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ry Shelter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재난 임시대피소의 특성 연구 -쓰촨성(四川省) 원촨(汶川) 지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Temporary Sheltering in Terms of Sustainable Design -Focused on the Case of the Wenchuan Earthquake in Sichuan Province-)

  • 티엔휘;윤지영;왕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877-888
    • /
    • 2021
  • 본 연구는 2008년 원촨(汶川) 지진 이후 중국 정부가 이재민들을 위해 제공한 임시 집중 안치소와 텐트와 이동식 판자가옥 등 3가지의 임시대피소를 대상으로 그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소 중 12개 평가항목을 선정해 임시대피소를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각각의 특성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임시 집중 안치소와 텐트는 기반시설이 미비하고 위생상태가 나쁘며, 주거공간이 협소하고 개인 공간이 없어 기본 생활조차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동식 판자가옥은 건축비가 비싸고 건축자재가 친환경적이지 않고 농경지를 차지하며 자재가 재활용률이 낮으며 폐기물이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3가지 임시대피소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우선 정부가 대피소 건설과 배치를 주도하고 이재민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는 바람에 임시 커뮤니티의 건설과 관리에 대한 참여 의욕이 떨어진다는 점이었다. 다음으로 3가지 임시대피소가 모두 설계상 이재민들의 심리적 수요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으며, 특히 안전하고 위생적인 개인 공간에 대한 기본 요구를 전혀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3가지 임시 대피소의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임시 커뮤니티의 건설 및 관리 문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사용자의 거주성을 고려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현황 분석과 계획적 시사점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 for the Planning of Emergency Shelter Considering Users' Habitability)

  • 김미경;김은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23-31
    • /
    • 2016
  •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existing problems and suggests the implication for the planning of emergency shelter in terms of users' habit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concept of shelters for disaster victims need to set up and be distinctively defined as emergency phase and temporary residency phase. In emergency phase, the various types of buildings and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as temporary shelters for disaster victims such as transitional shelters including the public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ritical review, this research proposed an analytic framework emphasizing habitability for disaster victims including vulnerable people such as the disabled, the aged, women and children. The framework is composed of four dimensions: safety, health, convenience and comfortability. The manual guidelines for emergency shelters should reflect the barrier-free design or universal design for various types of disaster victims considering habitability to provide the positive opportunity and future hope for restoration after disaster. This research can be a basis for the planning and application of temporary shelters for disaster victims.

수치해석을 이용한 임시대피소 내 공기감염확산 저감장치의 성능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Airborn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Germicidal Systems in a Temporary Shelter)

  • 박정연;성민기;이재욱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7-15
    • /
    • 2015
  • Purpose : When natural disaster occurs, the victims are evacuated to temporary shelters such as indoor gymnasiums or large space buildings until their homes are recovered. If someone in this temporary shelter is infected with an airborne infectious disease, it becomes easier for the disease to spread to the other people in the shelter than it would be under normal conditions. Therefore, temporary shelters need to provide not only water and food but also hygienic indoor conditions. Methods : In this study, the use of mechanical systems such as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UVGI) systems and air cleaners were simulated using numerical analysis to find out how these systems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in temporary shelters. An indoor gymnasium was selected as a temporary shelter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model considering Korea's post-disaster response system. Influenza A virus was assumed as an airborne infectious disease and the diffusion of the virus was made by one person in the shelter.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UVGI systems disinfected the virus more effectively than the air cleaners by creating a more stable airflow after the disinfection process. The air cleaners could remove the virus but since it created an unstable airflow in the temporary shelter, the virus was condensed to a certain area to show a higher virus concentration level than the source location. Implications : In the temporary shelter, it is necessary to use UVGI systems or air cleaners for hygienic indoor conditions.

원전 사고지역에서 실내대피를 위한 임시대피시설의 거주성 확보방안 (Measures to Secure the Habitability of Temporary Shelter for Shelter in Place in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 김정동;은종화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82-596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원전사고 발생 시 임시 대피시설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체르노빌, 후쿠시마, 쓰리마일섬(TMI) 원전사고에 대한 사례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현재의 방사선 비상 대응 계획은 소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실내대피 개념은 단순히 주민 대피를 지원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례연구를 통해 INES-5 이상의 사고의 경우, 소개보다 실내대피를 장려하는 것이 사상자 최소화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더 나은 실내대피를 보장하기 위해 아파트를 임시 대피소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며, 아파트가 방사선 방호 기술을 갖추도록 개선사항을 제안한다. 결론: 더 나은 실내대피를 보장하기 위해 아파트를 임시 대피소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며, 차폐, 양압, 밀폐기술을 이용해서 아파트의 성능을 보완하고자 한다.

제주도지방의 선사문화와 동굴${\cdot}$바위 그늘 주거지 (A preliminary study of prehistoric tunnel-dwelling sites and rock-shelters in Che-Ju Island, Korea)

  • 이청규;강창화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7-67
    • /
    • 1987
  •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에 보편적인 것으로 알려진 동굴입구나 움푹 들어간 바위절벽밑의 바위그늘을 이용한 주거지 유적이 제주도 신석기시대 이후까지 상당한 기간 지속되었음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그후 청동기시대에서 철기시대에 이르러 이러한 주거지는 캠핑지역으로 변한 증거가 있다. 그런데 제주도에는 해안가와 하천에 따라 동굴입구 또는 용암턴넬이 많이 발달하여 화산도로서의 특징이 있으며 이들이 선사시대의 인류에 의하여 사용된 것이 특기할 만하다.

  • PDF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Programs of Shelters for Domestic Violence Victims)

  • 이기련;박옥임;김종성;이정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03-114
    • /
    • 2005
  • This study aims to lay the foundations for domestic welfare through solving domestic problem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domestic violence facilities, but their poor financial condition and lack of human resources make it difficult to meet all need of shelter users. Second, people who use domestic violence shelters can't receive proper care and they go back to their homes in which violence still remains. It is like a vicious cycle making their situation worse and worse. Third, counseling given to abused women in shelters is arranged individually or in groups, but there are not enough programs providing proper care for them. On the basis of the realities mentioned abov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ave the way to work out the improvement programs as follows: First, it is critical that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should be increas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raining of personnel concerned with the handling of domestic violence cases. Third, it is important to make sure that children of abused women should be taken care of safely, and temporary jobs for the women should be secured. This will allow domestic violence shelters to serve their true purpose. Lastly, more adequate counseling services such as more instrumental 1366 phone lin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the follow-up counseling should be reinforced.

  • PDF

경량 복합패널의 면내 전단 성능 평가 (Evaluation on In-plane Shear Strength of Lightweight Composite Panels)

  • 황문영;강수민;이병연;김성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9-20
    • /
    • 2019
  • 국내에서의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의 발생횟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해, 재난 환경에 적합한 임시거주공간 혹은 피난시설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 복합패널을 이용하여 기존 피난시설과는 차별화된 구호주거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량 복합패널에 대한 구조적 성능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패널에 대한 성능 시험 방법 중 ASTM E72 기준에 따른 면내 전단 강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각 실험체가 면내 하중을 받을 때의 최대하중을 알아내었다. 모든 실험체는 가력 부분의 패널이 찢어지면서 실험이 종료되었다. 실험체의 초기 강성은 계산을 통해 예측한 강성과 일치하였다. 하지만 패널의 특성인 국부적인 찌그러짐과 찢어짐으로 인해 강성저하와 최종파괴가 발생하였다. 개구부가 있는 실험체들은 개구부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기본 실험체와 강성과 강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모든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패널이 받는 최대하중과 힘을 받는 면적이 비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실험체들의 극한전단응력을 계산하였으며, 평균 극한전단응력을 산정하였다. 경량 복합패널의 평균 극한전단응력은 $0.047N/mm^2$이며, 이 값을 통해 패널의 면적에 따른 허용하중을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지진해일에 의해 해안구조물에 작용하는 힘 (Tsunami Force Acting on Coastal Structures)

  • 홍성수;하태민;조용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71-177
    • /
    • 2011
  • 연안 및 해안 구조물에 직접적인 파괴의 원인이 되는 지진해일 파력에 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 특히, 지진해일 대피소는 지진해일 내습에 의한 파력에 안정하게 설계되어야 하며 이를 고려하기 위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대부분 연구는 일본과 미국 등에서 이루어져왔으며, 일부 수치모형을 이용한 연구가 있으나 대부분은 수리모형 실험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지진해일이 먼 거리를 전파하는 특성상 넓은 해역에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실제지형에서 실용적으로 지진해일 파력을 검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생활인구를 고려한 대피시설 접근성 분석: 서울 중구지역 지진 옥외 대피장소를 사례로 (Analyzing Accessibility of Emergency Shelters Based on Service Population: The Case of Outdoor Evacuation Places for Earthquake in Jung-gu, Seoul)

  • 김상균;신상영;남현정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1-62
    • /
    • 2022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지진 옥외 대피장소를 대상으로 생활인구(유동인구)를 측면에서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한 후, 접근성 취약지역에 추가 신규 대피장소를 확충할 경우의 모의분석을 하여 개선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GIS 네트워크분석 기반의 최적화 모형인 입지배분모형을 적용하여 접근성을 분석하고 취약지역을 식별하였다. 입지배분방법은 일정한 시간 내에 신속한 이동이 중요한 대피시설의 성격에 비추어 'Maximize Coverage(수요영역 최대화)' 방법을 적용하였고, 대피를 위한 한계 거리 및 시간기준은 보행속도를 고려하여 500m(7.5분), 1,000m(15분), 1,500m(22.5분)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대상지역은 지진 발생 시 신속한 대피와 일시적인 체류를 위한 옥외 대피장소의 기능을 고려하여 거주인구에 비해 생활인구가 월등히 많고 대피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가용공간이 크게 부족한 고밀 도심지역으로서 서울 중구지역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거주 인구에 비해 생활인구 기준으로 볼 때 접근성이 취약한 집계구 수와 인구 수가 훨씬 많고 비율도 높았으며, 접근성 취약지역에 가용한 신규 대피장소를 확충할 경우의 모의분석에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고밀 도심지역으로서 가용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대상지역의 특성상 잠재적인 대피인구 전체의 접근성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결론: 유동인구로 인해 주·야간 인구 차이가 심한 서울 도심의 지역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생활인구 첨두시간대를 적용하여 실제 대피수요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입지배분모형을 이용하여 접근성이 불리한 취약지역을 식별하고 신규 대피장소 설치의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과학적 근거 기반의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대피시설의 1인당 적정 수용면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asonable Space for Each Person about Inner Evacuated Facility)

  • Hong, Eunki;Kim, Minseok;Yeom, Taejun;Park, Miji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5-25
    • /
    • 2017
  • 19세기 후반 이후 온실가스의 과도한 배출로 인하여 지구의 연평균 기온이 상승하여 폭우, 폭설과 같은 이상기후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빈번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고도의 경제성장으로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에서는 화재, 테러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심각한 재산 및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재난재해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재민들을 보호할 수 있는 대피시설이 필요하며 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적정 수용면적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국민안전처에서 1인당 수용면적을 $3.3m^2$으로 지정하였지만 그 기준의 설정 근거에 대해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국민안전처에서 명시된 1인당 수용면적 $3.3m^2$의 적합성을 고려하고 그 후에 다양한 기준정립을 감안하여 1인당 적정 수용면적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