6종)와 같은 주요한 어류군집 변화를 보였다. 이는 댐 건설에 따라 주로 계류성 어종을 중심으로 정수역 구간에서 인근 지류로 이동하게 되고 일부는 제한된 서식공간과 하천교란으로 인해 개체군이 극감하거나 일부 소멸된 종이 발생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측 유량자료 분석에 의하면 홍수기 최대유량 변화는 크지 않으나, 갈수기 최소유량은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고, 대다수 어류의 산란기인 봄철(5월, 6월) 최소유량은 증가하였으나, 최대유량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어류생태계에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있으며, 향후 이러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선택어종(Target species)별 생태환경 서식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조사기법 및 자료구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