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1/Th2$IFN-{\gamma}$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4초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T-bet

  • Oh, Yeon Ji;Shin, Ji Hyun;Won, Hee Yeon;Hwang, Eun Sook
    • IMMUNE NETWORK
    • /
    • 제15권4호
    • /
    • pp.199-205
    • /
    • 2015
  • T-bet is a critical transcription factor that regulates differentiation of Th1 cells from $CD4^+$ precursor cells. Since T-bet directly binds to the promoter of the IFN-${\gamma}$ gene and activates its transcription, T-bet deficiency impairs IFN-${\gamma}$ production in Th1 cells. Interestingly, T-bet-deficient Th cells also display substantially augmented the production of IL-2, a T cell growth factor. Exogenous expression of T-bet in T-bet deficient Th cells rescued the IFN-${\gamma}$ production and suppressed IL-2 expression. IFN-${\gamma}$ and IL-2 reciprocally regulate Th cell proliferation following TCR stimulation.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 of T-bet on Th cell proliferation and found that T-bet deficiency significantly enhanced Th cell proliferation under non-skewing, Th1-skewing, and Th2-skewing conditions. By using IFN-${\gamma}$-null mice to eliminate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IFN-${\gamma}$, T-bet deficiency still enhanced Th cell proliferation under both Th1- and Th2-skewing conditions. Since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T-bet may be influenced by IL-2 suppression in Th cells, we examined whether T-bet modulates IL-2-independent cell proliferation in a non-T cell population. We demonstrated that T-bet expression induced by ecdysone treatment in human embryonic kidney (HEK) cells increased IFN-${\gamma}$ promoter activity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sustained T-bet expression considerably decreased cell proliferation in HEK cells. Although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T-bet remain to be elucidated, T-bet may directly suppress cell proliferation in an IFN-${\gamma}$- or an IL-2-independent manner.

키토산이 Th1과 Th2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hitosan on the Production of Th1 and Th2 Cytokines in Mice)

  • 김광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1-4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이 마우스에서 Th1과 Th2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키토산에 의한 IL-2 생성의 변화, 키토산에 의한 IFN-$\gamma$ 생성의 변화, 그리고 키토산에 의한 IL-4 생성의 변화, 키토산에 의한 IL-10 생성의 변화를 시험관내에서 시험하였다. 또한 LPS, Con A, PHA-P와 같은 세포자극물과 키토산이 함께 작용되었을 때 상기 사이토카인의 생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키토산을 비장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Th1 사이토카인인 IL-2와 IFN-$\gamma$의 생성이 크게 증가하였지만 고농도의 키토산에 의해서는 오히려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LPS와 같은 세균독소, Con A와 같은 세포자극물을 비장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IL-2와 IFN-$\gamma$의 생성은 큰 상승을 나타냈으며 LPS의 경우 키토산에 의해서 IL-2와 IFN-$\gamma$의 생성이 증폭되었다. 키토산을 비장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Th2 사이토카인인 IL-4와 IL-10의 생성은 큰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LPS와 같은 세균독소에 의한 IL-4와 IL-10의 상승이 키토산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로 부터 키토산이 LPS와 같은 세균독소가 존재하는 가운데 Th1 사이토카인을 증가시키고 Th2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킴에 따른 면역반응 환경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하겠다. 앞으로 키토산에 대한 더 많은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지게 되면 임상에서 Th1/Th2 면역반응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이용될 가능성도 있다 하겠다.

폐흡충 감염 마우스에 있어 비장세포에서 분비되는 $interferon-\{\gamma}$ 및 interleukin-4의 생산 (Production of $interferon-\{\gamma}$ and interleukin-4 by splenocytes in mice infected with Paragonimus westermani)

  • 신명헌;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3호
    • /
    • pp.185-190
    • /
    • 1996
  • 폐흡층(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시 일어나는 TH cytokin 반응을 알아보고자 마우스에 폐흡충 피낭유충을 감염시킨 후 비장세포를 Con A로 자극하여 TH1-specific cytokine인 $IFN-{\gamma}$와 TH2-specific cytokin인 IL-4의 생산량을 감염시기별로 효소표식 면역검사법으로 측정하였다. 폐흡충 감염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생산되는 IL-4는 감염 후 3일($410{\;}{\pm}{\;}60.9{\;}pg/ml$)에 최고치에 도달한 후 2주($343{\;}{\pm}{\;}59.0{\;}pg/ml$)까지 대조군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으나 감염 후 4주에는 감소되기 시작하여 6주에는 대조군의 생산량과 비슷하였다. 한편 폐흡충 감염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생산되는 $IFN-{\gamma}$는 감염 후 1주($151{\;}{\pm}{\;}32.2{\;}pg/ml$)에만 대조군에 비해 높게 증가되었을 뿐 2주부터 감소되기 시작하여 감염 후 6주에는 전혀 측정되지 않아 오히려 대조군의 생산량보다도 적었다. 또한 폐흡충 감염 마우스의 혈청 내 IL-4의 양은 감염 후 4주부터 6주에 대조군에 비해 높게 증가되었으며 혈청내 $IFN-{\gamma}$의 양은 전 실험기간을 통해 측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때 폐흡층 감염마우스에서는 $IFN-{\gamma}$보다는 IL-4가 증가되는 TH2 cytokine 반응이 주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결핵성 흉수에서 IL-10, IL-12, IFN-$\gamma$, ADA 측정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IL-10, IL-12, IFN-$\gamma$ and ADA in Tuberculous Pleural Fluid)

  • 전두수;윤상명;박삼석;이효진;김윤성;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01-310
    • /
    • 1998
  • 연구배경: 결핵성 흉막염은 면학적으로 흉강내에 국소적으로 활성화된 CD4+ T림프구와 대식세포가 관여하는 세포매개면역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사이토카인에 의해 좌우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helper T cell type 1 (Th1) 사이토카인인 IL-12 및 IFN-$\gamma$와 Th2 사이토카인인 IL-4 및 IL-10간의 균형이 세포매개반응의 정도를 결정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포매개면역반응의 지표로서 Th1 사이토카인인 IL-12, IFN-$\gamma$와 이들과 길항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있는 Th2 사이토카인 중 IL-10이 결핵성 흉수내에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검사하여 대조군인 악성 흉수와 비교함으로써 결핵성 흉막염의 변역학적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사이토카인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각 20명의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흉수와 혈장에서 IL-10, IL-12, IFN-$\gamma$를 측정하고 흉수에서의 ADA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사이토카인은 대상환자의 혈액과 흉수를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ADA 활성도는 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 흉수의 IL-10, IL-12, IFN-$\gamma$의 농도는 $121.3{\pm}83.7$ pg/mL, $571.4{\pm}472.7$ pg/mL, $420.4{\pm}285.9$ pg/mL로 혈장의 $21.2{\pm}60.9$ pg/mL, $194.5{\pm}67.6$ pg/mL, $30.1{\pm}18.3$ pg/mL 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p<0.01). 악성 흉막염 환자에서 흉수의 IL-10, IL-12, IFN-$\gamma$의 농도는 $88.4{\pm}40.4$ pg/mL, $306.5{\pm}271.1$ pg/mL, $30.5{\pm}54.8$ pg/mL로 혈장의 $43.4 {\pm}67.2$ pg/mL, $206.8{\pm}160.6$ pg/mL, $14.6{\pm}3.3$ pg/mL와 비교하였을때 IL-10 만이 유의하게 높았고 (p<0.001) IL12, IFN-$\gamma$에선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 환자의 흉수에서의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IL-12, IFN-$\gamma$, ADA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46, <0.001, <0.001) IL-1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핵성 흉수염을 악성 흉수염과 감별하는데 있어 IL-12, IFN-$\gamma$, ADA의 기준을 각각 300 pg/mL, 100 pg/mL, 45 U/L으로 하였을때 민감도/특이도는 IL-12에서 60%/70%, IFN-$\gamma$에서 90%/85%, ADA 에서 85%/90%였다. 결 론: 결핵성 흉수에서 흉강내에 Th1 사이토카인인 IL-12, IFN-$\gamma$와 함께 IL-10이 증가되어 있었고 악성흉수와 비교했을때 IL-12, IFN-$\gamma$는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IL-10은 의의가 없었다. 따라서 결핵성 흉막염의 면역기전에 Th1 경로의 세포매개변역반응이 주로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국소적인 IL-10 증가의 임상적 의의는 추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IFN-$\gamma$와 ADA는 결핵성 흉수와 악성 흉수와의 감별에 유용한 진단법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Phellinus linteus on the Productions of the Th1- and Th2-type Cytokines in Mice

  • Oh, Gi-Su;Pae, Hyun-Ock;Choi, Byung-Min;Kwon, Ji-Wung;Yun, Yeong-Ho;Choi, Jeong-Ho;Kwon, Tae-Oh;Park, Young-Chul;Chung, Hun-Teag
    • IMMUNE NETWORK
    • /
    • 제3권3호
    • /
    • pp.182-187
    • /
    • 2003
  • Background: The mushroom Phellinus linteus (PL) has been shown to have the anti-tumor and immunostimulatory effects. We hypothesized that the hot water extract of PL (WEPL) exerts its significant immunostimulatory effect by inducing production of the Th1-derived cytokine interferon-${\gamma}$ (IFN-${\gamma}$) by T lymphocytes. Methods: T lymphocytes were isolated from the mice fed with 200 mg/kg of WEPL once a day for 4 weeks, and then stimulated with the mitogen concanavaline A (Con A). IFN-${\gamma}$ gene and intracellular protein expressions were analyzed by RT-PCR and flow cytometry, respectively. The production of IFN-${\gamma}$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WEPL significantly enhanced the transcription of IFN-${\gamma}$ mRNA. The effect of WEPL on IFN-${\gamma}$ expression was further supported by a concomit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cells with intracellular IFN-${\gamma}$ protein as well as the secretion of IFN-${\gamma}$. However, WEPL did not modulate either gene expression or protein secretion of interleukin-4, a Th2-associated cytokine, by Con A-stimulated T lymphocytes.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one of the potentially beneficial anti-tumor and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WEPL may be mediated through the enhancement of IFN-${\gamma}$ secretion by T lymphocytes.

가미청상보하탕(加味淸上補下湯)의 물과 에탄올 추출법에 따른 항(抗)알레르기 효과(效果)에 대(對)한 연구(硏究) (Studying of the Effects of Gamichungsangboha-tang water-extract and ethanol-extract on $IFN{\gamma}$, IL-4, T-bet, GATA-3, c-maf in Asthma Model)

  • 허태석;고은정;정희재;이형구;배현수;정승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0-54
    • /
    • 2006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t effects of GMCSBHT water-extract and ethanol-extract on Th1/Th2 differentiation by monitoring Th1/Th2 specific cytokine secretion patterns and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T-bet, GATA-3, c-maf, $INF{\gamma}$ and IL-4. Materials and Methods: Spleen cells from eight week-old BALB/c mice were cultured in GMCSBHT extracts containing medium without activation for 24 hours and with activation for 48 hours. CD4+ T cells were isolated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INF{\gamma}$, IL-4, T-bet, GATA-3, c-maf by RT-PCR and secretion cytokines levels of $IFN{\gamma}$, IL-4 by ELISA were analyzed. Results: GMCSBHT extracts didn't have mitogenic effects on the unstimulated CD4+ T cells. In Th1 skewed condition, GMCSBAHT water extract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mRNA expression levels of $IFN{\gamma}$, T-bet and c-maf, but inhibited mRNA expression levels of IL-4, GATA-3. It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ecretion cytokine levels of $IFN{\gamma}$,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ecretion cytokine levels of IL-4. In Th2 skewed condition, GMCSBHT ethanol extract inhibited mRNA expression levels of $INF{\gamma}$, IL-4, GATA-3 and c-maf significantly,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mRNA expression levels of T-bet. It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secretion cytokine levels of $INF{\gamma}$, but showed remarkable inhibitory effects on secretion cytokine levels of IL-4.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on Th1/Th2 deviation, GMCSBHT water extract has both amplifying effects on Th1 differentiation and inhibitory effects on Th2, but GMCSBHT ethanol extract has stronger inhibitory effects on Th2 differentiation than on Th1.

  • PDF

치료실패 폐결핵 환자의 세포성면역반응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Cell-Mediated Immunity in Treatment Failure Pulmonary Tuberculosis)

  • 박정규;박장서;김화중;조은경;민들레;임재현;서지원;백태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1호
    • /
    • pp.13-25
    • /
    • 1999
  • 연구배경: 결핵은 대식세포와 T 림프구가 주로 관여하는 세포성 면역에 의하여 발생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특히 Th1 또는 Th2 림프구 가농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면역반응의 결과에 따라 결핵균에 대한 감수성 또는 저항성이 결정된다. 본 연구는 치료실패 폐결핵환자의 말초혈액단핵구를 PPD 또는 수용성 TSP 항원으로 결핵의 보호면역과 관계가 있는 Th1 반응과 결핵의 감수성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Th2 반응을 관찰하였다. 방법: 수용성 TSP 항원과 대조항원인 PPD 항원으로 건강인, 폐결핵으로 진단되어 단기치료지침에 의하여 균음 전화된 치료반응 환자 및 치료실패 환자의 말초혈액 단핵구를 대상으로 단핵구 증식반응과 Th1 반응 및 Th2 반응과 각각 관계가 있는 IFN-$\gamma$ 및 RANTES와 MCP-1 mRNA 발현 빈도를 역전사효소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PPD 피부반응 양성 건강인 모두는 PPD 또는 TSP 항원에 의하여 자극지수 4 이상의 유의한 증식반응을 보였으나 PPD 음성 건강인 모두는 PPD 또는 TSP 항원에 의하여 자극지수 4 미만의 증식반응을 보였다. 치유된 환자는 80%의 증식반응을 보였으나 치료실패 환자는 PPD 에 의하여 30.8% 그리고 TSP 항원에 의하여 15.4% 만이 자극지수 4 이상의 유의한 증식반응을 보였다. 치유된 환자의 1FN-$\gamma$ mRNA 발현빈도는 90.0% 이었으나 치료실패 환자는 PPD 또는 TSP 항원에 의하여 23.1% 만이 유도되었다. PPD 양성 건강인의 말초혈액단핵구를 PPD, TSP 또는 PHA로 자극하면 RANTES가 모두 발현되었다. 치료실패 환자, PPD 피부반응 음성 및 치유된 환자를 PPD로 발현을 유도한 경우 각각 76.9%, 80.0%로 대상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TSP 항원으로 유도하면 건강 대조군 및 치유된 환자에 비하여 치료실패 환자는 46.2%로 발현빈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PHA로 자극한 경우에서도 치료실패 환자는 69.2%로 감소하여 IFN-$\gamma$ mRNA 발현율 감소 경향과 유사하였다. 치료실패 환자는 MCP-1의 발현빈도가 치유된 환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치료실패 환자에 있어서 PHA 자극의 53.8% 보다는 PPD 또는 TSP로 자극한 경우에 발현빈도가 각각 76.9%로 높았다. 그러나 PPD 양성 건강인 및 치유된 환자는 PPD 또는 TSP로 유도한 결과 40% 이었으며 PHA로 유도한 경우는 각각 80%와 90%로 결핵균 항원에서 낮은 발현 빈도를 보여 치료실패 환자와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치료실패 환자는 PPD 피부반응 양성 건강인 및 치유된 환자에 비하여 말초혈액단핵구의 증식능, 1FN-$\gamma$ 및 RANTES mRNA 발현빈도가 현저히 감소되어 Th1 반응이 억제되어 있었다. 반면에 MCP-1 mRNA의 발현빈도는 현저히 증가되어 Th2 반응의 증가로 결핵균 사균 능력이 치료실패 환자는 감소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 PDF

내소화중탕가미방(內消和中湯加味方)이 아토피피부염 환아의 혈중 Cytokine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esowhajungtangGamibang of Serum Cytokines of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 이진용;김덕곤;유한정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29
    • /
    • 2006
  • Objective : Based on the Th1/Th2 inbalance hypothesis,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aesowhajungtongGamibang on serum $interferon{\gamma}$, interleukin-4, interleukin-5, of 19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Materials & Methods: The subjects are consisted of 19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and had been treated with NaesowhajungtongGamibang decoction for 45 days. Serum $IFN-{\gamma}$, IL-4, IL-5 level were checked before and 45 days after treatments. Results: The serum $IFN-{\gamma}$, IL-5, level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were slightly decreased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group, bu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serum IL-4, level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was slightly increased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group, bu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treatment with NaesowhajungtongGamibang for 45 days, serum $IFN-{\gamma}$, IL-5, level were increased, bu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treatment with NaesowhajungtongGamibang for 45 days, serum IL-4 level were decreased, bu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NaesowhajungtongGamibang decoction had effects were not correspond with Th1/Th2 inbalance hypothesis. Therefore study for other mechanism of NaesowhajungtongGamibang on atopic dermatitis is required.

  • PDF

Gamma Irradiation-reduced IFN-γ Expression, STAT1 Signals, and Cell-mediated Immunity

  • Han, Seon-Kyu;Song, Jie-Young;Yun, Yeon-Sook;Yi, Seh-Yoon
    • BMB Reports
    • /
    • 제35권6호
    • /
    • pp.583-589
    • /
    • 2002
  • The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STAT)1 is a cytoplasmic-transcription factor that is phosphorylated by Janus kinases (Jak) in response to interferon $\gamma$ (IFN-$\gamma$). The phosphorylated STAT1 translocates to the nucleus, where it turns on specific sets of IFN-$\gamma$-inducible genes, such as the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IRF)-1. We show here that gamma irradiation reduces the IFN-$\gamma$ mRNA expression. The inhibition of the STAT1 phosphorylation and the IRF-1 expression by gamma irradiation was also observed. In contrast, the mRNA levels of IL-5 and transcription factor GATA-3 were slightly induced by gamma irradiation when compared to the non-irradiated sample. Furthermore, we detected the inhibition of cell-mediated immunity by gamma irradiation in the allogenic-mixed lymphocytes' reaction (MLR). These results postulate that gamma irradiation induces the polarized-Th2 response and interferes with STAT1 signals, thereby causing the immunosuppression of the Th1 response.

영아의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의 예후 지표로서 혈청 IFN-γ, IL-5 및 ECP치와 흉부 방사선 소견의 의의 (The Significances of Chest X-ray Findings and Serum IFN-γ, IL-5, ECP as Predictors of Prognosis of Bronchiolitis and Bronchopneumonia in Infants)

  • 조수현;이현승;이미희;이준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3호
    • /
    • pp.230-235
    • /
    • 2003
  • 목 적 :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은 흉부 X-선 사진으로 감별되며 세기관지염은 과팽창(hyperinflation)이 중요한 소견으로서 이는 기관지 천식의 흉부 X-선 사진 소견과 유사하다. 세기관지염에 이환된 환아는 향후 기관지 천식을 앓을 가능성이 높다. 기관지 천식은 Th1보다는 Th2와 호산구 활성에 의하여 유발되며, 이러한 Th2와 호산구 활성에 의한 영아의 하기도 질환은 그렇지 않은 하기도 질환보다 향후 기관지 천식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아의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에서 Th1과 Th2 cytokine인 $IFN-{\gamma}$와 IL-5 그리고 호산구 활성의 지표인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를 관찰하여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의 면역 병태 생리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봄으로써 영아 하기도 질환의 흉부 X-선 사진상의 차이가 향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2세 미만의 영아로서 흉부 X-선 사진상 세기관지염 그리고 기관지 폐렴 환아 21명을 실험군으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증거가 없는 영아 16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각각의 혈청에서 $IFN-{\gamma}$와 IL-5 그리고 호산구 활성의 지표인 ECP치를 측정 비교 관찰하였다. 결 과 : 1) IL-5치는 대조군보다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P=0.02, P=0.042)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에는 각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IFN-{\gamma}$치는 대조군보다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에서 증가되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또한 기관지 폐렴에서 세기관지염에서보다 증가되어 있었으나 역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ECP치는 세기관지염에만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ECP치를 관찰할 수 있었다. 4)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 모두에서도 IL-5와 ECP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결 론 : 영아 하기도 질환 환아의 혈청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알레르기 염증지표(IL-5, ECP)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또한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에 IL-5와 $IFN-{\gamma}$의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어 이 두 질환의 면역 병태 생리에 Th1, Th2 림프구의 선별적 관여를 증명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세기관지염과 기관지 폐렴간의 흉부 X-선 사진 양상의 차이가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영아 하기도 질환이 향후 기관지 천식으로 이행하는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한 것 같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