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ulture of City

검색결과 1,375건 처리시간 0.025초

지방도시의 발전정책에 관한 주민의 인식과 태도: 전남 순천시를 사례로 (Resident관 Cognitions and Attitudes about Urban Development Policy: A Case of Sunchon City)

  • 이정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3-35
    • /
    • 2001
  • 도시의 발전정책에 대한 주민의 인식과 평가태도는 정책의 성공여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역정책의 수립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역사.문화적으로 전남 동부지역의 중심지로 성장해 왔고, 오늘날에는 광양만권의 중심도시로 기능하고 있는 순천시를 사례로 도시발전정책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태도를 고찰한 것이다. 도시발전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주환경과 삶의 질, 도시발전정책의 문제점, 그리고 장기적인 방향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지 조사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순천시민들은 순천시의 삶의 질에 대해 비교적 만족하고 있고,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문화.여가시설을 비롯한 생활편익시설의 확충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순천시 도시발전의 미래상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장차 교육과 문화기능의 강화를 중점을 두고 시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평가하였다. 따라서 순천시가 광양만권에서 중심도시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주민의 요구를 수렴한 새로운 유형의 도시발전정책의 수립과 시행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Plant.Green.Living Environment -Urban Construction and Establishment of Green Space in Kunming-

  • Cheng, Hai-L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1호
    • /
    • pp.131-134
    • /
    • 2001
  • Green and plants, as it symbol the life and depute the nature, always give human an easy comfort psychologically. The paper is a brief analysis to the idea frame of urban construction and reform of Kunming through our practice about ten years. On which three main principle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One is that the green-space composed of plant system is of the important infrastructure of a modern city as it can not be instead of by any other factor in the ecological system of the city. The other is that in the course of planning and construction the local feature as well as its culture tradition in history should be pied more attention. In order to create a distinguish character of itself the third may be more important that to coordinate each key elements of it such as green, water, light, building, road, etc., to get a harmonious sphere of human and nature. A modern city should be a green city in which nature and man co-exist harmoniously.

  • PDF

부산의 전통.향토음식의 현황 고찰 (A Rearch of Traditional & Native Local Foods in Busan)

  • 신애숙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7-78
    • /
    • 2000
  • Busan is an underdeveloped region in food culture, though it has geographically convenient conditions of location to make good use of marine products from the sea and the river, a variety of grain and vegetables, and forest products. Thus, in this research, I studied the traditional and local native foods of Busan, focusing on there origins and the backgrounds of their development. There are many traditional and local native foods in Busan, Pajun, Macguli, Jaechupguk, Gupoguksoo and etc. For the development of food culture of Busan, We will keep researching its traditional and local native foods and try to form a new pattern of food culture, making the adventage of an international trading city.

  • PDF

의용소방대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Volunteer Fire Department)

  • 이원주;오현철;이기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148-157
    • /
    • 2016
  • 본 논문은 의용소방대의 조직문화가 구성원의 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세종특별자치시라는 범위를 한정하여 의용소방대원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20.0 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설문문항의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들의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조직문화의 하위 문화유형인 집단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가 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문화와 위계문화는 유의확률 0.05 이하에서 활동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용소방대원이 인식하는 문화유형이 집단문화 그리고 발전문화일수록 의용소방대원의 활동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 의용소방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의 이용후평가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PAJU Book City)

  • 권니아
    • KIEAE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39-48
    • /
    • 2010
  • PAJU Book City Plan was designed to integrate two concepts of "Publishing Productive City" and "Ecological City" with the goal of "bringing of human being and nature together". This research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n PAJU Book City has two aims; One is to define how people, mainly working there rather than living, recognize the city and the other is to identify the problems resulted from the first phase of planning process and to suggest feasible solutions at the same time. It would be desirable that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should be used as data sources to improve the second phase of the plan.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created by the pre-survey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es and "Pa Ju publishing city architectural design guide book (1999)". With those criteria, on-sit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mong people who work in PAJU Book City and stratified sampling was used for the proper sampling.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visual-aesthetic criteria had positive response, which also closely related to a city satisfaction. Considering this result, construction type, circumferential environment of the building and a place of building form were found appropriate. The evaluation on the physical-ecological criteria was relatively low. Respondents were unsatisfied with green space and required better ecological waterway and more roadside tree. As green space was given a lot of weight in satisfaction survey, more green urban areas should be planned in the next phase. The evaluation on the social-behavior criteria got the lowest score. Particularly,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t facilities were remarkably low. Nonetheless, the self-conceit about PAJU Book City was highly evaluated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a city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physical beauty, characteristics as a publication city as well as an ecologically sustainable city should be main agenda in the second phase of Paju Book City Plan.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mage media in order that PAJU Book City should be re-born as a culture city.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방안 연구 - 안동시 중구동 사례로- (A Study on Urban Regeneration Us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 Case of the District of Junggu-dong, Andong City)

  • 김용남;홍형철;권기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5-386
    • /
    • 2018
  • 본 연구는 안동시 중구동을 사례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내용은 관광상품개발, 체험프로그램, 축제이벤트, 스토리텔링, 영상콘텐츠개발, 환경정비가 있다.

  • PDF

IPS 도시경쟁력 평가 모델과 한국 도시의 경쟁력 평가 결과, 그리고 춘천시의 경쟁력 향상 전략 (Application of IPS model of city competitiveness to Korean cities, and strategies to enhance Chuncheon city's competitiveness)

  • 조동성;임민영
    • 여가학연구
    • /
    • 제6권3호
    • /
    • pp.39-56
    • /
    • 2009
  • 국가 간 경쟁의 주체가 국가에서 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변화함에 따라 지역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의 근원으로, 지역차원의 조직이 국가 간 핵심 경쟁 단위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75개 광역·기초시를 대상으로 하는 IPS 도시경쟁력 평가 모델을 통해 도시의 경쟁력을 구체화하고, 특히, 춘천시의 현재와 미래경쟁력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춘천시의 경쟁력 강화전략을 2010년 춘천시에서 개최되는 World Leisure Congress와 World Leisure Game 행사가 춘천시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도시의 현재경쟁력뿐만 아니라 미래경쟁력까지 포괄하여 검토함으로써 도시의 경쟁력 강화에 대한 시각의 포괄성을 제시함은 물론, 도시의 여건 및 정책의 문제점을 진단하는 준거로 삼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문제해결과 함께 보다 발전적인 도시전략 수립을 위한 척도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지역발전 기여 - 부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Contribu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of Public Library to Local Development: Focused on Cases of Busan City)

  • 윤희윤;김경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9-48
    • /
    • 2019
  • 자유학기제는 초등학교 진로인식, 중학교 진로탐색, 고등학교 진로설계를 연계한 교육정책으로서 중학교 진로교육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제도가 2016년에 전면 시행됨에 따라 공공도서관도 자유학기제 기반의 프로그램을 개설 제공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분석한 후 지역발전에 대한 기여도를 논증했다. 그 결과, 진로 직업탐색, 진로탐방 체험, 정보해득력 제고 프로그램은 지역의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생활문화, 여가문화에 기여했다. 다만, 진로 직업탐색 중 강연 전시와 직업체험, 정보해득력 제고가 여가문화 및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바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식생태계 구조, 디지털 정보격차, 인문치유, 사회환경 문제, 미래 직업상 등에 관한 프로그램을 추가하고 정보해득력 프로그램을 필수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이커문화를 대상으로 한 공공정책 연구 - '메이커시티 세운'을 중심으로 - (Public Policy Research on Maker Cultre: the case of Makercity Sewoon)

  • 오경미;박소현
    • 예술경영연구
    • /
    • 제56호
    • /
    • pp.243-274
    • /
    • 2020
  • 국내의 메이커문화는 2012년 '메이커페어 서울'의 개최를 계기로 본격 시작된 후 대중들에게 큰 관심을 받으며 트렌드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역시 이 흐름에 주목하여 메이커문화를 공공정책의 대상으로 포섭하기 시작하는데, 정책적 영역에서 메이커문화는 창조산업, 창조도시, 4차산업혁명 등의 정책 담론을 아우르는 창조경제의 범주 안에서 추진되었다. 창조경제는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적 영역에서 만들어진 공공정책 담론이다. 창조산업과 창조경제에서 창조성과 문화예술은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다루어지지만 오직 경제 창출로 이어졌을 때만 그것의 가치에 대한 궁극적인 인정이 이루어지므로 창조성과 문화예술은 대상화되고 소외된다. 본 연구는 메이커문화 역시 창조경제의 범주 안에서 추진되었기에 창조성과 문화예술처럼 대상화되고 소외되고 있다고 보았다.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메이커시티세운' 사례를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현재 서울시의 세운상가 일대를 둘러싼 도시개발 계획은 해당 일대의 기술 생태계를 파괴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어 메이커문화를 장려하고 육성하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한다는 그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또한 메이커시티 세운이 창조경제, 창조도시라는 담론으로 포장되어 있지만 담론의 한계로 비판받아왔던 문화예술의 소외와 노동 소외의 문제가 동일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사실까지 밝힐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