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 Skills Assessment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9초

20대 구강보건지식과 구강위생관리능력이 치주건강상태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nt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ygiene Management Skills on Periodontal Health Status Assessment in Their Twenties)

  • 복혜정;이은주;최정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6-44
    • /
    • 2013
  • 본 연구는 치주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해 20대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위생관리능력이 치주건강상태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민의 구강보건관심도를 높일 뿐 아니라 치주건강증진활동에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건강하고 효율적인 구강관리를 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조사되었다. 포괄 치위생 관리 및 처치를 위하여 치위생과 실습실을 방문한 20대의 성인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치주건강상태를 평가하였다. 일반적 특성, 구강보건지식, 구강위생관리능력과 치주건강상태평가의 연관성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에 따른 잇솔질(p=0.030)과 구강위생용품(p=0.047)에 대한 구강보건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여성이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른 잇솔질(p=0.030)과 구강위생용품(p=0.047)에 대한 구강보건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여성이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3. 성별에 따른 유두변연부착 치은염지수(p=0.047)와 지역사회치주지수(p=0.028)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남자의 유두변연부착 치은염지수, 지역사회치주지수는 여자보다 높았다. 학력에 따른 출혈지수(p=0.042)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고졸 이하가 가장 높았다. 4. 잇솔질(p=0.030), 치주질환(p=0.024)에 대한 구강보건지식이 치면세균막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잇솔질에 대한 구강보건지식($\beta$=-0.137)이 증가하면 치면세균막지수가 감소하고, 치주질환에 대한 구강보건지식($\beta$=-0.144)이 증가하면 치면세균막지수가 감소한다. 5. 잇솔질 총 횟수에 따른 유두변연부착 치은염지수는 2회가 가장 높았다. 잇솔질 방법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는 묘원법이 가장 높았으며, 횡마법, 회전법 순으로 나타났다.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지역사회치주지수와 출혈지수가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높았다. 흡연의 경우 유두변연부착 치은염지수, 지역사회치주지수, 출혈지수가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보다 높았다. 주 당 음주 횟수에 따른 지역사회치주지수와 출혈지수는 3회 이상이 가장 높았다. 구강보건교육을 경험하지 못한 경우의 유두변연부착 치은염지수가 구강보건교육을 경험한 경우보다 높았다.

정서지능(EQ) 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The Program development and assessment for increasing EQ (Emotional Quotient) for Children)

  • 박성옥;이영환;한종혜;김기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1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for children. Developed program was labeled "Increasing the Power of Mind." This program consists of four parts-sensitivity, self-esteem, motiv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Each parts consists of eight activities. The program was practiced at susung elementary school in Jung up. The subjects were 79 sixth-grade childre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has been evaluted by taking pre and past tests. The test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has been effective in improving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n all of the following areas, such as sensitivity, self-esteem, motiv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 PDF

한국 아동의 인쇄물 개념 습득과 언어능력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Print Concepts and Language Ability in 4-to 6-year old Korean Children)

  • 김선희;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371-383
    • /
    • 2004
  • In this study, 197 4- to 6- year-old Korean children wereindividually tested with Concepts about Print(CAP Clay, 2000), the Picture Vocabulary Test(Kim, Jang, Lim & Bak, 1996),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 Verbal Test (K-WPPSI), and the Basic Academy Skills Assessment : Reading(Kim, 2000).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correlation, analysis of variance, and factor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CAP mean scores by age. Within the subcategories of CAP, Book Orientation Concepts and Print-convention were acquired earlier than other subcategories, followed by Print-direction, Print-order and Advanced Print Concepts in that order. The scores of CA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icture Vocabulary Test, the K-WPPSI verbal test and the reading test.

  • PDF

한의 신의료기술 행위 동향 분석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Developments of New Health Technologie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 한창현;박황진;이봉효;이영준;권오민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9권2호
    • /
    • pp.315-326
    • /
    • 2012
  • Objectives : The n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ystem was introduced in April 2007. The purpose of n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is assessing safety and efficacy in deciding a behavior of new health technology according to the Health Insurance 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of new health technologies of Korean medicine. Methods : This research introduces new health technologies and their present status, and searches for a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new health technology of Korean medicine in the future. Results : Thirty seven cases(3%) of Korean medicine doctors who utilized new health technologies application were found. In the status about new health technologies application by technologies assortment, diagnostic test techniques were used more often than treatment skills. New medical technology that included korean medicine doctor as actual user was only one item, i.e. HCV antibody test. Conclusions : In order for the new health technology of korean medicine to settle down well, continuous interest and efforts of both government and medical community are necessary.

과제 지향적 그룹 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운동 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Group Task-related Program Training on Motor Function and Depression for Patient with Stroke)

  • 정재훈;고명숙;이정아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34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 for gait, balance, and depression for stroke patients by group task-related program training based motor learning theor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dministrated to the 11 stroke patients (9 male, 2 female) by 5 weeks, 3 times per week, 15 times. The group task-related program training were performed gait, balance, treadmill, muscle strengthening, and game program. Each program took 7~10 minutes and total time took 60 minutes including moving time. The difference of program training were compared using the paired t-test.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Fugl-Meyer motor assessment, Chedoke-McMaster Stroke assessment of lower extremity and Berg balance sca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However, impairment item of Chedoke-McMaster Stroke assessment,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Timed up and go test, and depression item of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Conclusion : These results support that group task-related program could be a useful treatment to improve the balance skills and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y for the chronic stroke patients.

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을 위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Occupation Based Grocery Shopping Skill Training Program For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주유미;김대윤;모영호;손성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3-58
    • /
    • 2017
  • 목적 : 발달장애인의 마트장보기 과제의 독립적 수행을 위해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효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최종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을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해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가를 실시한 후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이후 발달 장애인 3명에게 소규모 그룹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총 6회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훈련 전 후 및 5개월 후 3차례에 걸쳐 The Test of Grocery Shopping Skills (TOGSS)를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3명의 대상자 모두 구매하고자 하는 물건의 항목비교 및 크기비교 수행기술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마트에서 장보는 시간이 훈련 전에 비해 감소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3명 중 2명의 대상자는 마트 내에서 물건위치 찾기 수행도가 향상되었다. 반면 가격비교는 3명 모두 수행도의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5개월 후 추적평가 시 대상자 2명은 마트장보기 수행기술이 유지되거나 향상된 모습을 보였고, 1명은 훈련효과가 퇴행하여 독립적으로 마트장보기가 불가능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들의 마트장보기 수행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전문가 내용 타당도 평가를 거쳐 구체적인 프로토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것이 지역사회 작업치료서비스 분야에 필요한 임상적 의의를 지닌다.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가관찰 방법의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assessment using Smartphone Video Recording on Essential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 김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199-1207
    • /
    • 2018
  • 핵심기본간호술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가관찰 방법의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핵심간호술기 수행능력, 수행자신감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비동성 대조군 사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P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54명, 대조군 51명이었다. 연구결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의 사전- 사후점수 차이에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1). 수혈간호, 수술전간호의 핵심간호술기 능력과 수행자신감, 실습 만족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동영상촬영을 활용한 자가평가 학습법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켜 술기의 정확성과 숙련성을 갖출 수 있는 동기부여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자동차 흡기유동제어밸브의 초가속수명시험 및 수명시험을 위한 신뢰성연구 (A Study on the HALT & Life time Test of the Swirl Control Actuator)

  • 김성옥;박상욱;이진식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14권1호
    • /
    • pp.59-70
    • /
    • 2014
  • The requirements of reliability verification for new products and technology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climate change prevention and GHG reduction technology, functional skills. SCA(Swirl Control Actuator) is the important part of a car intake manifold system. This device generates swirl that is mixing the fuel and air into the engine combustion chamber. This is to improve output for engine and reduce the emission for exhaust. In this article reliability assessment criteria for swirl control actuator for automobiles are established in terms of basic HALT and life time test.

동형검사를 활용한 진단 및 형성평가가 초등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Effects of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Using Equivalent Test o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Focused on the 'Earth and Moon' Unit)

  • 손준호;김종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19-628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동형검사를 활용한 진단 및 형성평가가 초등과학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단 및 형성평가의 문항 및 학업성취도 문항을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 및 투입하였는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단평가를 실시한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다. 둘째, 형성평가를 실시한 과학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을 주지못하였으며,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의 영역 중에서는 학습기회의 개방성 영역만 향상시켰다. 셋째, 진단 및 형성평가 실시한 과학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으며,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의 영역 중에서 문제 해결 기술을 제외한 학습기회의 개방성, 학습에 대한 주도성, 학습에 대한 애착 영역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형성평가를 진단평가와 함께 실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광합성 문제 해결에 대한 과잉 효능감과 과잉확신: 선다형과 서답형의 비교 연구 (Over-Efficacy in Problem Solving and Overconfidence of Knowledge on Photosynthesis: A Study of Comparison Between Multiple-Choice and Supply-Type Test Formats)

  • 하민수;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9
    • /
    • 2014
  • 이 연구는 과잉효능감과 과잉확신이 선다형과 서답형 평가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204명의 여자중학교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선다형과 서답형으로 된 광합성 개념에 대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각 문항마다 자신의 효능감과 확신을 척도로 나타나게 하였다. 연구결과 선다형과 서답형의 상관관계는 0.5가 채 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이 생각하는 자신의 문제 해결 능력(효능감)과 실제 능력 간의 상관관계 역시 0.45가 되지 않았다. 학생들은 선다형 문제 해결 과정에서 지식에 대한 확신을 높이는 경향을 보였다. 선다형 문항을 먼저 수행한 집단에서는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과잉효능감과 과잉확신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학생들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서답형의 사용을 늘릴 것을 제언한다. 또한 두 형태의 검사도구를 동시에 사용하게 될 경우 선다형 검사도구를 사후에 사용하여 학생들이 적절한 수준의 효능감과 확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