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Aged Welfare

검색결과 1,254건 처리시간 0.027초

독일 노인의료지원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the Medical Service Network for the Elderly in Germany)

  • 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9-26
    • /
    • 2010
  • Germany became a super-aged society which has the number of people aged 65 or older reached 19 percent of population in 1997. Similarly, there is a tendency in Korea to increase the number of older people coupled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of the senior citizen who lives alone due to a rapid change of family unit. Research on geriatric in Germany is being carried out in many different ways, like medical, welfare, and social aspects because of the fact that Germany is in the middle of a super-aged society. Therefore, analysis and evaluation of elderly care facilities in Germany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overall planning of elderly care and welfare facilities which are expected to grow demand dramatically.

노인종합복지관 이용이 노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se of Senior Cente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 이윤성;조종현
    • 벤처혁신연구
    • /
    • 제2권1호
    • /
    • pp.57-79
    • /
    • 2019
  • 우리나라는 그동안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발전,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개관 초기에 1990년에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5.1% 밖에 지나지 않았으나 30년이 지난 현재는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15년 654만명, 2017년에는 14%로 고령사회 접어들어 들었다, 고령인구들이 일상적으로 여가를 보내는 시설 대표인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서비스 품질이 어르신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매우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다. 이에 따라 연구조사를 통해 어르신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상태와 어르신이 경험하고 있는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그 차이를 찾아냄으로써 노인종합복지관이 제공해야할 정보와 서비스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관악노인종합복지관은 설립 이래 30년 동안 지역사회의 어르신을 위한 전문적인 노인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노인복지정책 수립에 경험적 바탕으로 많은 기여하고 있다. 향후 다가오는 국민소득 3만불시대, 국민연금 시대, 평균수명 100세 시대 등은 새로운 창조적 노인복지 프로그램 -양적 중심이 아닌 질적 중심인 프로그램, 다수가 아닌 소수 중심의 프로그램, 무료가 실비 프로그램, 수동적 프로그램에서 창조적 프로그램, 획일적인 대상 중심에서 대상의 다양성 등-의 변화는 향후 30년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년기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경험과 몰입정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Degree the Flow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Middle-Aged Women)

  • 이보람;이정화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49-361
    • /
    • 2014
  • This study was examined the general trends in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the flow degre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in Korea and explored how psychological well-being varies according to various sociodemographic variable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flow degree.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insights into how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can be enhanced. Data were gathered from 302 middle-aged women between the ages of 40 and 60 by using a structural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methods included a descriptive analysis, a t-test, and a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8.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key variables influe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included the flow degree in terms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education level. These variables explained 30%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nd the flow degree, the strong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flow degree had greater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an increase in the flow of social activities increase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uggests a need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by providing them with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play social roles. One way to accomplish this is by linking retraining and life-long education-related activities to employment or volunteer activit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the flow degree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The results have important policy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경험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Senior Citizens)

  • 이민숙;양소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265-273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복지를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을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2011년 5월에서부터 6월까지 서울과, 경기도 그리고 충청도에서 전문대학을 포함한 4년제 대학과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7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702명의 학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4.05점으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연령, 노인과의 긍정적인 동거경험, 노인관련 자원봉사경험,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신체적 생리적 지식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논의와 노인부양의식의 고취를 위한 사회복지적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 김명희;최연실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3호
    • /
    • pp.1-23
    • /
    • 2007
  • This study provides basic materials that assist in marital counselling and marital therapy intervention through its analysis of the effect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s systematic focus on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of social interest and import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rried men and women, aged 40 to 59,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and Kyeonggi; the study excluded those who were divorced, bereaved or whose last child was in over high school, but included those who were separated or in a second marriage. A total of 396 people, 134 men and 262 women,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married men recorded higher level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than middle-aged married women. While women showe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than me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erms of overall life satisfactio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intim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ird,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were shown to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both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Of the two, marital communication had more the influence. Marital communication also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levels of depression among both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인복지법적 대응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Approaches of the Elderly Welfare Law according to change the Population Structure)

  • 이척희;노재철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4호
    • /
    • pp.73-79
    • /
    • 2020
  •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사회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노인복지에 대한 정책수립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 「노인복지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노인복지법」의 문제점을 찾아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복지기본법」의 제정이다. 「노인복지법」 개선을 위한 제안으로서 노인복지법을 전면 개편하여 고령사회 노인복지에 관한 최상위법이자 기본법으로서의 지위를 부여하는 방안이다. 둘째, 노인 보건·복지 조치 및 노인복지시설 등에 관한 법률의 정비가 필요하다. 「노인복지법」을 재정비하여 노인의 보건복지 조치 및 노인복지 시설에 관한 법으로 그 법적 성격을 명확하게 개정하는 방안이다. 셋째, 「노인복지법」의 법률 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 현행 「노인복지법」에서 담고 있는 주요한 복지정책들의 내용을 그래도 유지하되 앞서 언급한 체계상의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어 개정하자는 방안이다. 결론적으로 현행 「노인복지법」은 제정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노인에 대한 기본적인 예우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저출산·고령사회에 대처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시대적 요청을 받아들일 수 있는 「노인복지법」의 개정 및 보완을 제시하는 바이다.

지방정부 노인복지서비스의 수요·공급간 격차분석

  • 김수영;문경주;주수현;김도엽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
    • 제26권2호
    • /
    • pp.87-112
    • /
    • 2014
  • The entry of aging society and the coming of (super) aged society need overall the elderly welfare policy and budget for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increase to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However, financial limit to the elderly welfare and increase to elderly welfare services in local government rely on central government or private sector. This study is discussed the gap between demands and supplies of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policy implications suggested by these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the poor elderly under minimum living standard and the elderly housing facilities in demand of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is reduced, but other measuring indicators are generally increased. Second, a per 10,000 elderly welfare service officials and a per 10,000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 supply of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are generally increased, but other measuring indicators are reduced.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study is to reduce the poor elderly under minimum living standard, to expend the elderly welfare budget, and adequately to supply a variety of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for reduce demand of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노인가구의 소득유형 및 소득원이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usehold Income Types and Sources on the Depression and Self-respect in Elderly Koreans)

  • 이상록;이순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3호
    • /
    • pp.71-95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가구소득 유형 및 가구 소득원들이 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주목한 연구로, 이를 통해 노인 정신건강 및 삶의 질 향상에는 가구소득 수준의 제고 뿐 아니라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 구성에 대해서도 정책적 주목이 요청됨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분석에는 소득원별 가구소득 및 개별 가구원의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수집되어 있는 한국복지패널조사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노인가구의 가구소득 유형에 대한 군집분석결과에서는 근로/사업/재산소득 의존형 35.7%, 사적이전소득 의존형 41.9%, 사회보험/수당소득 의존형 13.5%, 공공부조소득 의존형 8.8%로 나타나, 노인가구의 소득구성은 동질적이지 않고 내적 편차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가구소득 유형의 차이에는 노인들의 개인 및 가구 특성이 주요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이 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 등의 이원변량 분석결과에서는 노인 우울 및 자아존중감이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들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고, 회귀분석모델을 적용하여 가구소득 유형 및 주요 소득원들의 실제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특정 가구소득 유형(공공부조소득 의존형, 사적이전소득 의존형) 및 특정 소득원들(공공부조소득, 사적이전소득)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들이 노인들에게서 중요한 심리사회적 의미를 지님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노후 삶의 질 제고 측면에서 노후소득보장체계 개선 시 적극 고려되어야 할 바임을 시사한다.

경기도 지역 중장년의 가족관계 어려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Difficultie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aged in Gyeonggi-do: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Services)

  • 조성희;박수선;황경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4호
    • /
    • pp.31-41
    • /
    • 2021
  •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가족지원서비스가 두 요인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제4차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을 위해 실시한 지역주민의 욕구조사 자료 중 50~64세 중장년층 8,695명을 대상으로 가족지원서비스가 가족관계의 어려움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중장년이 경험하는 삶의 만족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가족관계 어려움이 낮을수록, 가족지원서비스를 이용할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그리고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중장년의 삶의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변수인 가족지원서비스는 중장년이 경험하는 가족관계 어려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경기도 지역 중장년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를 탐색하기 위하여 가족관계의 어려움과 가족지원서비스가 갖는 관계 구조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인공지능과 국토정보를 활용한 노인복지 취약지구 추출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Extracting the vulnerable districts of the Aged Welfar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Geospatial Information)

  • 박지만;조두영;이상선;이민섭;남한식;양혜림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169-186
    • /
    • 2018
  • 급속한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인구가 갖는 사회적 영향력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방법론 중 머신러닝, 인공신경망, 국토정보 분석을 통해 노인복지 취약지구를 추출하는 방법론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방향 정립을 위해 65세 이상 노인, 공무원, 노인복지 시설물 담당자와 인터뷰 후 방향을 설정하였다. 경기도 용인시를 대상으로 500 m 공간단위 벡터 기반 격자에 15분 이내 지리적 거리 수용력, 노인복지 향유도, 공시지가, 이동통신 기반 노인활동을 지표로 설정하였다. 10단계 군집형성 후 모의학습 결과 RBF 커널 알고리즘을 활용한 머신러닝 서포트 벡터머신에서 83.2%의 예측정확도가 나타났다. 그리고 역전파 알고리즘을 활용한 인공신경망에서 높은 상관성 결과(0.63)가 나타났다. 변수간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리적 가중회귀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 결정계수가 70.1%로 모형으로 나타나 설명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의 공간적 이상값 여부와 분포패턴을 검토하기 위해 국지적인 공간적 자기상관성 지수인 Moran's I 계수와 Getis-Ord Gi 계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용인시 신도시인 수지 기흥구에서 노인복지 취약지구가 발생하는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인공지능 모의방법과 국토정보 분석의 연계는 최근 정부의 지역여건을 고려한 노인복지 불균형을 해결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