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ttigoniida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경남 진주에서 여치 Gampsocleis sedakovi abscura Walker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Life Cycle of Gampsocleis sedakovi abscura Walker (Orthoptera:Tettigoniidae) in Jinju, Gyeongnam)

  • 윤철호;박정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43-49
    • /
    • 2010
  • 본 연구는 경남 진주에서 여름철에 풀숲에서 아름다운 소리를 들려주는 정서곤충의 한 종류인 여치(Gampsocleis sedakovi abscura Walker)에 관한 생활사를 3년간 (2005~2007)에 조사한 결과이다. 여치는 1년에 1세대 발생하며, 성충의 몸길이는 암컷이 60 mm정도이며 수컷은 50 mm정도이었다. 몸의 색깔은 녹색 또는 암갈색의 두 종류가 있었다. 땅 속에서 알 상태로 월동하며, 야외에서 3월 상순부터 약충을 볼 수 있었으며 성충의 우화 최성기는 7월 상순이었다. 야외에서 알기간이 269일, 약충기간이 88일로 성충이 되기까지 357일이 걸렸다. 3년간 평균 산란기간은 63일이었고, 산란수는 평균 94개였다. 평균수명은 암컷이 90일, 수컷이 82일이었으며, 성비는 암컷이 52%이었다. 일일 중 성충의 우화는 오전 8시에서 10시 사이가 가장 많았다.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edible grasshopper Ruspolia differens (Serville) (Orthoptera: Tettigoniidae) feeding on diversifying diets of host plants

  • RUTARO, Karlmax;MALINGA, Geoffrey M.;LEHTOVAARA, Vilma J.;OPOKE, Robert;VALTONEN, Anu;KWETEGYEKA, Justus;NYEKO, Philip;ROININEN, Heikki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490-498
    • /
    • 2018
  • Ruspolia differens (Serville) (Orthoptera: Tettigoniidae) is a highly valued edible grasshopper species in Africa. However, the effects of plant diets on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 differens are not well understood. We tested the effects of four diets on the total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 differens. Sixth instar nymphs of R. differens were reared on one, and mixtures of two, three, and six natural plant inflorescences. Individuals collected from the field constituted a control treatment. We extracted lipids and analyzed the fatty acid methyl ester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e analyzed if the total lipid content, body weight, and fatty acid composition differed among diets and between the sexes using two-way ANOVAs and a PERMANOVA model, respectively. The total lipid content and weight of R. differens did not differ among the diets. The nine common fatty acids were palmitic (mean across treatments, 26%), oleic (22%), palmitoleic (18%), linoleic (13%), stearic (7%), myristic (6%), myristoleic (4%), ${\alpha}$-linolenic (2%) and arachidic acid (1%).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and the proportion of essential fatty acids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diets. The proportion of essential fatty acids was highest in the control treatment (21%) but low in less diversified (one to three feed) diets (12-13%).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R. differens can be influenced through diet. Thus, with dietary manipulations, using local plants in Africa, it is possible to produce R. differens with preferred high quality essential fatty acids for human consumption.

A New Record of Palaeoagraecia lutea (Orthoptera: Tettigoniidae: Conocephalinae: Agraeciini) in Korea

  • Kim, Taewoo;Lee, Kang-W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5권3호
    • /
    • pp.143-150
    • /
    • 2019
  • The bamboo katydid, Palaeoagraecia lutea (Matsumura et Shiraki, 1908) is newly reported in South Korea. Previously, the species was only known in Japan, but currently its occurrence is confirmed in the far southern locality of Hampyeong, Jeollanam-do province of Korean Peninsula. This katydid was collected using a light trap and sound tracing in the bamboo forest. It is regarded as a rare stenotopic species. The features of male Palaeoagraecia lutea are illustrated and discussed in terms of song characteristics, and a key is provided for the genus Palaeoagraecia. A new synonym is proposed: P. philippina (Karny, 1926)=P. globicerata (Vickery et Kevan, 1999) syn. nov.

갈색여치의 일일행동패턴과 교미행동 (Preliminary Observation on the Mating Behavior and Daily Rhythm of the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Uvarov (Orthoptera: Tettigoniidae))

  • 윤창만;김현경;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77-183
    • /
    • 2014
  • 갈색여치는 최근 대발생으로 과수농가에서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갈색여치의 종령 약충과 미성숙 성충, 성숙 성충에 대한 교미행동 및 일일행동패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일행동패턴은 휴식, 이동, 섭식을 반복하였다. 종령 약충과 미성숙 성충의 일일행동패턴은 유사했다. 종령 약충은 평균 10:06에 활동을 시작하고 21:12에 휴식을 취한다. 미성숙 성충은 평균 11:30에 활동을 시작하고 20:08에 휴식을 취한다. 그러나 성숙 성충의 경우 15:30에 활동을 시작하는 차이를 보였다. 성숙 성충은 특정시간(약 20:00)대에 교미행동을 보인다. 갈색여치의 교미행동은 암컷의 spermatophylax를 섭취하게 되는데 다 섭취하기까지 270-360분이 소요된다. 갈색여치의 행동패턴은 이들의 발생양상과 생태를 알 수 있어 갈색여치를 방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갈색여치에 대한 살충제의 감수성 (Susceptibility of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Orthoptera: Tettigoniidae)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 안기수;양정오;노두진;윤창만;김영재;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4-200
    • /
    • 2007
  • 갈색여치(Paratlanticus ussuriensis)의 방제약제를 선발하는 목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33종의 살충제의 종령약충과 성충에 대한 살충활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ppm)로 수행하였다. 종령약충과 성충에 대해 유기인계인 acephate, chlorpyrifos, diazinon, EPN, fenitrothion과 혼합제인 chlorpyrifos+${\alpha}$-cypemethrin이 처리방법에 관계없이 100%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페닐피라졸계인 fipronil은 엽침지법에서만 100%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카바메이트계인 benfuracarb와 furathiocarb는 80%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혼합제인 etofenprox+diazinon, esfenvalerate+fenitrothion은 종령약충에 $60{\sim}80%$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잔효성실험에서 acephate, chlorpyrifos, diazinon, EPN, fenitrothion 약제처리 후 1일째까지는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는 효과가 없었다.

갈색여치(Paratlanticus ussuriensis) 기주식물의 이화학적 특성변화와 먹이선호 구명 (The Physio-chemical Variation of the Host Plants and Feed Preference of the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Orthoptera: Tettigoniidae))

  • 김명현;방혜선;정명표;나영은;한민수;강기경;이덕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56-364
    • /
    • 2009
  • In 2006 and 2007, there was a big outbreak of the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riensis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attacking some orchard trees. Until 2000, the katydid had not been regarded as an agricultural pest because they were distributed widely in Korea with low population density and their habitats were confined mainly to hillsides of forested areas. The fact that katydid attacked orchard trees with a higher population density seemed to be related to a change in feeding environment. And the shift of their habitats from oak woodlands to commercial orchards wa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nutritional contents of their feed.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se relationships, we conducted an ecological study of the affected areas. When the katydids changed their habitats in early May of 2008 and 2009, they shifted their host plants from oak trees to peach trees. The habitat shift was closely related to the nitrogen (N) content of the host plant leaves. When katydid moved to the hillside adjacent to orchard farm, N content of oak tree leaves decreased dramatically from 5.3% to 2.2%. At that time N content of peach tree leaves were higher than the 2.2% of oak leaves, showing 3.5~5.0%. This range of N content of peach tree leaves has been consistent until late June. And feed preference analysis carried out in the laboratory showed that katydid prefered peach tree leaves to peach fruit to oak tree leaves.

갈색여치(Paratlanticus ussuriensis)의 산란 특성 (Ovi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Orthoptera: Tettigoniidae))

  • 방혜선;나영은;한민수;김명현;노기안;이정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4-278
    • /
    • 2008
  • 최근 과수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는 갈색여치의 대발생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갈색여치의 산란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갈색여치는 실내실험에서 7월 초순부터 9월 초순까지 산란을 하며, 암컷 한 마리당 평균 145개의 알을 산란하였다. 일생 동안 산란하는 산란양의 54%를 산란 초기 2주 이내에 산란하였다. 평균 산란 깊이는 19.4 mm이었으며, 알의 크기는 산란 직후 장경이 약 5.7 mm, 단경이 2.0 mm이었다. 그러나 부화 직전의 알은 산란 직후 알 무게의 약 2배가량 증가하였다. 산란 배지 선호실험에서는 밭토양> 오아시스폼$^{(R)}$> 버미큘라이트 순으로 높은 산란 양을 보였다. 야외에서 산란장소는 성충이 서식한 과수원이 아닌, 수분이 유지되는 인근 야산 골짜기로 관찰되어, 겨울 동안의 토양온도와 습도가 알로 월동하는 갈색여치의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추정된다.

갈색여치의 유인물질 탐색과 트랩개발 (Attractants and Trap Development for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Orthoptera : Tettigoniidae))

  • 노두진;양정오;문상래;윤창만;강신호;안기수;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6-261
    • /
    • 2008
  • 최근 충북 영동지방을 중심으로 대발생되고 있는 갈색여치에 대하여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유인트랩을 이용한 방제를 검토하였다. 농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PET 프라스틱 빈병을 이용하여 Fish 트랩을 제작하였다. 유인조성물로서 상수리나무잎 대비 과일의 과육 및 과일 주스, 막걸리와 어분을 영동지역 포장에 직접 처리하여 유인효과를 비교하였다. 1일 동안의 유인력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작하여 적용한 Fish 트랩이 Funnel 트랩에 비해 높은 유인효과를 보였으며, 유인 조성물 효과는 복숭아주스(32.7마리) > 막걸리+어분(31.3마리) >막걸리(27.0마리) > 배주스(19.0마리) > 사과주스(17.2마리) > 어분(16.7마리) > 포도주스(14.4마리) > 상수리나무잎(2.3마리) 순서로 나타났다. 과일의 과육에 대한 유인효과에 비해 과일 주스의 효과가, 그리고 트랩을 지면에 설치 시 보다 지상 1m의 높이에 처리했을 때 유인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막걸리+어분의 유인지속성은 방부제를 혼합 처리한 유인트랩에서 그 효과가 지속되었다.

긴날개여치 실내 대량 사육을 위한 발육 및 산란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and Ovipositional Characteristics for Interior Mass-Rearing of Gampsocleis ussuriensis Adelung)

  • 임주락;문형철;박나영;이상식;유영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81-387
    • /
    • 2019
  •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전북 부안지역에서 채집한 긴날개여치의 발육 및 산란특성을 조사하였다. 긴날개여치(Gampsocleis ussuriensis Adelung)는 저수지 주변 잡초가 우거져 있는 곳에서 주로 발견되었고, 야외에서는 성충이 7월 중순 출현하여 9월 상순까지 나타났다. 알 상태로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4월 상순부터 7월 중순까지 약충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에서는 4월 상순 이후 부화한 약충은 5회 탈피를 하고, 성충이 되었다. 긴날개여치 산란기간은 약 58일 정도 소요되었다. 암컷 한 마리당 총평균산란수는 124개였으며, 성충수명은 암컷 95.6일, 수컷 84.8일이었다. 산란매트로는 마사토와 코코피트를 7:3으로 섞은 것이 가장 좋았다. 온도별 발육기간은 24℃에서 64.1일로 가장 길었고, 온도가 높을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지고, 생충률은 32℃에서 77.8%로 가장 좋았다. 긴날개여치 약충 사육밀도는 사육밀도가 높을수록 생존율은 떨어지고, 발육속도가 빨라지며, 영기별 탈피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었다.

계룡산(鷄龍山)의 곤충상(昆蟲相)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제(第)I보(報)) (Studies on the Insect Fauna of Mt. Gyeryong(I))

  • 장영덕;최광렬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519-539
    • /
    • 1982
  • 1981년(年) 5월(月) 중순(中旬)부터 9월(月) 중순(中旬)까지 충남(忠南) 대덕군(大德郡), 공주군(公州郡), 논산군(論山郡)에 걸쳐 위치(位置)한 계룡산(鷄龍山)에 분포(分布)하는 곤충상(昆蟲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총(總) 20목(目) 156과(科) 548속(屬) 673종(種)의 곤충(昆蟲)이 동정확인(同定確認)되었다. 2. 한국미기록종(韓國未記錄種)으로서 16종(種)이 발견(發見) 되었는데 검은촉각베짱이, 구마모도대벌레, 르위스집게벌레, 물가장님노린재, 왕잎벌레, 별수염치레하늘소, 멧누에나방붙이, 흰띠자나방, 큰애기자나방, 연갈색잎말이나방, 빗줄애수염나방, 오끼나와오색나비, 큰알락각다귀, 이시끼광대파리, 쑥광대파리, 여덟점맵시벌등이었으며 이들의 한국명은 모두 새로이 명칭한 것이다. 3. 이들 16종(種)의 한국미기록종중(韓國未記錄種中) 별수염치레하늘소, 오끼나와오색나비등은 남방계통(南方系統)의 곤충(昆蟲)으로서 이외에도 돌좀, 뱀허물쌍살벌, 청줄벌, 줄점팔랑나비, 사향제비나비, 극남노랑나비, 대만흰나비, 남방부전나비, 청띠신선나비, 제주왕나비등의 상당히 많은 종류(種類)의 아열대성(亞熱帶性) 남방계통곤충(南方系統昆蟲)들이 혼서(混棲)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