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 Image Super-Resolu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Real Scene Text Image Super-Resolution Based on Multi-Scale and Attention Fusion

  • Xinhua Lu;Haihai Wei;Li Ma;Qingji Xue;Yonghui Fu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9권4호
    • /
    • pp.427-438
    • /
    • 2023
  • Plenty of works have indicated that single image super-resolution (SISR) models relying on synthetic datasets are difficult to be applied to real scene text image super-resolution (STISR) for its more complex degradation. The up-to-date dataset for realistic STISR is called TextZoom, while the current methods trained on this dataset have not considered the effect of multi-scale features of text images. In this paper, a multi-scale and attention fusion model for realistic STISR is proposed. The multi-scale learning mechanism is introduced to acquire sophisticated feature representations of text images; The spatial and channel attentions are introduced to capture the local information and inter-channel interaction information of text images; At last, this paper designs a multi-scale residual attention module by skillfully fusing multi-scale learning and attention mechanisms. The experiments on TextZoom demonstrate that the model proposed increases scene text recognition's (ASTER) average recognition accuracy by 1.2% compared to text super-resolution network.

A Comparative Study on OCR using Super-Resolution for Small Fonts

  • Cho, Wooyeong;Kwon, Juwon;Kwon, Soonchu;Yoo, Ji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3호
    • /
    • pp.95-101
    • /
    • 2019
  •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issues related to text recognition using Tesseract. One of these issues is that the text recognition accuracy is significantly lower for smaller fonts. Tesseract extracts text by creating an outline with direction in the image. By searching the Tesseract database, template matching with characters with similar feature points is used to select the character with the lowest error. Because of the poor text extraction, the recognition accuracy is lowerd. In this paper, we compared text recognition accuracy after applying various super-resolution methods to smaller text images and experimented with how the recognition accuracy varies for various image size. In order to recognize small Korean text images, we have used super-resolution algorithms based on deep learning models such as SRCNN, ESRCNN, DSRCNN, and DCSCN. The dataset for training and testing consisted of Korean-based scanned images. The images was resized from 0.5 times to 0.8 times with 12pt font size.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on x0.5 resized images, and th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DCSCN super-resolution is the most efficient method to reduce precision error rate by 7.8%, and reduce the recall error rate by 8.4%. The experimental results have demonstrated that the accuracy of text recognition for smaller Korean fonts can be improved by adding super-resolution methods to the OCR preprocessing module.

텍스트 인식률 개선을 위한 한글 텍스트 이미지 초해상화 (Korean Text Image Super-Resolution for Improving Text Recognition Accuracy)

  • 권준형;조남익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78-184
    • /
    • 2023
  • 카메라로 촬영한 야외 일반 영상에서 텍스트 이미지를 찾아내고 그 내용을 인식하는 기술은 로봇 비전, 시각 보조 등의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하지만 텍스트 이미지가 저해상도인 경우에는 텍스트 이미지에 포함된 노이즈나 블러 등의 열화가 더 두드러지기 때문에 텍스트 내용 인식 성능의 하락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영상에서의 저해상도 한글 텍스트에 대한 이미지 초해상화를 통해서 텍스트 인식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트랜스포머에 기반한 모델로 한글 텍스트 이미지 초해상화를 수행 하였으며, 직접 구축한 고해상도-저해상도 한글 텍스트 이미지 데이터셋에 대하여 제안한 초해상화 방법을 적용했을 때 텍스트 인식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상 관찰 모델을 이용한 예제기반 초해상도 텍스트 영상 복원 (Example-based Super Resolution Text Image Reconstruction Using Image Observation Model)

  • 박규로;김인중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4호
    • /
    • pp.295-302
    • /
    • 2010
  • 예제기반 초해상도 영상 복원(EBSR)은 고해상도 영상과 저해상도 영상간의 패치간 대응관계를 학습함으로써 고해상도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으로, 한 장의 저해상도 영상으로부터도 고해상도 영상을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폰트의 종류나 크기가 학습 영상과 다른 텍스트 영상을 적용할 경우 잡영을 많이 발생시킨다. 그 이유는 복원 과정 중 매칭 단계에서 입력 패치들이 사전 내의 고해상도 패치와 부적절하게 매칭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패치 매칭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영상 관찰 모델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간의 상관 관계를 보존함으로써 잘못 매칭된 패치로 인한 잡영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이는 출력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폰트를 포함한 대용량 패치 사전을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폰트의 종류 및 크기의 변이에 대한 적응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실험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폰트와 크기가 다양한 영상에 대하여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한 영상 복원 성능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인식 성능도 88.58%에서 93.54%로 개선되어 제안하는 방법이 인식 성능의 개선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대안적 통째학습 기반 저품질 레거시 콘텐츠에서의 문자 인식 알고리즘 (Character Recognition Algorithm in Low-Quality Legacy Contents Based on Alternative End-to-End Learning)

  • 이성진;윤준석;박선후;유석봉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486-1494
    • /
    • 2021
  • 문자 인식은 스마트 주차, text to speech 등 최근 다양한 플랫폼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로써, 기존의 방법과 달리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키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문자 인식에 사용되는 이미지의 품질이 낮을 경우, 문자 인식기 학습용 이미지와 테스트 이미지간에 해상도 차이가 발생하여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문자 인식 모델 성능이 다양한 품질 데이터에 대하여 강인하도록 이미지 초해상도 및 문자 인식을 결합한 통째학습 신경망을 설계하고, 대안적 통째학습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통째 신경망 학습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문자 이미지 중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이용하여 대안적 통째학습 및 인식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글자 영상을 위한 학습기반 초고해상도 기법 (Learning-based Super-resolution for Text Images)

  • 허보영;송병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4호
    • /
    • pp.175-183
    • /
    • 2015
  • 본 논문은 글자 영상을 효과적으로 확대 (up-scaling)하기 위한 학습 기반 초고해상도 (super-resolution; SR)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크게 학습 단계와 합성 단계로 나뉜다. 학습 단계에서 다양한 HR (high-resolution) /LR (low-resolution) 글자 영상 쌍들을 수집한다. LR영상들은 양자화를 하고, 충분히 많은 수의 HR-LR 블록쌍들을 추출한다. 양자화된 LR블록을 기준으로 블록 쌍들을 소정의 개수의 클래스들로 구분한다. 클래스 별로 최적의 2D-FIR 필터 계수를 계산하고, 양자화한 후색인용 LR 블록과 함께 사전에 저장한다. 합성 단계에서 입력 LR 영상 내 각 블록을 양자화한 후 사전 내 양자화된 LR블록들과 정합하여 가장 근사한 블록에 대응하는 FIR 필터계수를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선택된 FIR필터로 HR 블록을 합성하여 최종적인 HR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우리는 잡음이 있는 글자 영상에 대응하기 위해 학습과정에서 잡음 세기에 따른 복수개의 사전들을 제작한다. 입력 LR 영상의 잡음 레벨에 맞는 사전을 선택하여 HR영상을 합성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 기법이 종래 기법보다 잡음이 없는 환경에서는 물론 잡음이 있는 환경에서 우수한 주관적/객관적 화질을 가짐을 보인다.

텍스트 인식률 개선을 위한 한글 및 영어 텍스트 이미지 초해상화 (Korean and English Text Image Super-Resolution for Improving Text Recognition Accuracy)

  • 권준형;조남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2-75
    • /
    • 2022
  • 야외 환경을 카메라로 촬영한 일반 영상에서 텍스트 이미지를 검출하고 인식하는 기술은 로봇 비전, 시각 보조 등의 기반이 되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하지만 저해상도의 텍스트 이미지의 경우 텍스트 이미지에 포함된 노이즈나블러 등이 더 두드러지기 때문에 텍스트 내용을 인식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본 논문은 일반 영상에서의 저해상도 한글 및 영어 텍스트에 대한 이미지 초해상화를 통해 텍스트 인식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트랜스포머에 기반한 모델로 한글 및 영어 텍스트에 대한 이미지 초해상화를 수행하였으며, 영어 및 한글 데이터셋에 대해 제안한 초해상화 방법을 적용했을 때 그렇지 않을 때보다 텍스트 인식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