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books' Activities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3초

수학 교과에서의 추론 유형의 문제에 관한 탐색 -집합과 명제, 수열 영역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n the Reasoning Types of Mathematical Problems on the Content of 'Set and Statement' and 'Sequences')

  • 황혜정;김슬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529-55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수학에서 추론의 중요성과 그 역할에 의미를 두고, 고등학교 수학 내용(문제)의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제공받는 추론의 유형이 얼마나 높은 수준, 즉 다양한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수학 II' 교과목은 2009 개정에 따른 교과목들 중에서 '수학 I' 교과목을 이수한 후 선택하는 것(신이섭, 2011)으로, 중등 수학에서 가장 심도 있는 학습 내용을 다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학 II' 교과목의 내용을 중심으로 Johnson, et al.(2010)의 여섯 가지 추론 유형을 재구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현행 9종의 모든 교과서에 수록된 추론 문제의 정도(비율) 및 유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로써,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의 추론 활동의 기회가 제공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수학 수업에서의 추론 능력 신장의 긍정적 가능성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문자와 식 내용 분석 -6차와 2007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n letter and expression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김성애;김성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5-128
    • /
    • 2013
  •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7차 이후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가운데 초등수학 교과서의 내용 변화에 주목하고 있으며, 특히 초등수학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문자와 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자와 식은 6차 교육과정에서는 '관계' 영역에서, 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자와 식' 영역에서, 그리고 2007 교육과정에서는 '규칙성과 문제해결' 영역에서 다루어져왔다. 특히 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등수학에서 문자가 도입되지 않았으나, 6차와 2007년 교육과정에서는 초등수학에서 문자 x의 도입, 등식의 성질, 방정식 등이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수학에서 이러한 변화를 겪고 있는 문자와 식에 대하여 교육과정별 교과서에 제시된 문자와 식의 내용 및 지도 시기,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자 x의 도입, 등식의 지도, 방정식의 지도와 같이 3가지 주제를 구분하고, 이들 각각에서 초등수학을 중심으로 6차 교육과정과 2007년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동시에 그 사이에 놓여 있는 7차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7-가 단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초등수학에서 문자와 식을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수학불안 감소를 위한 수학 친화적 활동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ath-Friendly Activity Program for the Alleviation of Mathematics Anxiety)

  • 윤락경;전인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83-613
    • /
    • 2010
  • 수학불안은 방치할 경우 수학학습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에 수학불안 요인을 찾고 그에 알맞은 처치 방안을 고안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수학불안 감소를 위한 수학 친화적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시킴으로써 수학불안 감소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서울시 동대문구 I 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 32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사전 수학 불안 검사를 통하여 나타난 평균값 보다 높은 수학불안 하위 요인인 시험불안 부모의 태도 시간 부족 이해 학습동기의 수학불안 감소에 중점을 둔 수학 친화적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이것은 사전 수학불안 검사 결과와 7차 교육과정 수학과 목표 및 내용 체계, 4-가, 나 수학과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심리적 처치(긍정적 사고 훈련)와 비심리적 처치(수학활동)를 복합적으로 구성한 활동지 형태의 프로그램이다. 또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조사한 수학불안 검사로부터 전체 학생의 수학불안 하위 요인에 대한 유의미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A study on Factors in School Science Influenc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 이미경;정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946-95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과학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요인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을 좋아하는 이유, 과학을 싫어하는 이유 등에 관한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 학교 1학년 학생 총 1,000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과학에 대한 태도 조사 결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과학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이 과학을 좋아하는 주된 이유는 실험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고, 과학을 싫어하는 주된 이유는 과학 수업 방법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은 실험하는 것과 실험 기구를 직접 다루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에 과학을 좋아하는 반면에, 수업 시간의 활동, 수업 매체, 교과서, 과학 교사 등이 원인이 되어 과학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었다.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조사한 결과, 과학 과목의 내용 및 특성은 과학을 좋아하게 하는 주된 요인인 반면에 과학 수업 방법은 과학을 싫어하게 하는 주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험은 과학을 좋아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고 싫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에 따라 차별화된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신장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화학 교사에게 필요한 실험 능력 (Identification of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Ability to Carry-out Experimentation)

  • 박현주;정대홍;노석구;임희준;한재영;박종윤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65-773
    • /
    • 2009
  • 이 연구는 중등 화학 교사 전문성 및 지향점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로서, 실험 수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화학 교사의 실험 능력에 대한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 연구, 교과서 실험 분석, 과학 교사 설문 조사의 결과에 기초한 연구팀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화학 교사의 실험 능력 규명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정리하여 크게 네 개의 단계(실험 수업 준비, 실험 수행 및 정리, 실험실 관리, 실험실 안전 관리)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실험 능력에 관련된 소영역과 세부 내용 요소를 선별 ․ 수정하여 재배치하였다. 실험실 안전 관리는 실험실 및 실험 활동에서 ‘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별도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화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실험 능력은 실험 수업 지도를 전제로 하여 교사 스스로 실험 수행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능력으로, 시약 및 측정기기 사용, 시료 준비, 실험 설계, 바른 실험 습관 및 숙련도, 자료 정리, 분석 및 추론, 그리고 실험실 관리 및 실험실 안전 관리에 관련된 능력으로 특정지어 질 수 있다.

과학관 전시물 연계 동화 활용 스토리텔링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정서에 변화를 가져온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Change the Science Academic Emo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Storytelling Classes Using Fairy Tales Connected to Exhibits in Science Museum)

  • 최소영;신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3호
    • /
    • pp.300-317
    • /
    • 2019
  • 본 연구는 과학관 전시물 연계 동화 활용 스토리텔링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긍정경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동화를 과학관 전시물과 연관시켜 학교 밖에서도 개인이 과학을 탐구할 수 있도록 탐방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초등교과서에 언급되어지는 동화 4종을 G 과학관 전시물과 연계시켜 활동지 4종류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활동지는 현직 초등교사 7명에게 검토를 의뢰하여 내용 검증을 거쳤다. 개발한 활동지를 통한 수업은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매번 1시간 30분씩 연속 4회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긍정경험 검사를 실시하여 본 활동이 과학긍정경험의 하위 영역 중 과학학습정서에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켰음을 확인하였다. 과학학습정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참여 학생들과 참여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동화를 전시물과 함께 활용하면 과학적 호기심을 유발시켜 과학적 사고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과학적 흥미를 유발시켜 놀이장소로 인식하는 과학관 전시물체험을 통해 학습 부담감을 감소시켜 과학에 대한 과학학습정서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초등학생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TEAM Program Based on Gamification fo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 곽소정;권지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71-79
    • /
    • 2018
  • 융합이 중요시 되고 있는 시대가 발전함에 미래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 분야에서도 다양한 시도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초등학생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되, 수업에 참여를 유도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요소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한 프로그램을 수업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게이미피케이션 요소가 적용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와 가능성 및 효과적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게이미피케이션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교육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둘째, 게이미피케이션 메커니즘을 적용한 초등학생 대상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나의 꼬마 빌딩 숲'을 개발하였다. 깊이 지각에 대한 인지과학의 원리를 주제로 3차시에 해당하는 수업 내용과 활동 및 교재와 키트 등을 제작하였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 학급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만족도 조사 및 교사 인터뷰 등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넷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을 적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가능성과 가치, 한계점 등을 논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융합인재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융합 시대를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교수학습지도안에 나타난 논증 수준 분석 (Analysis of Argumentation Levels in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Lesson Plans)

  • 박원미;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3-13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논증구조를 활용한 수업설계 과정을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지도안에 나타난 논증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이 최종 교수학습지도안에서는 1차 교수학습지도안보다 더 많은 논증요소를 반영함으로써 논리적으로 짜임새를 갖춘 수업을 설계하였다. 또한, 교과서나 교육과정에 모든 논증요소들이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수업주제의 경우 예비교사들이 일부 요소를 교수학습지도안에 반영하지 못하였다.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한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설계에 논증구조를 활용함으로써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지도안의 논증 수준이 높아졌으므로, 논리적인 과학수업 설계를 위한 도구로 논증구조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예비 과학교사가 작성한 교수학습지 도안의 논증 수준은 교과서 및 교육과정에 제시된 논증요소를 벗어나지 못하므로, 논증구조를 활용한 과학수업 설계를 위해 예비 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논증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제 교수활동의 맥락에서 논증구조를 활용하는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구조에 관한 연구 -영국 TNA와 미국 NARA를 중심으로 (A Study on structures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Focusing on the TNA of UK and the NARA of USA)

  • 이은영
    • 기록학연구
    • /
    • 제28호
    • /
    • pp.83-121
    • /
    • 2011
  • 해외 보존기록관리기관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용 프로그램 서비스는 이제 주요 서비스 메뉴이다. 국내의 여러 선행연구에선 해외의 교육용 프로그램 서비스 사례를 앞 다투어 소개하고 벤치마킹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왔지만, 관련 프로그램의 소개 수준에 그치면서 심층적인 사례 분석은 미흡한 감이 없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보다 심층적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내용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조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영국 TNA의 교육 사이트를 개괄하고, 주요한 교수 학습자료용 콘텐츠인 '토픽' 메뉴에서 '냉전' 콘텐츠를 샘플로 선택하여 그 내용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미국 NARA의 경우도 교육 사이트를 개괄하고 주요한 콘텐츠인 '기록 수업' 메뉴의 '매카시' 콘텐츠의 내용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여 일반화하고자 하였다. 해외의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구조를 심층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과서와 같은 일관성 있는 내용 구성 체제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일차 사료를 원활하게 해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비용 문제를 고려하여 기록정보콘텐츠를 학령별, 교과 간에 연계 활용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발해야 한다. 넷째, 일차 사료 선별 시 텍스트가 포함된 문서 사료를 우선으로 선별한다. 다섯째,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는 반드시 교육 과정과 연계해서 개발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활용을 촉진하도록 한다.

New Approaches to Quality Monitoring of Higher Education in the Process of Distance Learning

  • Oseredchuk, Olga;Drachuk, Ihor;Teslenko, Valentyn;Ushnevych, Solomiia;Dushechkina, Nataliia;Kubitskyi, Serhii;Сhychuk, Antoni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7호
    • /
    • pp.35-42
    • /
    • 2022
  • The article identifies the problem of monitor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 three main areas, which are comparative pedagogical systems of education. The first direction is determined by dissertation works, the second - monographs and textbooks, and the third reveals scientific periodicals. According to its internal structure, monitoring the quality of education combines important management components identified in the article (analysis, evaluation and forecasting of processes in education; a set of methods for tracking processes in educ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to prepare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processes and make necessary adjustments). Depending on the objectives, three areas of monitoring are identified: informational (involves the accumulation, structuring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basic (aimed at identifying new problems and threats before they are realized at the management level), problematic (clarification of patterns, processes, hazards, those problems that are known and significant from the point of view of management). According to its internal structure, monitoring the quality of education combines the following important management components: analysis, evaluation and forecasting of processes in education; a set of techniques for tracking processes in educ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information in order to prepare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udied processes and make the necessary adjustments. One of the priorities of the higher education modernization progra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s distance learning, which is possible due to the existence of information and educational technologies and communication systems, especially for effective education and its monitoring in higher education.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effectiveness of pedagogical support of monitoring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distance learning is achieved are highligh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problems faced by higher education seekers are revealed. A survey of students was conducted, which had a certain level of subjectivity in personal assessments, but the sample was quite represent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