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 Sentiment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1초

감정 자질을 이용한 한국어 문장 및 문서 감정 분류 시스템 (A Korean Sentence and Document Sentiment Classification System Using Sentiment Features)

  • 황재원;고영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3호
    • /
    • pp.336-340
    • /
    • 2008
  • 최근 감정 분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문서 전체에 관한 감정의 분류도 중요하지만, 문서를 이루고 있는 문장에 관한 분류도 점차 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감정 분류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추출된 한국어 감정 자질을 이용한 한국어 문장 및 문서 감정 분류에 관해 연구한다. 한국어 감정 분류의 시작은 감정을 내포한 대표적인 어휘로부터 시작하며, 이와 같은 감정 자질들은 문장 및 문서의 감정을 분류하는데 결정적인 관여를 한다. 한국어 감정 자질의 추출을 위하여 영어 단어 시소러스 정보를 이용하여 자질들을 확장하고, 영한사전을 통해 확장된 자질들을 번역함으로써 감정 자질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감정 자질들을 사용하여, 단어 벡터로 표현된 입력문서를 이진 분류기인 지지벡터 기계(SVM: Support Vector Machine)를 이용하여 문장과 문서에 내포된 감정을 판단하고 평가하였다.

A Study on the Sentiment Analysis of City Tour Using Big Data

  • Se-won Jeon;G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2호
    • /
    • pp.112-117
    • /
    • 2023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tourists' interests and perceptions are like through online big data. Big data for a total of five years from 2018 to 2022 were collected using the Textom program. Sentiment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collected data. Sentiment analysis expresses the necessity and emotions of city tours in online reviews written by tourists using city tou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and analyze keywords representing satisfaction. The sentiment analysis program provided by the big data analysis platform "TEXTOM" was used to study positives and negatives based on sentiment analysis of tourists' online reviews. Sentiment analysi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reviews related to the city tour. The degree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for the city tour was investigated and what emotional words were analyzed for each item. As a result of big data sentiment analysis to examine the emotions and sentiments of tourists about the city tour, 93.8% positive and 6.2% negative, indicating that more than half of the tourists are positively aware. This paper collects tourists' opinions based on the analyzed sentiment analysis, understand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ty tours based on the analysis using the collected data, and sentiment analysis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to the city tour platform for each region.

속성선택방법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소셜미디어 데이터의 감성분석 연구 (Exploring the Sentiment Analysis of Electric Vehicles Social Media Data by Using Feature Selection Methods)

  • 프란시스 조셉 코스텔로;이건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249-259
    • /
    • 2020
  • 본 연구는 전기자동차(EV)에 대한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감성분석 (SA)과 속성선택 (FS)방법을 적용하여 전기자동차에 대한 일반 사람들의 의견을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한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튜브에 있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일반 사람들의 의견을 추출하였다. 둘째, 분석의 효과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카이 스퀘어, 정보획득량, 릴리프에프 등 세가지 속성선택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서포트 벡터 머신 분류 기법에서 가장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Text Categorization with Improved Deep Learning Methods

  • Wang, Xingfeng;Kim, Hee-Cheol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6권2호
    • /
    • pp.106-113
    • /
    • 2018
  • Although deep learning methods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and long-/short-term memory (LSTM) are widely used for text categorization, they still have certain shortcomings. CNNs require that the text retain some order, that the pooling lengths be identical, and that collateral analysis is impossible; In case of LSTM, it requires the unidirectional operation and the inputs/outputs are very complex. Against these problems, we thus improved these traditional deep learning methods in the following ways: We created collateral CNNs accepting disorder and variable-length pooling, and we removed the input/output gates when creating bidirectional LSTMs. We have used four benchmark datasets for topic and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the new methods that we propose.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by combining LTSM regional embeddings with data convolution. Our method is better than all previous methods (including deep learning methods) in terms of topic and sentiment classification.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용자 핵심 요구사항 분석 방법론 : 중국 온라인 화장품 시장을 중심으로 (A Methodology for Customer Core Requirement Analysis by Using Text Mining : Focused on Chinese Online Cosmetics Market)

  • 신윤식;백동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66-77
    • /
    • 2021
  • Companies widely use survey to identify customer requirements, but the survey has some problems. First of all, the response is passive due to pre-designed questionnaire by companies which are the surveyor. Second, the surveyor needs to have good preliminary knowledg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urvey. On the other hand, text mining is an excellent way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surveys. Recently, the importance of online review is steadily grown, and the enormous amount of text data has increased as Internet usage higher. Also, a technique to extract high-quality information from text data called Text Mining is improving. However, previous studies tend to focus on improving the accuracy of individual analytics techniques. This study proposes the methodology by combining several text mining techniques and has mainly three contributions. Firstly, able to extract information from text data without a preliminary design of the surveyor. Secondly, no need for prior knowledge to extract information. Lastly, this method provides quantitative sentiment score that can be used in decision-making.

Applying Academic Theory with Text Mining to Offer Business Insight: Illustration of Evaluating Hotel Service Quality

  • Choong C. Lee;Kun Kim;Haejung Yun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9권4호
    • /
    • pp.615-643
    • /
    • 2019
  • Now is the time for IS scholars to demonstrate the added value of academic theory through its integration with text mining, clearly outline how to implement this for text mining experts outside of the academic field, and move towards establishing this integration as a standard practi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 a systematic theory-based text-mining framework (TTMF), and illustrate the use and benefits of TTMF by conducting a text-mining project in an actual business case evaluating and improving hotel service quality using a large volume of actual user-generated reviews. A total of 61,304 sentences extracted from actual customer reviews were successfully allocated to SERVQUAL dimensions, and the pragmatic validity of our model was tested by the OLS regression analysis results between the sentiment scores of each SERVQUAL dimens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star rates), and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As a post-hoc analysis, the results of the co-occurrence analysis to define the root causes of positive and negative service quality perceptions and provide action plans to implement improvements were reported.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부동산 서비스 앱 리뷰 분석 (Real Estate Service App Review Analysis Using Text Mining)

  • 강성안;김동연;류민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4호
    • /
    • pp.227-245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able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apps. Differences are based on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real estate service apps and derived by the topic modeling result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conducts topic modeling to find factor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of real estate service apps using user reviews. Sentiment analysis is additionally conduct on the derived topics to examine the user responses. Findings Users give high sentiment scores for services that can manage factors such as usefulness of information, false sales, and hype. In addition, managing the basic services of app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주관적 웰빙 상태 측정을 위한 비정형 데이터의 상황기반 긍부정성 분석 방법 (Analyzing Contextual Polarity of Unstructured Data for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 최석재;송영은;권오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1호
    • /
    • pp.83-105
    • /
    • 2016
  • 의료IT 서비스의 유망 분야인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주관적 웰빙 서비스(subjective well-being service) 구현의 핵심은 개인의 주관적 웰빙 상태를 정확하고 무구속적이며 비용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설문지에 의한 자기보고나 신체부착형 센서 기반의 측정 방법론은 정확성은 뛰어나나 비용효율성과 무구속성에 취약하다. 비용효율성과 무구속성을 보강하기 위한 온라인 텍스트 기반의 측정 방법은 사전에 준비된 감정어 어휘만을 사용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감정어로 볼 수 있는 이른바 상황적 긍부정성(contextual polarity)을 고려하지 못하여 측정 정확도가 낮다. 한편 기존의 상황적 긍부정성을 활용한 감성분석으로는 주관적 웰빙 상태인 맥락에서의 감성분석을 할 수 있는 감정어휘사전이나 온톨로지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더구나 온톨로지 구축도 매우 노력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상에 사용자의 의견이 표출된 비정형 텍스트로부터 주관적 웰빙과 관련한 상황감정어를 추출하고, 이를 근거로 상황적 긍부정성 파악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기본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 감정어휘사전을 준비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디지털 감정어휘사전인 SentiWordNet을 사용하였다. 둘째, 정신건강지수를 동적으로 추정하는데 필요한 비정형 자료인 Corpora를 온라인 서베이로 확보하였다. 셋째, Corpora로부터 세 가지 종류의 자원을 확보하였다. 넷째, 자원을 입력변수로 하고 특정 정신건강 상태의 지수값을 종속변수로 하는 추론 모형을 구축하고 추론 규칙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추론 규칙으로 정신건강 상태를 추론하였다. 본 연구는 감정을 분석함에 있어,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상황적 감정어를 적용하여 특정 도메인에 따라 다양한 감정 어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창성이 있다.

감정점수의 전파를 통한 한국어 감정사전 생성 (Generating a Korean Sentiment Lexicon Through Sentiment Score Propagation)

  • 박호민;김창현;김재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2호
    • /
    • pp.53-60
    • /
    • 2020
  • 감정분석은 문서 또는 대화상에서 주어진 주제에 대한 태도와 의견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감정분석에는 다양한 접근법이 있다. 그 중 하나는 감정사전을 이용하는 사전 기반 접근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널리 알려진 영어 감정사전인 VADER를 활용하여 한국어 감정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는 한영 병렬 말뭉치를 사용하여 한영 이중언어 사전을 제작한다. 제작된 이중언어 사전은 VADER 감정어와 한국어 형태소 쌍들의 집합이다. 두 번째 단계는 그 이중언어 사전을 사용하여 한영 단어 그래프를 생성한다. 세 번째 단계는 생성된 단어 그래프 상에서 레이블 전파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새로운 감정사전을 구축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생성된 한국어 감정사전을 유용성을 보이려고 몇 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생성된 감정사전을 이용한 감정 분류기가 기존의 기계학습 기반 감정분류기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다. 앞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여러 언어의 감정사전을 생성하려고 한다.

영역별 맞춤형 감성사전 구축을 통한 영화리뷰 감성분석 (Sentiment analysis on movie review through building modified sentiment dictionary by movie genre)

  • 이상훈;최정;김종우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2호
    • /
    • pp.97-113
    • /
    • 2016
  • 인터넷상의 데이터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목적에 맞게 적절히 활용하는 빅데이터 분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정형 데이터분석이 가진 한계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비정형 데이터 분석 분야 중 하나인 텍스트마이닝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텍스트를 기반으로 문장의 긍정, 부정을 판별하고 분류하는 감성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연장선 상에서, 본 연구는 감성분석에 사용되는 감성사전을 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하여 구축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데이터가 속한 영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범용 감성사전을 감성분석에 사용할 경우, 해당 영역에서 쓰이는 단어 또는 감정 표현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감성분석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감성분석에 있어서 영역 맞춤형 감성사전의 사용 시 데이터 영역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해 분석의 정확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리뷰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대표적 영화정보 사이트 IMDb에서 발생된 약 2년간의 영화리뷰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영화 장르별 사용되는 단어의 의미가 각각 다를 것을 고려하여 영화를 '액션', '애니메이션', '코메디', '드라마', '공포', '과학공상' 6개 장르로 분류했다. 맞춤형 감성사전 구축을 위한 핵심 기법으로 SO-PMI(Semantic Orientation from Point-wise Mutual Information)를 활용하였으며, 어휘 간 극성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형용사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분석결과 맞춤형사전을 활용한 감성분석 예측정확도는 영화 장르별로 상이했다. '애니메이션'을 제외한 5개 장르에서 기존의 범용 감성사전대비 맞춤형 감성사전의 예측정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영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사전 구축을 통한 감성분석의 예측의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향후 감성사전 구축 시 동사, 부사 등 다양한 품사의 어휘를 추가하여 감성분석 예측정확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