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31초

THE INFLUENCE OF STABILIZATION SPLINT ON CONDYLAR POSITION AND CRANIOFACIAL MORPHOLOGY

  • Yoon, Young-Jooh;Kim, Kwang-W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75-688
    • /
    • 199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1) to determine the normal range of CR-CO discrepancy in normal occlusion group ; 2) to evaluate the changes of condylar position and craniofacial morphology between centric relation and centric occlusion before and after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in malocclusion group outside the normal range of CR-CO discrepancy. The normal occlusion group consisted of 80 subjects who had well-balanced faces and good occlusions with acceptable Class I molar relationship. They had not been treated orthodontically and had no signs or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71 malocclusion patients enrolled for orthodontic treatment at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comprised the malocclusion group, little variation of growth factor by the second molar eruption. They had CR-CO discrepancy beyond normal range and were subdivided into anterior-posteriorly -[25 Class I (0$\geq$4), and 24 Class III (ANB$\leq$0)] : vertically - [20 Normodivergentscy (30$\geq$34), and 18 Hypodivergency (SNGoMe$\leq$30)] ; and sexually - [26 Male and 45 Female]. For malocclusion group, stabilization splint with mutually protected type of occlusal scheme was applied for three months. Panadent articulators, Panadent condylar position indicator (CPI), and lateral headfilm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abilization splint on condylar position and craniofacial morph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mounts of CR-CO discrepancy in normal occlusion were that the antero-Posterior component (${\bigtriangledown}X$) was $0.56\pm0.46mm$ (Male:$0.63\pm0.42mm$, Female:$0.49\pm0.50mm$) ; the supero-inferior component (${\bigtriangledown}Y$) was $-0.75\pm0.48mm$ (Male:$-0.76\pm0.52mm$, Female:-$0.73\pm0.43mm$) : and the transverse component (${\bigtriangledown}Z$) was $-0.33\pm0.28mm$ (Male : $-0.38\pm0.29mm$, Female:$-0.31\pm0.27mm$). 2. The condylar position was in normal range after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3. The mandible was always rotated infero-posteriorly after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4. Antero-posteriorly, Class III malocclusion responded very well to the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5. Vertically, Hyperdivergency responded very well to the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6. Sexually, Male responded very well to the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 PDF

저작운동시 전측두근과 교근의 근활성 및 활성시기에 관한 연구 (Electromyographic Activity, Firing Time and Sequence of the Anterior Temporalis and the Masseter on Chewing Stroke)

  • 허문일;한경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4호
    • /
    • pp.421-437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lectromyographic(EMG) activity, firing time and sequence of the mandibular elevator muscle on gum chewing. For this study, 28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especially internal derangement of TM joint, and 16 dental students without any signs and symptoms in the masticatory system were selected as the patients group and as the normal group, respectively. The patients group was composed of 14 right and 14 left side affected patients. For recording of EMG activity(${\mu}V$) of the anterior temporalis(TA) and the masseter muscle(MM), and measuring of firing time(millisecond) from the start of mandibular opening movement to the firing of the muscles, BioEMG, BioEGN, and Combo program integrated in the Biopak system(Bioresearch Inc., Milwaukee, USA) were used. Gum chewing stroke was performed in both right and left side for several times,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chewing strokes were analysed and compared with regard to EMG activity, firing time, firing sequence, correlation between EMG activity and firing time. The data obtained were analysed by SPSS windows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the patients group, chewing on the affected side showed higher EMG activities in the masseter of the side than those of the contralateral side, but chewing on the unaffected side showed higher EMG activity in the masseter and in the anterior temporalis of the side than those of the contralateral side. 2. There were no difference of firing time between both sides on chewing on the affected side, but firing time in the chewing side were earlier than that of contralateral side on chewing on the unaffected side in patients group. 3. In the normal group, EMG activities in the masseter and in the anterior temporalis in the chewing side were alway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alateral side, and there were no difference of firing time between the two sides. 4. In general, firing sequence of four muscles of both sides were ipsilateral TA, ipsilateral MM, contralateral TA, and contralateral MM in earlier order of time in both group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MG activity and firing time were negative value, and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appeared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patients group.

  • PDF

소아치과에 내원한 영아들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Infants who Visited Pediatric Dentistry)

  • 오예랑;이고은;김미선;남옥형;최성철;김광철;황지영;이효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7-166
    • /
    • 2020
  • 첫 치과 내원 시기는 치아가 처음으로 맹출 하는 시기나 늦어도 12개월 이내가 추천된다. 추천 시기 이전에도 영아들은 여러가지 이유로 치과에 내원할 수 있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의 목적은 치과에 내원한 영아들의 인구학적특성 및 치과적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2006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1세 미만의 영아 419명의 의무기록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내원 원인의 빈도는 치아 외상(47.5%), 선천치/신생치(19.8%), 치아 우식(8.1%), 유치 맹출과 관련된 문제들(4.3%), 소대 이상(3.6%), 연조직 부종(3.6%), Bohn's nodule(3.3%), 구순구개열(2.9%), 치은신생물(1.9%), 혀의 궤양(1.7%), 구강 검진(1.4%), 법랑질형성이상(1.2%), 턱관절에서의 비정상적인 소리(0.7%) 순이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실제로 영아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는 구강 질환들에 대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구강 증상들은 주로 영아와 접할 기회가 많은 소아청소년과 의사나 산부인과 의사에 의해 발견이 되기 쉬우므로, 구강 질환이 적절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이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악교정술을 요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KELETON ON ORTHOGNATHIC SURGICAL GASES WITH SKELETAL GLASS III MALOGGLUSION)

  • 임한호;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9-201
    • /
    • 1998
  •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학생 중 안모형태와 교합상태가 양호하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자 74명 (남자 38명, 여자 3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조선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악교정 수술을 통한 교정치료가 필요하다가 진단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성인 45명 (남자 23명, 여자 22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고 Burstone & Legan방법에 의해 각각의 계측항목별로 남여를 비교 분석하여 악교정 수술이 필요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는 함몰된 안모를 지니고 있었고 (P<0.001), 여자에서 뚜렷한 상악골 열성장 (P<0.nt)과 하악골 과성장 (P<0.01)을 보인 반면, 남자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고 상,하악골 연조직의 전,후방적인 비교에서는 특징적으로 남자는 하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전방돌출 (P<0.001), 여자는 상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후퇴 (P<0.001)을 보였는데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는 하악골 과성장, 여자는 상악골 열성장에 의해 주로 기인됨을 알 수 있다. 2.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을 지닌 남여 모두에서 특징적으로 MP-HP 각과 genial angle이 커서 하악골의 전하방 과성장을 보인 반면, ramus height는 남여 모두에서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며, 상악중절치는 순측경사, 하악전치는 설측경사 되어 있었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을 위한 술전교정 치료시 이러한 치성보상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각 골격구조내에서 치아들이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것을 의미한다. 3. 여자에서 상안면고경에 비해 하안면고경이 특징적으로 짧았고, 남자의 lower facial throat angle이 특징적으로 작았다.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에서는 하악골의 과다한 하방 성장및 긴 목, 여자에서는 하악골의 전방으로의 과다성장및 짧은 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대학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치과 응급환자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dental emergency patients visiting an University Hospital emergency room)

  • 장창수;이창연;김주원;임진혁;김좌영;김영희;양병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6호
    • /
    • pp.439-447
    • /
    • 2011
  • Introduction: In today's society, the rapid and appropriate care of the dental emergency patients is much more important. So,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ntal injuries and diseases will be very meaningful.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carried by reviewing the radiographic films and emergency chart of 11,493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Hallym Sacred heart Hospital and were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0. Resul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9:1. The highest monthly incidence was observed in May (10.4%) and June (8.9%) and the peak age distribution was the first decade (56.0%), followed by the second decade (16.0%). Trauma was the most common cause in dental emergency patients, followed in order by toothache, odontogenic infection, temporomandibular joint (TMJ) disorder and oral hemorrhage. Soft tissue injury was most prevalent in the trauma group, followed by tooth injury and facial bone fractures. In the tooth injury group, tooth fracture (56.7%)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followed in order by tooth subluxation (18.2%), tooth concussion (16.9%), tooth avulsion (11.5%) and alveolar bone fractures (3.7%). In the facial bone fracture group, mandibular fractures (81.8%)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followed in order by maxilla fractures (15.7%), nasal bone fractures (9.0%), zygomaticomaxillary complex fractures (5.4%), orbital bone fractures (2.5%). In mandibular bone fractures,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the symphysis (70.1%), followed in order by the mandibular angle (33.0%), mandibular condyle (22.8%) and mandibular body (13.6%). In the infection group, a submandibular space abscess (46.2%) was most common followed in order by a buccal space abscess (17.4%), canine space abscess (16.9%) and submental space abscess (12.3%). TMJ dislocation (89.3%)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in the TMJ disorder group, followed by TMJ derangement (10.7%). In the other group, a range of specific symptoms due to post operation complications, trigeminal neuralgia, chemical burns and foreign body aspiration were reported. Conclusion: For the rapid and appropriate care of the dental emergency patients, well-organized system should be presented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And it is possible under analysis of pattern and the variation of the dental emergency patients.

이갈이의 진단 및 치료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Bruxism)

  • 권정승;정다운;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1호
    • /
    • pp.87-101
    • /
    • 2012
  • 이갈이는 이를 갈거나 악무는 것을 포함하는 부기능적인 행위를 말하며 광범위하게는 주간 및 야간에 나타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이갈이의 원인으로는 기본적으로 말초성 요인과 중추성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중추성 요인이 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갈이는 교모, 치경부 미세파절, 교근 비대, 교근 및 측두근의 통증, 턱관절의 통증 및 움직임의 제한, 치아 및 수복물 파절, 치수염, 외상성 교합 등을 유발 할 수 있고 특히 이악물기의 경우 협점막 압흔이나 협점막 백선 또는, 혀의 측면에 압흔 등을 유발한다. 이갈이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구강내 장치, 근전도, 수면다원검사 등을 이용하며 미국수면장애학회의 경우 이갈이의 임상 진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갈이의 명확한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에 치료법의 선택은 신중하여야 한다. 이갈이가 중등도 이상이고 임상 증상이나 징후를 유발하는 경우에 이갈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위험 요인의 조절, 구강내 장치, 보툴리눔 독소 주사, 약물 치료, 바이오피드백 등이 있으며 구강내 장치 요법이 현재로서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다. 이갈이 치료와 교근비대에 대한 심미적인 개선을 같이 원하는 환자에서는 보툴리눔 독소 주사 요법이 이용될 수 있다.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에 대한 교합안정장치의 치료효과 (Effect of Occlusal Stabilizing Splint for Osteoarthrit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 김지현;전혜미;옥수민;허준영;정성희;안용우;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2호
    • /
    • pp.113-123
    • /
    • 2012
  •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측두하악관절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임상검사와 방사선 검사 및 전산화 단층(Cone beam Computed tomographic view)촬영으로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으로 진단된 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초진 시와 교합안정장치 장착 전까지 물리치료 및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교합안정장치 장착 시부터 최종 내원 시까지 월 1회 장치조정을 시행하여 시기별 치료결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초진 시와 교합안정장치 장착 시와 최종 내원 사이에 모든 증상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게 개선되었다. 2. 교합안정장치 치료 전까지 치료에서는 급성군에서 통증과 관절잡음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만성군에서 통증, 관절잡음, 개구제한 및 최대편이개구량이 모두 개선되었다. 3. 교합안정장치 장착 후에는 급성군에서 통증, 개구제한과 최대편이개구량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만성군에서 통증, 관절잡음과 개구제한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악관절내장증의 증상과 징후의 객관적 평가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n Objective Evaluation Method of the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Internal Derangement)

  • 김영구;이승우;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2권1호
    • /
    • pp.31-44
    • /
    • 1997
  • 저자들은 악관절내장증의 증상과 징후의 객관적 평가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치과 병원 구강진단과 악안면동통진료실을 내원한 환자중 좌우 양 관절중 한 관절 이상의 관절에 악관절내장이 있는 남자 8명(평균연령 19.9$\pm$2.9세), 여자 34명(평균연령:32.8$\pm$11.8세) 총 42명(84개 관절)에 대하여 VAS 및 압통역치 측정, 악관절조영술, 골신티그래피 검사 및 악관절 활액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악관절 동통의 심도는 VAS로 측정을 하였으며 PPT는 electronic algometer로 평가를 하였다. 악관절조영사진을 얻기 직전 활액을 채취하였으며 그 성분중 Hyaluronic acid, 총단백질, IgG, IgM과 albumin을 분석하여 그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관절 내장증으로 내원한 환자 42명, 총 84개 관절중, 무통성이고 관절잡음이 없는 경우가 7개 관절, 무통성이고 단순관절음만 존재하는 경우가 18개 관절, 동통 및 단순관절음이 존재하는 경우가 18개 관절, 간헐적인 폐구 과두걸림이 있는 경우가 11개 관절, 급성 폐구성 과두걸림의 경우가 11개 관절, 만성 폐구성 과두걸림의 경우가 3개 관절, 퇴행성 관절질환이 존재하는 경우가 16개 관절이었다. 2. 연구대상중 18명의 환자, 총 36개 관절에 대한 골 신티그래피 검사 결과, 활동성으로 나타난 경우가 33개 관절이었고 이중 23개 관절이 동통성이었으며, 활동 상태 관절의 VAS 항목과 압통역치 항목 및 여러 검사 항목들은 비활동 상태 관절의 항목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악관절내장의 진행정도에 따른 악관절부위의 동통의 측정에 있어서는 압통역치의 측정보다는 VAS에 의한 방법이 더 유용하며 특히, 후방부의 촉진시에 유의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4. 악관절 내장즈으이 진행 단계에 따라, VAS항목과 압통역치 항목을 비교해 본 결고, 주기적인 과두걸림(II) 단계에서 가장 높은 VAS 수치와 가장 낮은 압통역치를 나타내었으며 상방 촉진시 VAS 항목에서 주기적인 과두걸림(II) 단계와 증상 및 징후가 없는(0) 단계 사이와 후방 촉진시 VAS 항목에서 주기적인 과두걸림(II) 단계 및 퇴행성 관절 질환(V) 단계와 증상 및 징후가 없는(0) 단계 사이에서만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5. 활액내 총단백질량, albumin 량, IgG 및 IgM 농도는 악과?ㄹ 내장증의 진행에 따라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퇴행성 관절 질환(V) 단계에서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6. 활액내 hyaluronic acid의 농도는 악관절 내장증의 진행에 따라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만성 폐구성 과두걸림(IV) 단계에서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붕괴된 교합을 가진 환자에서 교정치료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보고 (Full mouth rehabilitation us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implants in patient with collapsed occlusion: A case report)

  • 안아영;곽재영;허성주;김성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39-447
    • /
    • 2019
  • 임플란트 식립 시 자연치와 임플란트 사이의 간격은 치주 조직 보존 및 심미에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고정성 치아 수복 시 치아의 비정상적 위치 이동과 경사 이동은 의도적 근관치료를 필요로 할 수도 있고 저작효율에 불리하게 작용하기도 한다. 본 증례에서는 치열이 불균일하고 붕괴된 교합을 가진 환자에서 완전구강회복을 시행하기에 앞서 치아재배열을 위한 교정치료를 진행하였다. 환자는 통증이나 소리와 같은 측두하악관절장애 증상 및 불편감이 없으므로 교정치료를 진행하는 데 무리가 없었다. 임플란트 식립 전부터 시작한 교정치료를 임플란트 임시 보철물 시적 후에도 진행하였고 전치부 보호 및 심미를 위하여 교합고경을 전치부 기준 2 mm 거상하였다. 교정치료 완료 후 임플란트 및 자연치에 도재전장금관(Porcelain-fused-to-metal crown, PFM crown) 혹은 브릿지(bridge)로 최종 수복하였다. 환자의 치열 개선 및 무치악부 수복으로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구치부 교합지지 상실과 수직고경 감소를 동반한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교합평면 회복을 통한 완전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through re-establishment of occlusal plane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with reduced vertical dimension accompanied by loss of posterior occlusal support)

  • 조영은;이성복;이석원;최조셉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63-275
    • /
    • 2022
  • 구치부 교합지지가 상실되면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되면서 대합치의 점진적인 정출과 전치부 치아들의 전방 돌출을 초래하게 되고 결국 교합평면이 붕괴됨과 아울러 안모의 변화, 저작 효율 저하, 그리고 측두하악관절 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정확한 진단 과 예지성 있는 치료계획 수립을 통한 교합평면 재설정 및 수직고경 회복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71세 여성 환자로, 교합 평면이 붕괴되고 구치부 보철 수복 공간이 부족하여, 수직고경 거상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을 계획하였다. 생리적 하악안정위, 연하, 발음, 안모, 전치부 평균 길이 등을 평가하는 임상적 과정을 통해 적절한 수직고경 및 3차원적 교합평면을 재설정하여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였고, 약 5개월 간 임시 보철물 상태로 악관절 및 저작근의 적응 여부를 관찰하고 교합을 안정화하였다. 기능적, 심미적 임상증상이 없음을 확인한 후 최종 보철 수복하였다. 이러한 환자친화적 완전구강회복 과정을 수행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