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6초

황해와 동중국해에서의 유의파고와 파향의 시공간 변동성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ignificant Wave Height and Wave Direction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 우혜진;박경애;정광영;변도성;오현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2
    • /
    • 2023
  • 해양의 파랑은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기후변화와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황해 및 동중국해역에서의 유의파고 및 파향의 시공간 변동성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중기예보센터(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 ECMWF)에서 제공하고 있는 5세대 모델 재분석장 (ECMWF Reanalysis 5, ERA5) 자료를 활용하여 황해 및 동중국해역에서의 유의파고와 파향의 공간분포와 계절 및 경년변동을 포함하는 시공간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모델 재분석자료를 활용한 유의파고와 파향의 변동성 분석에 앞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평균 유의파고는 0.3-1.6 m의 범위를 보였으며 북쪽에 비해 남쪽이 높고 연안에 비해 황해 중심부에서 높은 공간분포 특성을 보였다. 유의파고의 표준편차 또한 평균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황해에서 유의파고와 파향은 뚜렷한 계절변동성을 보였다. 유의파고의 경우 전반적으로 겨울철에 가장 높았으며 늦봄 또는 초여름에 가장 낮았다. 파향은 계절풍의 영향으로 겨울철에는 주로 남쪽으로 전파되었으며 여름철에는 북쪽으로 전파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유의파고의 계절변동은 여름철 태풍 등의 영향으로 해마다 연 진폭의 큰 변화를 가진 강한 경년변동성을 보였다.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음파전달 특성의 시공간적 변동성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Soun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박경주;피터추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1-211
    • /
    • 2015
  • Acoustic propagation in shallow water with changing environments is a major concern of navy.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acoustic propagation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is studied, using the 11 years hydrographic data and the Bellhop acoustic model. Acoustic propagation in the northern ECS is highly variable due to extensive interaction of various ocean currents and boundaries. Seasonal variations of transmission loss (TL) with various source depths are highly affected by sharp gradient of sound speed and bottoms interaction. Especially, various bottom sediment types lead to severely degrading a waterborne propagation with bottom loss. In particular, the highly increased TL near the ocean front depends on the sourc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sound propagation.

충청지역 극한강우지수의 시공간적 경향과 변동성 분석 (Analysis of Spatial-temporal Variability and Trends of Extreme Precipitation Indices over Chungcheong Province, South Korea)

  • Bashir, Adelodun;Golden, Odey;Seulgi, Lee;Kyung Sook, Choi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4권6호
    • /
    • pp.101-112
    • /
    • 2022
  •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have recently become a leading cause of disasters. Thus, investigating the variability and trends of extreme precipitation is crucial to mitigate the increasing impact of such events.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trends in annual precipitation and four extreme precipitation indices of duration (CWD), frequency (R10 mm), intensity (Rx1day), and percentile-based threshold (R95pTOT) were analyzed using the daily precipitation data of 10 observation stations in Chungcheong province during 1974-2020. The precipitation at all observation stations, except the Boryeong station, showed nonsignificant increasing trends at 95% confidence level (CL) and increasing magnitudes from the west to east regions. The high variability in mean annual precipitation was more pronounced around the northeast and northwest regions. Similarly, there were moderate to high patterns in extreme precipitation indices around the northeast region. However, the precipitation indices of duration and frequency consistently increased from the west to east regions, while those of intensity and percentile-based threshold increased from the south to east regions. Nonsignificant increasing trends dominated in CWD, R10 mm, and Rx1day at all stations, except for R10 mm at Boeun station and Rx1day at Cheongju and Jecheon stations, which showed a significantly increasing tre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rend magnitude shows that R10 mm increased from the west to east regions. Furthermore, variations in precipitation were very strongly correlated (99% CL) with R10 mm, Rx1day, and R95pTOT at all stations, except with wR10 mm at Cheongju station, which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a 95% CL.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혼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Hybrid Expression in Fashion Illustration)

  • 김순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74
    • /
    • 2013
  • Post-modern society leads us to accept diversity and variability instead of pursuit of the absolute truth, beauty or classical value systems, thus leading to hybrid phenome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ve effects of hybrid expressions through which to provide conceptual bases for interpreting expanded meanings of fashion illustrations that express aesthetic concepts of hybrid culture. Hybrid refers to a condition on which diverse elements are mixed with each other, so any one element can not dominate others. It is often used to create something unique and new by a combination of unprecedented things. Hybrid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temporal hybrid, spatial hybrid, morphological hybrid and hybrid of different genres. Temporal hybrid from a combination of past and present in fashion illustration includes temporal blending by repetition and juxtaposition. Spatial hybrid shows itself in the form of inter-penetration and interrelationship by means of projection, overlapping, juxtaposition and multiple space. Morphological hybrid expresses itself through combination of heterogenous forms and restructuring of deformed forms. Hybrid of different genres in fashion illustration applies various graphic elements or photos within the space, and represents blending of arts and daily living. Such hybrid expressions in fashion illustrations reflect the phenomena of diversity and variability of post-modern society. Hybrid expressions in fashion illustrations predict endless possibility of expressing new images through combining various forms or casual elements and can develop toward a new creative technique.

  • PDF

설계조위와 관련된 약최고고조위의 시·공간적 편차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AHHW in Relation with the Design Sea Level)

  • 강주환;주양미;조홍연;권혁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72-80
    • /
    • 2014
  • 설계조위 산정에 종종 이용되고 있는 약최고고조위는 발생빈도가 불분명할 뿐 아니라 평균해수면 상승에 따른 시간적 편차 및 해역별 조위특성 차이에 기인한 공간적 편차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역별로 주요 4대분조 및 연주조 등의 비율을 조사하였고 확률분포함수에 의한 해석을 시행하였다. 시간적 편차문제는 최신조위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쉽게 해결될 수 있다. 공간적 편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주조를 고려함으로써 하절기에 형성되는 약최고고조위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남해안에서 10 cm 이상, 동해안에서 15~25 cm 정도의 설계조위 증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Morphological variability of intertidal Eisenia arborea (Laminariales, Ochrophyta) at Punta Eugenia, Baja California Sur

  • Parada, Gloria M.;Riosmena-Rodriguez, Rafael;Martinez, Enrique A.;Hernandez-Carmona, Gustavo
    • ALGAE
    • /
    • 제27권2호
    • /
    • pp.109-114
    • /
    • 2012
  • Water motion is one of the main drivers in morphological variability in species within de order Laminariales, and most of our current knowledge is based on subtidal populations. $Eisenia$ $arborea$ is a dominant kelp species in the North Pacific, widely distributed along the Baja California Peninsula from mid intertidal down to subtidal areas. This species presents great variability in the intertidal zone but it has not been yet evaluated such variability according to wave exposure. The present work also identifies the spatial / temporal variation, particularly respect to the presence of stipes without medulla (hollow stipes) a feature common among other brown seaweeds. We evaluated the effects of wave action in morphological variation of intertidal $Eisenia$ $arborea$ (Laminariales, Ochrophyta) at Punta Eugenia.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sampling was surveyed between February, May, July, and August 2004 in the intertidal of Punta Eugenia, Baja California Sur. Our results have shown that exposed sites correlate with increased length and width of stipes as compared to more protected sites. Hollow stipes frequency changed more in association with temporal variation than with spatial heterogeneity suggesting nutrient limitation for thalli development. Our results suggest that $Eisenia$ $arborea$ compensate by morphological modifications the stress of living in the intertidal zone by showing larger stipes. Hollow stipes might be are also a mechanical adaptation to increase survival in high energy environments.

가강수량의 변화패턴과 기후인자와의 상관성 분석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 variability of TPW and climate variables)

  • 이다래;한경수;권채영;이경상;서민지;최성원;성노훈;이창석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1-337
    • /
    • 2016
  • 수증기는 지구 장파 복사에너지의 주요 흡수인자이다. 따라서 수증기량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변화의 원인을 세밀하게 조사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관측에 의해 얻어지는 Total Precipitable Water (TPW)자료를 사용하여 가강수량의 변화패턴을 모니터링 하고자 한다. 또한 기후인자들 중 수증기를 통해 생성되어 수증기의 변화패턴을 분석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강수량과 다른 기후인자들에 비해 비교적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엘니뇨를 통해 가강수량의 변화패턴과 기후인자와의 상관성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TERRA/AQUA 위성의 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adiometer (MODIS) 센서를 통해 관측된 TPW의 장기적인 변화와 한반도 중남부지방의 강수량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들의 관계를 엘니뇨와 함께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엘니뇨의 발생이 한반도 중남부지방의 강수량과 TPW의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 지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먼저, 시계열 분석을 통해 TPW와 중남부지방 강수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anomaly분석을 통해 이들의 변화를 세밀하게 분석한 결과 서로 반대의 양상을 띠는 부분이 발견되어 엘니뇨의 anomaly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 같은 양상을 띠고 있던 TPW와 강수량이 엘니뇨가 발생한 후 서로 반대의 양상을 띠는 것을 확인하였다.

NOAA/AVHRR 정규식생지수의 시공간 변화도 분석 (Analysis of Spatial-temporal Variability of NOAA/AVHRR NDVI in Korea)

  • 김광섭;김종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B호
    • /
    • pp.295-303
    • /
    • 2010
  • 식생의 변화는 강수, 기온, 유출 등의 수문기상변수들의 변화와 상당히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식생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곧 기후변화의 지역적 영향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역에 대해서 NOAA/AVHRR 정규식생지수(NDVI)의 시공간변화도를 분석하였다.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한 연평균 정규식생지수의 추세분석결과는 대상기간(1982년~2006년)동안 대부분의 유역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 선형적인 추세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금강유역에서 통계적 신뢰수준 90%의 하향추세가 있었다. 또한 EOF 분석을 이용한 주성분분석결과 북쪽지역으로 갈수록 표고가 높을수록 식생의 변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형변화에 상관성이 높은 연평균 정규식생지수의 공간분포와 달리 위경도 변화에 대응하는 분산분포 변화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계절별로는 6월~9월까지의 정규식생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 기간 중에서 7월경에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유역별로는 한강유역의 정규식생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제주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무심천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추정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with Spatial-Temporal Variability at the Musimcheon Catchment)

  • 김남원;정일문;원유승;이정우;이병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5호
    • /
    • pp.9-19
    • /
    • 2006
  • 지하수 함양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은 지하수계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하수 함양량 추정방법은 지하수위 변동법, 기저유출 분리법, 연단위 물수지 분석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집중형 개념을 기반으로 하거나 국지적인 규모로 다뤄지기 때문에 기후조건, 토지이용, 토양조건, 수리지질학적 비균질성에 의한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반영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의 토양 및 토지이용에 따른 비균질성을 반영할 수 있는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SWAT 모형은 유역내 일단위 지표면 유출량, 증발산량, 토양저류량, 함양량, 지하수유출량 등의 수문성분을 계산할 수 있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을 미호천 유역의 최상류인 무심천 유역에 적용하였다. 2001년-2004년까지의 기간동안 지하수 함양량을 포함한 유역의 일단위 수문성분들을 모의하였으며, 유역출구점에서의 실측 일유춘자료와 모의 일유출자료의 비교를 통해서 모의결과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지하수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하수 함양량의 변동성은 토지이용도 뿐만 아니라, 유역경사와 같은 지형인자에도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