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pene glycosid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Cerebrosides and Terpene Glycosides from the Root of Aster scaber

  • Kwon, Hak-Cheol;Cho, Ock-Ryun;Lee, Kang-Choon;Lee, Kang-R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32-137
    • /
    • 2003
  • Three cerebrosides 2, 3, and 5 and two terpene glycosides 1 and 4 have been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the root of Aster scaber.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as 3-Ο-$\beta$-D-glucuronopyranosyl-oleanolic acid methyl ester (1), (2S, 3S, 4R, 2 R, 8Z, 15 Z)-N-2 -hydroxy-15 -tetracosenoyl-1-Ο-$\beta$-D-glucopyranosyl-4-hydroxy-8-sphingenine (2), (2S, 3S, 4R, 8Z)-N-octadecanoyl-1-Ο-$\beta$-D-glucopyranosyl-4-hydroxy-8-sphingenine (3), 1$\alpha$-hydroxy-6$\beta$-Ο-$\beta$-D-glucosyl-eudesm-3-ene (4), and (2S, 3S, 4R, 2 R, 8Z)-N-2 -hydroxy-hexadecanoyl-1-Ο-$\beta$-D-glucopyranosyl-4-hydroxy-8-sphingenine (5)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은행나무 묘목(苗木)에 대(對)한 시비(施肥)가 생장(生長) 및 엽내(葉內) 양분(養分)과 유용(有用) 추출물(抽出物) 농도(濃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Fertilization Effects on Growth, Foliar Nutrients and Extract Concentrations in Ginkgo Seedlings)

  • 손요환;김진수;황재홍;박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1호
    • /
    • pp.98-105
    • /
    • 1998
  • 은행나무 3년생 묘목에 각기 다른 수준의 질소, 인, 질소와 인 복합비료를 시비하고, 묘목의 생장 및 엽내 양분과 유용 추출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비 후 묘목의 잎, 줄기, 뿌리의 생체량은 고농도 질소와 인 복합비료 처리구 이외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엽내 질소와 인 농도의 변화 정도는 시비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엽내 질소와 인의 농도는 시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나, 질소 시비량이 400kg/ha인 경우와 인 시비량이 100kg/ha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묘목 생장량과 엽내 양분 농도를 고려할 때 묘목은 질소와 인이 결핍된 상태에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시비 후 엽내 이차 대사 물질인 Ginkgo flavon glycosides와 terpene lactones의 농도는 감소하였으며, 은행나무 묘목에서 생체량과 이차 대사 물질량 사이에는 부의 상관관계 (r=-0.739, p=0.036)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식물유래 2차 대사물질의 병충해 및 잡초 방제효과 (Pathogen, Insect and Weed Control Effects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Plants)

  • 김종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1-15
    • /
    • 2005
  • 농작물이 병해충 및 잡초 등에 의하여 피해를 받게 되면 농업생산성은 상당히 저하된다. 따라서 농업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합성농약을 과용해 왔고, 이로 인하여 토양의 질과 농업환경이 파괴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서 지속적인 농업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오늘날의 농업은 농업환경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해야하는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한편, 식물은 일반적으로 생존하기 위하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거나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며 다양한 종류의 2차대사물질을 생산하고 방출한다. 병원균이 침입했을 때 식물이 생산하는 항생물질인 phytoalexin으로는 화본과 식물의 경우 flavonoid계와 diterpenoid계의 물질을 생성하고, 쌍자엽 식물은 감염된 병원균의 종류에 상관없이 Leguminosae과는 flavonoids계, Cruciferae과는 indole 유도체, Solanaceae과는 sesquiterpenoid계, Umbelliferae과는 coumarin계 물질들을 생성하여 병원균에 저항성을 가진다. 곤충의 생리작용을 저해하거나 섭생을 싫어하게 하는 기능의 물질로는 terpene계의 pyrethrin, azadirachtin, limonin, cedrelanoid, toosendanin, fraxinellone/dictamnine 등이 있으며, alkaloid계로서는 terpenoid와 alkaloid가 결합된 sesquiterpene pyridine 및 norditerpenoids alkaloids와 azepine계, amide계, loline계, stemofoline계, pyrrolizidine계 alkaloids 등이 있다. 식물은 또한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른 식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물질을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terpene계의 essential oil 및 sesquiterpene lactone과 이외에 benzoxazinoids, glucosinolate, quassinoid, cyanogenic glycoside, saponin, sorgolennone, juglone 등 다수의 2차 대사물질들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의 2차 대사물질을 병해충 및 잡초 방제에 직, 간접으로 이용하는 것은 친환경농업의 한 가지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천연물질들은 자연계에서 쉽게 분해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식물을 통하여 생산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성과 효율성이 뛰어난 2차 대사물질을 찾아내는 연구와 아울러 방제기능이 있는 물질의 생합성경로를 구명하고 대사공학적으로 이용하므로 병해충에 저항성이 있고 잡초 방제효과를 갖는 형질전환 식물을 육성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속단(Dipsaci Radix) 중 Asperosaponins 및 Iridoid glycosides의 LC-ESI-MS에 의한 동시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sperosaponins and Iridoid Glycosides from Dipsaci Radix by Using LC-ESI-MS Spectrometry)

  • 조황의;손인섭;김선춘;손건호;우미희;문동철
    • 생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37-146
    • /
    • 2012
  • Dipsaci Radix (Dipsacaceae) has been used as a tonic, an analgesic, anti-inflammatory and anti-complement agents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the therapy of low back pain, knee pain, rheumatic arthritis, traumatic hematoma, and bone fractures.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ic method (HPLC-ESI-MS) was developed for the simultaneous quantitation method of the five compounds from the herbal drug: asperosaponin VI and asperosaponin XII (terpene glycosides), sweroside, loganin and dipsacus A(iridoid glycosides). HPLC separation of the analytes was achieved on a C18 column ($150{\times}2.0$ mm i.d., 5 ${\mu}m$) using the aqueous methanol containing 5 mM ammonium acetate with gradient flow of the mobile phase. Detection of the analytes was performed by positive ion electrospray ionization, and selected ion monitoring was used for data acquisition using m/z corresponding molecular adduct ion, $[M+NH_4]^+$ and $[M+H]^+$. Calibration graphs showed good linearity ($r^2$=0.9997) over the wide range of the analytes; intra- and inter-day precisions (RSD, %) were within 9.1% and the accuracy between 94.0-111.0%. Recoveries of the analytes through the assay procedure were in the range of 93.7-110.8%. Analytical results of the herbal drugs of Dipsaci Radix (17 samples) show wide distribution of the five marker compounds and clear difference of the species from Phlomidis Radix (4 samples). The developed method would provide a practical guide for the quality control of the herbal drug.

Neuroprotective Effects of Ginkgo biloba extract, GBB, in the Transient Ischemic Rat Model

  • Oh, Jin-Kyung;Jung, Ji-Wook;Oh, Hye-Rim;Han, Yong-Nam;Ryu, Jong-H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5권3호
    • /
    • pp.169-174
    • /
    • 2007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standardized Ginkgo biloba extract (GBB) (total terpene trilactones, 13 ${\pm}$ 3%; biflavone, 4.5 ${\pm}$ 1.5%; flavonol glycoside, < 8%; proanthocyanidine, under detection limit) on ischemia-reperfusion-induced brain injury in the rats. Ischemia was induced by the intraluminal occlusion of the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for 2 h and reperfusion was continued for 22 h. GBB was orally administered, promptly prior to reperfusion and 2 h after. Total infarction volume in the ipsilateral hemispheres of ischemia-reperfusion ra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reatment with GBB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5). The therapeutic time window of GBB was 3 h in this ischemia-reperfusion rat model. Furthermore, GBB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increased neutrophil infiltration of ischemic brain tissue, as estimated by myeloperoxidase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BB plays a crucial protective role in ischemia-induced brain injury, in part, via inhibition of neutrophil infiltration, and suggest that this GBB could serve as a neuroprotective agent following transient focal ischemic brain inj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