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Bronze Age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4초

능선환경으로 본 천안 백석동 청동기시대 취락의 최적 입지환경 - 지형분석과 GIS분석을 이용한 주거지 입지 특성에 주목하여 - (The Optimal Locational Environment of the Bronze Age Settlement in Cheonan Baekseok-dong through the Ridge Environment's Perspective - Focusing on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s Based on Geographical Analysis and GIS Analysis -)

  • 박지훈;이애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3-116
    • /
    • 2018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o reconstruct the optimal locational environment of the Bronze Age settlement in Cheonan Baekseok-do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tudy settlement). Second, to identify the priority ranking of the topographic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Bronze Age people when selecting their the settlement location. For these reasons, the topographical factors of the 200 Bronze Age dwelli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wellings) confirmed in the survey area were analyzed through the ridge's environmental perspective. The results are asfollows: First, the optimal ridge environment of the Bronze Age settlement is largely a sub-ridge in N-S direction (for example, NNW-SSE, N-S, NNESSW), especially at the top (Crest slope, Crest flat) of the south-facing aspect of the ridge. Second, when the Bronze Age dwellers selected a residential location, they carefully considered topographical factors in the following order: (1) the slope direction of the ridge surface, (2) the micro-landform of the ridge, (3) the ridge scale, (4) the ridge direction, and (5) the surface relief.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in related fields such as archaeology, quaternary research, and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so on.

능선환경으로 본 아산 용두천 유역 및 주변 지역에 있어서 청동기시대 취락의 최적 입지환경 (The Optimal Location Environment of the Bronze Age Settlement in Yongdu Stream and its Surrounding Area in Asan through the Ridge Environment's Perspective)

  • 박지훈;이애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9-11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restore the optimal topographical environment of the Bronze Age settlements in the Yongdu Stream and its surrounding area in Asan City. Second, we reveal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opographical factors that the Bronze Age people considered when selecting their dwelling locations. We compared and analyzed topographical factors (ridge scale, ridge direction, slope direction of the ridge, micro-landform of the ridge, position of the ridge) from the ridge's environmental perspective of 123 Bronze Age dwelli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wellings) found in the survey area for that purpo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a macro perspective, the optimal topographical environment for the location of the Bronze Age settlement is the second ridge that have the E-W direction. And from a micro perspective, it is the southeast direction slope of the Crest slope at the summit. Second, it appears that the Bronze Age people have taken important consideration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ir dwelling in the following order: ① position (eg. summit), ② micro-landform (eg. Crest slope, Upper slope), ③ slope direction (eg. southward, South, Southeast), ④ scale (eg. sub-ridge, secondary, tertiary), ⑤ direction (eg. E-W, NNE-SSE).

청동기(靑銅器) 화문(花紋) 연구 비교 고찰 (Comparative Study of Research for Bronze Ware Decorative Patterns)

  • 오제중
    • 비교문화연구
    • /
    • 제51권
    • /
    • pp.235-256
    • /
    • 2018
  • 본 연구의 목표는 송대(宋代)와 민국(民國) 이후의 청동기 화문(花紋)의 내용과 성과를 대상으로 이들 두 시대의 학술적 성취를 비교하여 고찰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중국의 청동기 연구 역사에서 청동기 화문(花紋) 연구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이들의 학술적 가치를 알아보았다. 청동기를 연구하는 것은 종합적 성격의 학문이다. 그러나 과거에는 청동기 위에 새겨진 명문(銘文)이나 청동기를 분류하는 것을 위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에 비해 청동기 화문(花紋)에 대해서는 연구가 상대적으로 소홀히 진행되었다. 청동기 화문(花紋)은 고고학(考古學)과 신화학(神話學) 등의 학문과 연관되어 있으며 고대인들의 상상력을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에서 본격적인 청동기 연구는 송대(宋代)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이후 청대(淸代)에는 청동기에 대한 연구가 다시 부흥했지만 청동기 화문(花紋)에 대해서는 특별한 학술적 성과가 없었다. 하지만 민국(民國) 시기에 이르러 청동기 화문(花紋) 연구는 송대(宋代)의 뒤를 이어서 수준 높은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고대 청동기의 성분조성 및 산지추정 연구 (Study on quantitative & trace element analysis of metal objects)

  • 정광용;강형태;정동찬;윤용현;이훈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4년도 제20회 발표논문집
    • /
    • pp.137-153
    • /
    • 2004
  • We have analyzed the ingredients of 17 pieces of Bronze Age bronze ware, and an additional 22 pieces of Koryo and Chosun dynasty bronze ware. We have also conducted analysis of the extraction sites where these bronze ware items were found. For analyzing the main ingredient the bronze ware items have been divided into 3 groups - Cu-Sn(70?75:20), Cu-Pb-Sn(70:10:10), Cu-Pb-Sn(60:10:20) type respectively. In tile cases of the Cu-Pb-Sn groups the division comes down to differences in the Cu content as the main component, and elements such as Ni, Fe, Co contribute as a micro ingredient. The geographical and periodic characteristics of ancient bronze ware items show that theircompositional element changes from Cu:Sn to Cu:Pb:Sn and the Cu content decreases with the period,while the Pb content increases with the period. Bronze ware items from Suchon Ri, Gongju (that were used in 3 B.C.) form very different categories from 3rd ${\~}$ 2nd B.C.. They additionally formed very different categories from those bronze ware items analyzed in this research. These bronze ware itemsare shown to be geographically close and periodically overlapped, but made of a new elemental composition. This shows an inflow of a production technical culture present in the new bronze wares. The main component content of Cu is lower, and the Co and Fe contents (as microelements) are much higher than that of other bronze ware items. Such facts showthat those bronze ware items used completely different materials from bronze ware items in other cultural areas, or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melting techniques In the places where ancient bronze ware items have been extracted, it is presumed that the materials originated from the southern parts of Korea andnorthern parts and southern parts of China. .As more bronze ware scientific research is compiled one can conclude that that there will be enough scientific evidence to study the Bronze Age culture of Koreasystematically.

  • PDF

한국 고고학 성립 시기 청동기 연구에 대한 새로운 인식 - 윤무병(1924~2010)의 연구를 중심으로 - (A new glimpse on the foundation of the Bronze Age concept in Korean archaeology)

  • 강인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2호
    • /
    • pp.154-169
    • /
    • 2021
  • 해방 직후 한국 고고학의 성립기에서 청동기시대의 설정은 가장 핵심적인 성과중 하나이다. 일본의 학자들이 만들어 놓은 금석병용기시대를 반박하고 청동기시대라는 개념을 안착시키고 청동기 연구의 기반을 수립한 대표적인 인물은 윤무병이라는 데에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동안 윤무병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꼽히는 세형 동검의 형식분류와 전개과정이외에도 청동기시대의 설정도 주요한 성과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한국 지석묘 연구 프로젝트로 일환으로 진행된 파주 옥석리의 발굴이 한국 청동기시대의 설정에 결정적인 근거가 되었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윤무병의 성과를 그와 함께 한국 고고학계를 주도한 김원룡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아울러 해방이후 한국 고고학을 둘러싼 환경도 고려하여 그 현상을 해석했다. 윤무병의 연구는 동아시아재단으로 대표되는 미국의 재정적 지원이라는 하드웨어적 기반과 일본 고고학에서 출발한 정치한 형식적 기법이 결합된 것이다. 한편 자료적 측면에서 본다면 아울러 195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개시된 북한연구의 소개와 북방 지역 자료를 소개한 김원룡의 역할 등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 이와 같이 윤무병의 연구는 1960년대 탈식민지라는 주요한 과제를 한국 고고학계가 어떻게 성취했는가를 볼 수 있는 주요한 근거가 된다. 다만, 일본 편년관의 의존으로 청동기시대의 편년관을 지나치게 낮게 잡아서 한반도 청동기의 편년을 '문화지체 현상'에 근거하여서 만주나 북한과는 동떨어지게 본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물론, 21세기의 시각으로 윤무병의 연구를 재단하거나 폄하하는 것은 옳지 않다. 오히려 윤무병이 견지했던 유물에 대한 천착이라는 고고학적 전통을 새로운 연대관과 거시적인 안목에 결합하여 새로운 연구의 길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21세기 세계화와 거시적인 안목으로 한국 고고학의 저변을 확장해야하는 시점에 윤무병의 연구를 다시 살펴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한반도 중서부 도서지역에 있어서 사면 미지형과 옛 주거지 분포와의 대응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Micro-Landforms and Distribution of the Ancient Dwelling Site in the Middle Western area, Korea)

  • 박지훈;최성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9-118
    • /
    • 2013
  • 본 연구목적은 지형학적 관점에서 한반도 중서부 도서지역인 인천 영종도에 있어서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최적 입지환경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까지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주거지들 중에서 정량분석이 가능한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주거지 각각 145기와 47기를 대상으로 개별 주거지들의 미지형 입지환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가장 많이 밀집하는 구릉의 미지형은 각각 상부곡벽사면(64기, 44.1%)과 정부사면(39기, 83%)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것은 지형학적 관점에서 볼 때, 조사지역의 경우,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가면서 주거지 최적 입지환경이 바뀌었으며 주거지가 입지하는 구릉의 미지형의 위치도 상대적으로 약간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동기시대 춘천지방의 자연환경과 농경 (Natural Environment and Agriculture in Chuncheon Region during the Bronze Age)

  • 이의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93-504
    • /
    • 2003
  • 춘천지방의 청동기시대 유적과 유물은 주로 범람원에 분포한다. 이 지역의 범람원은 대부분 고도가 높아 홍수시에도 물에 잘 잠기지 않는 자연제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제방은 주변의 구릉지나 곡간충적지보다 농경에 있어 훨씬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청동기시대 춘천지방의 주민들은 사연제방에 거주하면서 농경에 종사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자연제방의 지형적인 특성과 토양을 고려하면 당시 이 지역에서는 벼농사보다 밭농사 중심의 농경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구 동천동 청동기시대 취락유적 출토 목질류 수종 분석 연구 (Study of the Species of Trees Used for Wooden Artifacts Excavated from a Bronze-Age Settlement Site in Dongcheon-dong, Daegu)

  • 이효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0권
    • /
    • pp.49-60
    • /
    • 2018
  • 대구 칠곡지구 일대 유적은 청동기시대 및 삼국시대 대규모 취락지가 확인된 고고학적 조사로 그 의의가 크다. 특히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수혈주거지, 고상건물지, 석관묘, 우물, 집수기, 집석, 구상유구, 경작지, 환호, 하도 등의 유구가 확인되어 청동기시대 당시 취락의 전모를 알 수 있는 많은 자료가 조사되었다. 본 조사는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 내 청동기시대 하도 유구 출토 목기 8점에 대한 수종분석 결과이다. 조사 결과, 침엽수재 수종인 소나무류(Pinus spp.)가 2점, 전나무속(Abies spp.) 수종이 2점, 활엽수재 수종인 상수리나무류(Quercus sp.)가 4점 식별되었다. 용도미상으로 분류된 3점의 목기는 소나무류와 전나무속 수종이였으며, 건축부재 5점은 소나무류가 1점, 상수리나무류가 4점이었다.

미륵사지 출토 청동유물의 금속학적 연구 (Metallurgical Study of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Miruksa Temple)

  • 정광용;김영철;맹선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7-39
    • /
    • 1992
  • Metallurgical studies of the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Miruksa Temple were performed by chemical analysis and metallographic observation. Alloy systems of the bronze artifa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f Cu-Sn and Cu-Sn-Pb, according to the items. The contents of impurities such as Sb, As, Ni and Fe in bronze artifacts are within the limiting range of the mod ern standard bronze castings.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kitchen utensils such as bronze vessels and dishes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are in the follow ing range, Cu : 74.8-79.4% and Sn : 18.6-21.1%.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uddha-image in Koryo dynasty are 820Cu-7.0Sn-10.3Pb, showing increased Pb content and decreased Sn content. The results of chemical analysis suggest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s were good controlled. Any casting defects such as voids and shrinkage holes are not found microscopically, indicating high casting skill. Zinc atoms are not contained in the all bronze artifacts of Miruksa Temple site. This is the common facts founded in the east asian bronze artifacts of Korea, China and Japan. It is comparable with the European bronze of Cu-Sn-Pb-Zn system, after the Middle Age.

  • PDF

북한 청동기시대 고고학 연구 경향의 변화와 쟁점 (Changes in Research Trends and Issues Relating to North Korean Bronze Age Archaeology)

  • 이기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184-201
    • /
    • 2020
  • 해방 이후 북한과 남한의 고고학은 전혀 다른 길을 걸어오게 된다. 특히 1970년대 이후 급격히 정치성을 띠기 시작한 북한 고고학과 대규모 유적 발굴로 학문적 성장이 가속화된 남한 고고학은 큰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며, 이러한 양상은 1990년대 대동강문화의 천명 이후 더 이상 공유되는 부분이 없을 정도의 괴리가 생겨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괴리는 '고조선'을 전후한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에 더욱 두드러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한의 선사 고고학은 지속적으로 북한 고고학에 시선을 둘 수밖에 없다. 아직도 중요한 연구 주제 중인 '문화의 기원과 계통'을 찾는데 있어 북한의 자료가 주된 연구 대상이지만 그 신뢰성에 의문을 표하는 '이중적인 시선'이 남한의 고고학이 북한 고고학을 바라보는 시선인 것이다. 북한 청동기시대 고고학과 남한 청동기시대 고고학에서 보이는 '괴리'의 많은 부분은 조사 사례의 증가, 학술적인 토론 등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정치적 차이'에 의한 것이다. 그럼에도 북한 선사 고고학의 흐름을 살펴보는 것은 북한 고고학의 정치성을 비판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북한에서 현재 청동기시대를 바라보는 인식과 남한의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이후 북한의 자료를 포함하여 '한반도의 선사문화', 더 나아가 동북아시아의 선사문화를 설명하는데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미리 확인해 두고자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북한 청동기시대 고고학의 연구 흐름을 살펴보고 동시기 남한 청동기시대 고고학과 비교하여 어떠한 쟁점들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