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Area in OSPF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전술 데이터망에서 OSPF Area 설정과 데이터 흐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OSPF Area and Data Flow in the Tactical Data Networks)

  • 권수갑;정규영;김정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3호
    • /
    • pp.267-276
    • /
    • 2007
  • 라우팅 프로토콜의 하나인 OSPF는 라우터 수가 많고 불안정 링크 수가 많으면 재계산 수는 급격히 증가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한 Area에서 라우터 수는 50개 보다 작게 보유해야 하며 링크가 불안정할 경우 더욱 Area는 작게 해야 한다. 군 전술 데이터 망은 유사시(전시) 사용하는 데이터 망으로 신속한 이동 설치를 위해 무선 전송로를 사용하며 이 때문에 전송속도가 낮고, 전송로가 불안정하다. 또한 전시 많은 라우터 고장과 링크 두절 및 회복 현상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군 전술 데이터 망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설계시 산정되는 라우터 수량보다 라우터 수가 1.5배 많다. 본 논문은 현재 군에서 큰 규모로 선정한 Area로 인한 재계산 수의 증가로 사용자 트래픽 흐름에 제한이 됨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밝혔다.

음성/데이터 통합망 설계를 위한 이행 단계별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s of the Computer Networks for the Voice/Data Coexisted Network Design)

  • 엄기복;여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678-68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통신망에서 음성/데이터 통합을 위하여 이행단계별 성능평가를 실시하고 최적의 모델을 제안하였다. 먼저 기존에 있는 PBX를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수용할 경우3.3ms에서 3.5ms 지연이 발생하였고, IP를 이용한 음성/데이터 네트워크 통합시 0.7ms에서 0.9ms지연이 발생하였다. IP+/ATM를 이용한 음성/데이터 네트워크에서는 0.26ms에서 0.32ms 지연이 발생하였고, 일부 지역 네트워크에 장애를 발생 할 경우 IGRP 라우팅 프로토콜은 1.1ms-1.3ms, OSPF 라우팅 프로토콜은 0.9ms-1.2ms의 지연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통신망에서 음성/데이터 통합을 하기 위해서는 음성/데이터 통합망은 IP+ATM를 이용하고, 계층적인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OSPF를 사용할 때 최적의 성능을 보장 받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차세대 패킷광 통합망 관리 및 제어기술 연구 (Management and Control Scheme for Next Generation Packet-Optical Transport Network)

  • 강현중;김현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5-42
    • /
    • 2012
  • 데이터 트래픽의 증가와 대용량 실시간 서비스와 관련된 요구사항들의 증가는 음성이나 전용선 서비스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기존의 시간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기반 네트워크에서 좀 더 유연하고 동적인 구성이 가능한 광 네트워크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광 네트워크는 데이터, 비디오, 그리고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다수의 채널을 제공하는 핵심 인프라가 되었다. 이를 위해 차세대 패킷광 통합망은 네트워크 이상이 발생하여도 용인할 수 있는 수준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신속하고 최적화된 복구(restoration) 정책은 GMPLS(Generaliz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기반 제어평면을 사용으로 하는 차세대 패킷광 통합망의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이 되었다. 본 논문은 GMPLS 기반 다계층 패킷광 통합망에서 신속하고 일원화된 복구를 지원하기 위한 계층적인 다계층 복구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구현방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신호 및 라우팅 프로토콜을 수정하지 않고 제안한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의 제안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