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1 and Th2 immune response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41초

시호(柴胡)가 MC 및 Mouse의 염증관련 cytokine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pleuri Radix on 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to HMC and Mouse Immmune Cells)

  • 최성우;강희;심범상;김성훈;최승훈;안규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0-157
    • /
    • 2009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upleuri Radix(BR) on the Immune response in vitro. Cellular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 were measured in mast cells or mouse B cells or CD4 Th cells. BR water extract inhibited the secretions of TNF-$\alpha$ and IL-6 in PMA/A23187 stimulated HMC-1 cells. It increased proliferation but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s of CD69 or CD23 in rIL-4/anti-CD40 activated S cells. BR reduced surface IgE expression and secreted IgE but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L-4, IFN-$\gamma$ and IgG1 in the same cells. BR caused an increase in proliferation in anti-CD3/anti-CD28 stimulated CD4 Th cells but it did not affect the differentiation of Th1 or Th2 cells. However, IL-2 was increased in BR treated Th2 cells. Considering the above-mentioned results, BR can be applied to a broad range of anti-inflammatory reactions, but our data suggest that it will not be likely to exert any effects on type 1 allergic response.

봉독침자극(蜂毒鍼刺戟)이 생쥐의 면역기능(免疫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pi-Toxin Therapy on Depression of Immune Response in Mice)

  • 강승범;고형균;김창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34-246
    • /
    • 199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i-toxin therapy on depression of immune response, mice were exposed to cold stress $(-20^{\circ}C)$) in 30 minutes twice a day and api-toxin(Bee Venom from Korea and U.S.A) therapy was treated to the Kihae $(CV_6)$ locus of human body every two days with 4 sessions of treatment for 8 days. The mice were sensitized i.v. with $5{\times}10^8$ sheep red blood cells (SRBC) on the 4th day and challenged i.d. with $2{\times}10^9$ SRBC 4 days later. Immune Response for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DTH), lympocyte transformation(LTT), hemolysin titer(HL), plaque forming cells (PFC) were measured.

  • PDF

규칙적인 운동이 면역반응 및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immune response and hormone)

  • 박상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22
    • /
    • 2001
  • This study has measured the pulmonary function by treadmill test for 6 young women who were in twenties, and analyzed the respiratory-circulatory function and the change of hormone and immune response after performing the exercise program (60% severity) for 10 wee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10 weeks regular exercise made a decrease in weight and body fat proportion, and improved the respiratory-circular function by increasing the maximum oxygen absorption and ventilation. 2. 10 weeks regular exercise made a significant increase in count of WBC, lymphocyte, and T lymphocyte, but a significant decrease in B lymphocyte. NK cell also showed an increase in counts, but insignificant. 3. 10 weeks regular exercise made a significant increase in blood norepinephrine level. Epinephrine and cortisol also showed an increase in count, but insignificant. In summary, it suggested that 10 weeks regular exercise improves the immune function by decrease in body fat, increase in respiratory-circular function and metabolic efficiency, and also by raising Th/Ts ratio (an increase in count of WBC, lymphocyte, and T lymphocyte, but a decrease in suppressor T lymphocyte).

  • PDF

IMPACT OF UV RADIATION SENSITIVITY ON DERMATOPHYTES (Microsporum boullardii)

  • Shrivastava, J.N.;Satsangi, G.P.;Jain, Shradha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466-469
    • /
    • 2002
  • An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to measure the impact of UV radiation sensitivity on dermatophytes (Microsporum boullardii) by different UV radiation exposure time interval (1 min, 2 min 5 min, 10 min and 20 min) in degradation of keratin (Feather) in growth promoting substances of protein, cysteine, cystine and methionine from 7 to 28 days of incubation period. Mutant strain caused maximum weight loss with 1 minutes of UV radiation exposure at 21 day and mutant strain became immune in sensitivity at 14 days for decomposition of feathers. Maximum protein caused at 21st days with 20 minutes U.V radiation exposure and immune sensitivity had deducted with other UV radiation exposure time. On 28 days, mutant strains became immune with all exposure times, Whereas maximum methionine caused at 21st days with 20 minutes UV radiation exposure. Maximum cysteine caused at $14^{th}$ day with 5 minutes UV radiation exposure and mutant strain showed immune response at all time periods. Cystine production was also followed by cysteine at 21 day and also showed complete immune response with 1 and 2 minutes UV radiation exposure at7 and 14 days. Thus mutant strain of Microspornm boullardii can be used as a biotechnological tool for production of growth promoting substances.

  • PDF

흑마늘(Black garlic) 추출물이 마우스 비장세포의 Cytokine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ack Garlic Extract on Cytokine Generation of Mouse Spleen Cells)

  • 서민정;강병원;박정욱;김민정;이혜현;류은주;주우홍;김광혁;정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3-68
    • /
    • 2013
  • 생리활성물질을 다량함유하고 있는 마늘의 발효산물인 흑마늘의 면역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C57BL6 마우스 비장세포를 이용하여 흑마늘이 비장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흑마늘 추출물은 시판되는 남해 흑마늘 액기스를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IL-2에서 흑마늘 추출물만 처리한 군에서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LPS와 흑마늘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IL-2와 TNF-${\alpha}$, IFN-${\gamma}$의 생성이 LPS만 처리한 군보다 증가하여 대식세포나 T림프구의 발현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성 매개 면역을 활성화를 유도하는 Th1 세포의 발현을 활성화 하였다. 그리고 IL-6는 흑마늘 추출물만 처리하였을 때 후기생성이 증가하였으며, LPS와 흑마늘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경우 LPS만 처리한 군보다 IL-4와 IL-6의 생성이 증가하였다. IL-10은 LPS와 흑마늘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후기 생성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B 림프구의 활성화에 따른 항체생성 면역을 활성화하며 Th1 세포로부터 유도되는 세포성 면역반응을 억제함으로서 항체유도 체액성 면역반응으로 전환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흑마늘 추출물은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T 림프구의 활성화에 따른 Th1 세포와 Th2 세포가 활성화되어 면역계의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반응을 활성화하여 면역조절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소세포 폐암세포에서 Uteroglobin의 면역 조절 기능에 대한 연구 (The Role of Uteroglobin in the Immunomodulation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윤정민;임재준;유철규;이춘택;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4호
    • /
    • pp.336-344
    • /
    • 2004
  • 연구배경 : 폐암에 대한 거의 대부분의 면역 치료는 실패하였는데, 이는 폐암 자체에 존재하는 면역 억제 기전을 극복하지 못한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Uteroglobin (UG, CCSP)은 항염증 등의 활성을 보인다. 방 법 : A549에 Ad-UG을 처리하고, 상층액의 $PGE_2$ 농도를 측정하였다. RPMI 1640, A549 배양액과 UG 혹은 COX-2 억제제인 NS-398을 처리 후 얻은 폐암세포주 상층액으로 PBMC를 배양 후 Th 1 type cytokines과 Th 2 type cytokines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PGE_2$는 UG이 발현되는 세포주에서 감소하였다. 폐암 세포 배양 배지로 키운 면역 세포의 cytokines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UG등을 처리한 비소세포 폐암주의 배양액은 PBMC의 면역 반응을 정상적으로 유도하였다. 결 론 : 비소세포폐암주 배양액은 PBMC의 면역 반응을 비정상적으로 유도하지만, UG은 $PGE_2$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PBMC의 면역 반응을 강화시킨다.

조협 (皂莢, Gleditsiae Fructus) n-hexane 추출물이 NC/Nga Tnd mouse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leditsiae Fructus n-hexane Extract on Atopic Dermatitis of NC/Nga Tnd Mouse)

  • 구은진;김윤희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6-10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Gleditsiae Fructus n-hexane (GSF_Hx) on two different groups (on the LPS-induced activation of Raw264.7 cells in vitro, and on the DNCB-induced activation of atopic dermatitis NC/Nga Tnd mice in vivo) to find index components and active components of Gleditsiae Fructus. Methods GSF_Hx was analyzed by HPLC profiling and confirmed echinocystic acid (EA), oleanolic acid (OA) as index components of Gleditsiae Fructus. Using GSF_Hx, EA, OA, we investigated IL-6, TNF-α, NO production by ELISA analysis and evaluated manifestations of MAPKs transcription factors and NF-κB p65 translocation by western blotting. During In vivo study, atopic dermatitis was induced on NC/Nga Tnd mice by DNCB and administered GSF_Hx, EA, OA orally, and checked skin lesions and measured skin clinical score. Serum IgE level, Th1 and Th2 cytokines secretion and modulating molecular mediators and immune cells in the spleenocyte culture supernatant, PBMCs, ALN and dorsal skin were also measured by real-time PCR. Then, skin rash was evaluated and mast cell distribution was verified by H&E and toluidine blue staining on dorsal skin. Results It is possible that GSF_Hx, EA and OA reduce inflammation and allergic response of atopic dermatitis by suppressing Th1 and Th2 cytokines secretion and modulating molecular mediators and immune cells. They also had moisturizing effect by raising vitality of ceramide in dorsal skin of atopic dermatitis NC/Nga Tnd mice. However, EA particularly had better overall activity data than OA, that EA could be a more effective active component of Gleditsiae Fructus than OA. Conclusions Based on the inflammatory reduction property with moisturizing effect, GSF_Hx may play a role in effective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

알레르기성 천식환자에 있어서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와 Cytokine의 변화 (Tuberculin Skin Test and Change of Cytokines in Patients with Allergic Asthma)

  • 윤형규;신윤;이상학;이숙영;김석찬;안중현;김관형;문화식;박성학;송정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175-184
    • /
    • 1999
  • 연구배경: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은 가역적인 기도폐색과 기관지의 과민성을 동반하는 기도의 만성적인 호산구성 염증성 질환으로서 기도의 염증발현에 관여하는 세포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Th 림프구는 cytokine을 분비하여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Th 림프구는 cytokine의 분비양상에 따라 Th1 림프구와 Th2 림프구로 나뉘어지며 Th1 림프구는 지연형 과민반응과 결핵균이나 바이러스 감염등에 대한 방어작용 그리고 종양에 대한 숙주반응에 관여하고 Th2 림프구는 즉시형 과민반응과 알레르기성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성 질환 그리고 기생충 감염등에 대한 방어작용에 관여한다. Th1 림프구와 Th2 림프구는 서로 길항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대표적인 Th1 림프구 매개 질환인 결핵과 Th2 림프구 매개질환인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은 서로의 발생을 억제할 것으로 추정되며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환자에서는 Th2 림프구의 기능이 항진되어 Th1 림프구의 기능이 억제되고 반대로 Th1 림프구의 기능이 정상인 집단에서는 알레르기성 천식환자에 비해 Th2 림프구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방 법: 정상 대조군과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 그리고 내인성 천식환자군에서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의 양상을 실시하여 지연형 과민반응의 양상을 관찰하고 혈청 IgE의 농도와 말초혈액 호산구 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Th1 림프구에서 주로 생산되는 cytokine인 IFN-$\gamma$와 IL-12, Th2 림프구에서 주로 생산되는 IL-4, IL-5, IL-10의 혈청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의 양성율은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이 내인성 천식환자군에 비해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에 대한 양성율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의 정도는 내인성 천식환자군에 비하여 알레르기성 천식환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p<0.05). IL-4와 IL-10은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증가되어 있었고 IL-5는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p<0.01). IL-12와 IFN-$\gamma$는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과 내인성 천식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p<0.05).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에서 말초 혈액 호산구 수와 혈청 IgE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여 있었다(p<0.05). 알레르기성 천식환자에서 말초혈액 호산구 수는 혈청 IgE(r=0.737, p=0.003), IL-5(r=0.352, p=0.038), IL-10(r=0.827, p=0.001)과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면서 증가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Th2 cytokine인 IL-5와 IL-10의 혈청 농도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고(r=0.340, p=0.046), IL-12와 IFN-$\gamma$ 혈청 농도도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r=0.593, p=0.001). 결 론: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환자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Th1 림프구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었고 Th2 림프구의 기능은 항진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Th2 림프구의 기능 항진은 말초혈액 호산구 수와 혈청 IgE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Th2 림프구 기능 항진이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Potential Anti-Allergy and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Lactococcus lactis LB 1022 Observed In Vitro and in an Atopic Dermatitis Mouse Model

  • Jihye Baek;Jong-Hwa Kim;Wonyong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6호
    • /
    • pp.823-830
    • /
    • 2023
  • Lactococcus lactis is a lactic acid bacterium and used in the dairy food industry. The ameliorating effects of Lactobacillus species on atopic dermatitis (AD)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but the specific effect of L. lactis strains has not yet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L. lactis LB 1022, isolated from natural cheese, was evaluated using RAW 264.7, HMC-1 and HaCaT cell lines and an ovalbumin-sensitized AD mouse model. L. lactis LB 1022 exhibited nitric oxide suppression and anti-allerg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vitro. Oral administration of L. lactis LB 1022 to AD mice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IgE, mast cells, and eosinophils, and a range of T cell-mediated T helper Th1, Th2, and Th17-type cytokines under interleukin (IL)-10,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 and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 In addition, L. lactis LB 1022 treatment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short-chain fatty acids. Overall, L. lactis LB 1022 significantly modulated AD-like symptoms by altering metabolites and the immune response, illustrating its potential as candidate for use in functional food supplements to alleviate AD.

마우스에 있어서 멱역활성이 돼지회충의 감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munoactivity on Ascaris suum Infection in Mice)

  • 이재구;박배근;서영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3호
    • /
    • pp.279-292
    • /
    • 1991
  • 마우스에의 돼지회충(Ascaris strum) 또는 선모충(Trichinella spiralis) 감염이 sRBC에 대한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다음 전처치로서 선모충을 감염시키거나 또는 cyclophosphamide를 투여하고 나서 돼지회충란을 경구투여하여 그 감염상태와 소장점막내 비만세포와의 관련성 그 리고 비특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능을 함께 관찰하였다. 마우스에 1,000개의 돼지회충란을 경구투여한 바 지연형 과민반응과 로제트 형성능은 시일이 경과됨에 따라 점점 감소하기 시작하여 각각 5주, 6주에 최저치에 이른 다음 점점 상승하여 10주에 원상으로 복귀하였으며, 적현구 응집소가 및 용현소가는 점점 상승하여 3주에 최고치에 이른 다음 그 후 정상으로 복귀하였으며, 말초힐액내 호산구 및 소장접막내 비만세포 출현율은 각각 4주 및 2주에 최고치를 보였다. 한편, 유충은 1주후에 폐와 간으로부터 총 21.97%가 누수되었다. 마우스에 300마리의 선모충의 감염유충을 경구투여한 바 지연형 과민반응과 로제트 형성능은 시일이 경과 됨에 따라 점점 낮아져 각각 30일 및 21일에 전저치에 이른 다음 그 후부터 다소 높아지다가 70일 및 80일에 다시 일시적으로 낮아졌다. 그리고, 적현구 응집소가 및 용혈소가도 각각 21일 및 90일 에 다른 기보다 낮았으나, 말초혈액내 호산구 및 소장점막내 비만세포 출현율은 각각 40일째 및 14 일째에 다른 기보다 높았다. Cyclophosphamide를 400 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의 복륙 내에 투여한 바 체중이나 비장의 중량, 지연형 과민반응, 로제트 형성능, 적혈구 응집소가 및 용혈소가, 백현구 총수, 소장점막내 비만세포 출현율은 투여 후 1일에 비하여 5일에 현저하게 저하되었다가 10일에 다 시 증가하여 1일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복귀하였다. 말포혈액내 호산구 출현율은 시일이 경과함 에 따라 점점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한편, 마우스의 복강 내에 cyclophosphamide를 투여한 다음 1일, 5일, 10일에 각각 1,000개의 감염성 돼지회충란을 투여하고 난 후 7일의 유충각수률은 1일 7.07%, 5일 14.94%, 10일 10.1%이었으며 대조군은 8.02%이었다 유모충을 마우스에 감작감염시키고 나서 각각 30일 및 70일 간격을 두고 감염성 돼지회충란을 도전감염시킨 바 참작감염후 37일과 도전감염후 7일의 시점에 있어서 지연형 과민반응과 로제트 형성능은 고도로 저하하였는데 반하여 소장점막내 비만세포 출현율은 고도로, 말초혈액내 호산구출현율, 적혈구 응집소가 및 용혈소가는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 시점에 있어서의 유충은 대조가 22.18% 회수되었는데 비하여 9.3%밖에 회수되지 않았다. 한편, 감작감염후 77일과 도전감염후 7일의 시점에 있어서 sRBC에 대한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은 전자의 양상과 비슷하였는데 대조에 비하여 지연형 과민반응과 로제트 형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이 시점에 있어서의 유충회수율은 대조가 10.5% 이었는데 비하여 8.3%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