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erate Zone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9초

부산일대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생육 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Growth Density on the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in area of Busan, Korea)

  • 이상철;홍석환;김동필;최송현;안미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5-224
    • /
    • 2018
  • 기후변화로 인한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세력은 약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곰솔과 소나무에 대한 식재요구도는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반도 난온대림지역에 속하는 부산일대, 남동부지역에 주요 조경수목인 소나무림과 곰솔림을 대상으로 자연림의 생육밀도를 파악한 후 난온대림에 적합한 생태적 식재밀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한반도 남동부에 해당하는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소나무림 22개소, 곰솔림 60개소를 선정하여 $100m^2$ 방형구를 설치하여 조사구 내 출현하는 교목, 아교목층 수종의 흉고직경 및 개체수를 조사한 후, 회귀분석을 통해 평균흉고직경급별 적정 개체수 산정을 위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흉고직경의 생장에 따른 교목층 생육개체수 예측모형의 결정계수는 곰솔림 0.700, 소나무림 0.533으로 단일 요인에 의한 설명력으로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측 회귀모형은 곰솔림의 경우 $Y=31.176e^{-0.055x}$, 소나무림의 경우 $Y=38.351e^{-0.059x}$(X=흉고직경, Y=개체수/$100m^2$)였다. 남동부지역의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생육밀도는 중부지방보다 다소 높았다.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생천이계열 고찰 -육박나무군락을 중심으로- (A Review of Vegetation Succession in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Focusing on Actinodaphne lancifolia Community-)

  • 박석곤;최송현;이상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7-96
    • /
    • 2018
  •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식생천이계열을 논의하기 위해 극상림이라 알려진 육박나무군락이 생육하는 한국 3곳(비진도, 애도, 보길도)과 일본 1곳(다치바나산)을 조사 및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의 관련문헌을 검토해 상록활엽수림의 분포특성, 식생천이계열 및 극상수종을 고찰했다. 다치바나산과 애도는 육박나무군락이 가장 발달한 식생구조를 보였지만, 토양분석 및 CCA분석에서 육박나무군락을 난온대 천이극상단계의 조건으로 판단하기엔 부족함이 보였다. 한국과 일본에서 육박나무군락은 드물게 분포하는 반면, 동아시아 난온대 지역에 보편적인 식생유형은 후박나무류, 잣밤나무류, 가시나무류였다. 한국 난온대 지역의 식생천이계열은 곰솔 소나무 졸참나무 등(초기단계)${\rightarrow}$후박나무 생달나무 참식나무 육박나무 등(중간단계)${\rightarrow}$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등(극상단계)의 순으로 2차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된다. 단, 조풍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입지조건이나 잣밤나무류 가시나무류의 종자공급이 어려운 곳에서는 후박나무류 유형이 토지극상일 것이다.

거창 지역 하성퇴적층 형성환경과 화분산상 연구 (Environment of Fluvial Sedimentary Deposits and Palynological Occurrence in the Geochang Area)

  • 김주용;양동윤;봉필윤;김진관;오근창;최돈원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50
    • /
    • 2006
  • 거창의 정장리 유적은 거창분지에 포함되며 황강천상류 하안단구면 위에 분포한다. 정장리의 유적발굴 지내에는 하성퇴적층이 제2지구 2트랜치 북면과 남면에 잘 발달하여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장리 일대의 하성퇴적층의 산상, 입도분석 및 화분분석을 통하여 퇴적층 환경과정을 해석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하성퇴적층의 상부에는 약 $25,000{\sim}30,000$년전의 토양쐐기 구조가 발달한 고토양층이 분포하며, 하부로 가면서 적갈색 니사질층, 유기질 니층 및 사력층이 분포하고 있다. 대표단면인 남벽토층의 유기질 니층에 대한 화분연구 결과, 단면 하부에 초본식물 화분대, 상부에 오리나무-참나무-소나무 화분대가 각각 발견되었다. 형성시기로 볼 때 하부 화분대는 약 80,000 - 70,000년전의 아빙기, 상부 화분대는 약 60,000-50,000년전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정장리 유적에 나타나는 화분대는 활엽수/침엽수 혼유림이 우세하며, 당시에는 온냉(cool temperate) 습윤기후가 우세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토끼박쥐 Plecotus ognevi의 온도선호도와 동면 전략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mal Preference and Hibernation Strategies in Endangered Plecotus ognevi)

  • 김선숙;최유성;김련
    • 생태와환경
    • /
    • 제51권4호
    • /
    • pp.345-353
    • /
    • 2018
  • 온대지역에 분포하는 박쥐가 생존을 위하여 선택하는 동면은 에너지가 고갈되는 시기에 직면하는 에너지 문제해결을 위한 적응현상이다. 본 연구에서 온대지역에 분포하는 토끼박쥐의 온도선호도와 동면전략(동면기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박쥐의 온도선호도와 동면전략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박쥐의 온도선호도는 동면기간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 검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끼박쥐의 분포를 확인하였고 동면처의 환경특성 및 토끼박쥐의 온도선호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토끼박쥐는 외부 최저 기온이 온도선호도보다 낮아지는 시기에 동면처에 도착하여 외부 최저 기온이 온도선호도보다 높아지는 시기에 동면처를 떠날 것으로 예측하였다. 동면중인 토끼박쥐의 평균 체온은 $3.03{\pm}1.30^{\circ}C$(range $0.1{\sim}7.6^{\circ}C$, n=179)로 대기온도 ($T_a$)에 비해 암벽온도 ($T_r$)와 밀접하게 상관되었다. 토끼박쥐는 외부 기온이 온도선호도보다 낮아지는 11월 중순 이후에 동면처에 도착하여 115~120일 동안 동면처에 머물렀다. 또한 외부 기온이 온도선호도보다 높아지는 시기인 3월 중순 이후에 동면처를 떠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토끼박쥐의 동면기간은 대상 종의 온도선호도와 외부기온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임을 시사하며 또한 대상 종의 온도선호도 및 동면기간 같은 동면전략은 대상 종의 분포 제한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불갑산도립공원의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Bulgapsan Provincial Park)

  • 기정현;이상철;유재혁;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10-323
    • /
    • 2024
  • 본 연구는 불갑산도립공원의 식생 특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불갑산도립공원 내 64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를 사용하여 군락분리를 실시한 결과,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리기다소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 갈참나무-굴참나무-층층나무군락, 갈참나무-굴피나무군락, 활엽수혼효군락, 굴참나무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식생군락구조 분석결과, 소나무와 낙엽성참나무류가 경쟁관계에 있는 군락은 소나무의 세력이 축소되고 있어 낙엽성참나무류로의 천이가 예상되며, 기타 활엽수림의 경우 현재의 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난온대림 및 온대 남부 식생대에서 출현하는 참식나무와 비자나무가 함께 출현하고 있어 모니터링 등의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해 보인다. 군락별 종다양도는 경쟁이 활발한 소나무-리기다소나무-졸참나무군락이 2.6654로 가장 높게 확인되었고, 계곡부의 우수 식생들로 이루어진 활엽수혼효군락이 1.2548로 가장 낮게 확인되었다. 교목층의 우점종 및 특징적인 수목을 대상으로 연령을 분석한 결과, 불갑산도립공원 식생군락의 수령은 대략 37~87년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참식나무군락은 48~56년의 수령을 보였다.

포항 지역 토양 CO2의 분포 및 거동 특성 연구: CO2 지중저장 부지 자연 배경 조사 및 예비 해석 (Distribution and Behavior of Soil CO2 in Pohang area: Baseline Survey and Preliminary Interpretation in a Candidate Geological CO2 Storage Site)

  • 박진영;성기성;유순영;채기탁;이세인;염병우;박권규;김정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1권1호
    • /
    • pp.49-60
    • /
    • 2016
  • Distribution and behavior of baseline soil CO2 were investigated in a candidate geologic CO2 storage site in Pohang, with measuring CO2 concentrations and carbon isotopes in the vadose zone as well as CO2 fluxes and concentrations through ground surface. This investigation aimed to assess the baseline CO2 levels and to build the CO2 monitoring system before injecting CO2. The gas in the vadose zone was collected using a peristaltic pump from the depth of 60 cm below ground surface, and stored at gas bags. Then the gas components (CO2, O2, N2, CH4) and δ13CCO2 were analyzed using GC and CRDS (cavity ringdown spectroscopy) respectively in laboratory. CO2 fluxes and CO2 concentrations through ground surface were measured using Li-COR in field. In result, the median of the CO2 concentrations in the vadose zone was about 3,000 ppm, and the δ13CCO2 were in the wide range between −36.9‰ and −10.6‰. The results imply that the fate of CO2 in the vadose zone was affected by soil property and vegetations. CO2 in sandy or loamy soils originated from the respiration of microorganisms and the decomposition of C3 plants. In gravel areas, the CO2 concentrations decreased while the δ13CCO2 increased because of the mixing with the atmospheric gas.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O2 and CO2, N2, and the relation between N2/O2 and CO2 implied that the gases in the vadose zone dissolved in the infiltrating precipitation or the soil moisture. The median CO2 flux through ground surface was 2.9 g/m2/d which is lower than the reported soil CO2 fluxes in areas with temperate climates. CO2 fluxes measured in sandy and loamy soil areas were higher (median 5.2 g/m2/d) than those in gravel areas (2.6 g/m2/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2 fluxes and concentrations suggested that the transport of CO2 from the vadose zone to ground surface was dominated by diffusion in the study area. In gravel areas, the mixing with atmospheric gases was significant. Based on this study result, a soil monitoring procedure has been established for a candidate geologic CO2 storage site. Also, this study result provides ideas for innovating soil monitoring technologies.

인체 피부에 기생한 Leishmania tropica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of a Human Cutaneous Leishmaniasis)

  • 서영훈;허규정;등영건;김정숙;이유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10권1_2호
    • /
    • pp.27-32
    • /
    • 1980
  • 중동지방에 다녀온 48세의 한국인 남자 피부에 발생한 leishmania증 1예에 대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하여 문헌 고찰과 아울러 보고하였다. 광학현미경적으로는 조직구 침윤을 주로 하는 만성 육아종성염증반응을 보였고 Giemsa염색상 다수의 leishmania충체를 조직구내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전자현미경적으로는 난원형의 단세포 또는 분열중인 충체가 조직구내에 존재하였고 충체는 이중막으로 싸였으며 그 바로밑에 microtubule이 배열되고 세포질내에는 신장된 mitochondrion내에 kinetoplast가 존재하고 그 전방에 flagella가 위치하였으며 기타 다수의 ribosome과 드물게 Golgi complex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특징은 Leishmania tropica의 promastigote stage와 일치하였다. Leishmania증은 원칙적으로 열대병이나 열대지방과의 접촉이 빈번함에 따라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보다 많은 증예가 발생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기온자료에 근거한 주요 포도품종의 휴면해제 및 발아시기 추정 (Prediction of Dormancy Release and Bud Burst in Korean Grapevine Cultivars Using Daily Temperature Data)

  • 권은영;송기철;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85-191
    • /
    • 2005
  • An accurate prediction of dormancy release and bud burst in temperate zone fruit trees is indispensable for farmers to plan heating time under partially controlled environments as well as to reduce the risk of frost damage in open fields. A thermal time-based two-step phenological model that originated in Italy was applied to two important grapevine cultivars in Korea for predicting bud-burst dates. The model consists of two sequential periods: a rest period described by chilling requirement and a forcing period described by heating requirement. It requires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as an input and calculates daily chill units (chill days in negative sign) until a pre-determined chilling requirement for rest release is met. After the projected rest release date, it adds daily heat units (anti-chill days in positive sign) to the chilling requirement. The date when the sum reaches zero isregarded as the bud-burst in the model. Controlled environment experiments using field sampled twigs of 'Campbell Early' and 'Kyoho' cultivars were carried out in the vineyard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HRI) in Suwon during 2004-2005 to derive the model parameters: threshold temperature for chilling and chilling requirement for breaking dormancy. The model adjusted with the selected parameters was applied to the 1994-2004 daily temperature data obtained from the automated weather station in the NHRI vineyard to estimate bud burst dates of two cultivar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The model showed a consistently good performance in predicting the bud burst of 'Campbell Early' and 'Kyoho' cultivars with 2.6 and 2.5 days of root mean squared error, respectively.

居金島의 植生 (The Vegetation of Kokum Island)

  • Kim, Jong Hong;Seok Mo Chang;Ho Joon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7권3호
    • /
    • pp.132-157
    • /
    • 198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d the flora and vegetation of Kokum-do island from July 1982 thru December 1983; and the findings hereof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lora investigated thereform comprises 737 species whih are classified into 128 families, 466 genera, 651 species, 79 varieties and 7 formae; and those which are worthy of close attention among the same include such endemic species of Korea as Celtis choseniana, Corylopsis coreana, Carpinus tschonoskii var. eximia and Tricyrtis dilatata, and a few plants, to be distributed in the north, such as Lilium distichum, Girardinia cuspidata and Orostachys sikokianus. Now that the said island belongs to the warm temperate zone, the distribution thereof consists of 120 species of evergreen plants including 74 species of evergreen broadleaf trees. The rich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f trees in the island is thanks to the plantation thereof by the public organizations for scenic beauty. The destruction of flora in this island was caused by felling, fire nization and other human activities around 1940, and in particular, has been correlated with the population densiity of Yonhong-do, Sanghwa-do, and Hahwado islets; and that of top soil and ground vegetation in he quarry area of Ojon-ri town resulted from the collection of natural rocks an stones. It is evaluated as necessary that such evergreen broadleaf trees as Castanopsis cuspidata var. thunbergii, Machillus thunbergii and Ligustrum japonicum of Hyongje-do. Chun-do, Tok-do, Taech'wi-do, and Soch'wi-do islets, andPhyllostachys bambusoides, Caesalpinia japonica and Albizzia julibirssin of Kokum-do island, and Machillus thunbergii of Hongryon-ri town be under protection. The average DGN of the whole archipelago proves to be 5.84, which shows the tendency of the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resident population per unit area. The pteridophyta distributed in this island comprises 39 species, and the coefficient of cryptogam as to the destruction of vegetation shows a high value of 1.4 which is regarded as indicating the diversified distribution of pteridophyta, forestbed shade plants under the forestbeds of some wellpreserved lots of this island. The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this island, were found out comprising a total of 23 species, and the Urbanization Index(UI) as to the destruction degree of natural vegetatioin shows a low value of 20.9.

  • PDF

The Diversity and Ecology of Mollusks in Seogundo off The Souther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 Noseworthy, Ronald G.;Choi, Kwang-Sik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31
    • /
    • 2010
  • Seogundo is a small island adjacent to the southern coast of Jeju Island and connected to it by a boulder beach at low tide Surveys of this area were conducted from 2001 to 2009 to enumerate the mollusks there and also to examine their diversity, relative abundance, and ecological relationships. Both the boulder beach itself and several large tide pools were studied, including the coarse sand substrate and several species of seaweed and coralline algae found in the tide pools. Of the 121 species obtained or observed, there were 97 gastropods, 16 bivalves, and 8 polyplacophorans. Live specimens were obtained for about half of those species. About one third were found on rocky substrate, with the most common species being Nodilittorina radiata and Nerita japonica in the upper intertidal zone, N. radiata and Littorina brevicula in the middle intertidal, and Turbo (Lunella) coronata coreensis and Acanthopleura japonica in the lower intertidal and shallow subtidal. The seaweeds and coralline algae contained about 40% of all mollusk species. The most common mollusks in two species of brown seaweed were Ittibittum parcum, Musculus nanus, and Euplica scripta. In a species of red seaweed, Komaitrochus pulcher was the most frequent, as in the coralline algae, along with M. nanus. The coarse sand in the tidepools contained about 25% of the species, with the Cerithiidae having the largest number. A sample of beach drift contained 17 species, with Bittium aleutaceum and Rissoina (Phosinella) pura being most common. Most species, about 60%, were found in a variety of habitats, especially the marine flora; few species exhibited any habitat preferences. Biographically, Jeju Island is part of the Warm Temperate Northwest Pacific Province and the East China Sea ecoregion with a strong faunal affinity with southern Japan, eastern China, and northeastern Taiwan. Zonal-geographical groupings reveal that the fauna is mainly subtropical-low boreal, preferring moderately warm water, with a somewhat smaller number of tropical-subtropical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