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ical risk analysis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9초

관상동맥 우회수술후 신경계 합병증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Neurologic Complication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박계현;채헌;박충규;전태국;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9호
    • /
    • pp.790-798
    • /
    • 1999
  • 배경: 최근 관상동맥 우회수술의 조기 성적이 향상됨에 따라 뇌 경색을 비롯한 신경계 합병증이 수술 후 경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합병증으로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우회수술 후에 발생하는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 양상을 분석하고 그 위험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시행받은 3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 여부와 형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신경계 합병증은 새로운 뇌 경색이 확진된 경우와 수술후 의식 및 지남력의 완전한 회복이 24시간 이상 지연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중 18명(5.1%)에서 신경계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그 중 뇌 경색이 확진된 환자는 9명(2.6%)이었다. 운동마비를 동반한 뇌 경색이 4명에서 발생하였고 4명은 정신 지체나 지남력 장애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뇌사 판정을 받은 환자가 1명 있었다. 나머지 9명은 뇌 경색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의식 및 지남력의 완전 회복이 지연된 환자들이었다. 통계적 분석 결과 180분 이상의 심폐 바이패스, 수술중 상행 대동맥의 죽상경화반이 진단된 경우, 초음파 검사로 진단된 경동맥 협착, 뇌졸중이나 일과성 뇌허혈의 과거력 등이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 모두에서 의미있는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그밖에 고령(65세 이상), 흉부 단순 촬영상 대동맥의 석회화가 발견된 경우, 수술중 심근 경색 등도 단변량 분석시 의미있는 위험인자였다. 대동맥궁 삽관이나 single clamp technique 등 신경학적 합병증의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수술 수기상의 변형은 합병증 발생 빈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동맥 협착의 정도 역시 합병증 발생 빈도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관상동맥 우회수술 후의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 원인은 복합적이긴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동맥계의 동맥경화성 병변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합병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수술전 동맥경화성 병변에 대한 전신적인 평가와 함께 고위험군 환자들의 경우 적극적인 수술 수기의 변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겨울철 도시부 노면결빙사고 발생에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actors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Frozen Urban Road Surfaces in the Winter)

  • 김상엽;장영수;김성규;민동찬;나호혁;최재성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79-87
    • /
    • 2015
  • PURPOSES: According to accident statistics for road built in 2004, the ratio of accidents on frozen roads to normal roads is 0.9%, whereas the fatality ratio is 2.7%. The risk of accidents on frozen roads is very high. Measures taken every year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of frozen roads in the winter season are still insufficient. Additionally, measures have been established mainly on rural roads. Therefore, for urban roads, analyses and 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are lacking. In this study, data on accidents on frozen roads was used to search for the causes behind these accidents and measures to reduce accidents have been recommended. METHODS: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the TAMS (Traffic Accident Management System), which were collected by the Seoul National Police Agency was used. The data were divided into vehicle, people, and condition of road. The analytical model used here was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hich is frequently used for traffic safety and accident analysis. This study uses the odds ratio analysis to search for variables related to frozen road traffic accidents in each category. A total of 18 out of 47 variables were found to be the causes of accidents. RESULTS: From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18 variables, the category of the condition of the road was found to be the most critical. Contrary to expectations, more accidents occurred in clear weather than in other conditions. Accidents on bridges occurred frequently, and its odds ratio was the highest compared with other road types. When BPT is operated, the probability of accidents on frozen roads is lower than in general conditions, and accidents occurred frequently on roads with less than four lanes.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reducing the risk of future domestic road accidents in freezing conditions are indica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technical review of the urban road traffic accidents caused by frozen road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riteria for the study of the road environment based on the major causes of road accidents on frozen roads. Third, improvements in urban road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made.

Management of Recurrent Cerebral Aneurysm after Surgical Clipping : Clinical Article

  • Kim, Pius;Jang, Suk J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2호
    • /
    • pp.212-218
    • /
    • 2018
  • Objective : Surgical clipping of the cerebral aenurysm is considered as a standard therapy with endovascular coil embolization. The surgical clipping is known to be superior to the endovascular coil embolization in terms of recurrent rate. However, a recurrent aneurysm which is initially treated by surgical clipping is difficult to hand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management of the recurrent cerebral aneurysm after a surgical clipping and how to overcome them. Methods :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2015,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 findings of 14 patients with recurrent aneurysm after surgical clipping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Detailed case-by-cas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follow-up radiologic examinations and operative findings. All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age, sex, aneurysm size and location, type and number of applied clips, prognosis, and time to recurrence are evaluated. All patients are classified by causes of the recurrence. Possible risk factors that could contribute to those causes and overcoming ways are comprehensively discussed. Results : All recurrent aneurysms after surgical clipping were 14 of 2364 (0.5%). Three cases were males and 11 cases were females. Mean age was 52.3. At first treatment, nine cases were ruptured aneurysms, four cases were unruptured aneurysms, and one case was unknown. Locations of recurrent aneurysm were determined;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com) (n=7),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P-com) (n=3), middle cerebral artery (n=2), anterior cerebral artery (n=1) and basilar artery (n=1). As treatment of the recurrence, 11 cases were treated by surgical clipping and three cases were treated by endovascular coil embolization. Three cases of all 14 cases occurred in a month after the initial treatment. Eleven cases occurred after a longer interval, and three of them occurred after 15 years. By analyzing radiographs and operative findings, several main causes of the recurrent cerebral aneurysm were found. One case was incomplete clipping, five cases were clip slippage, and eight cases were fragility of vessel wall near the clip edge.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main causes of the recurrent aneurysm and contributing risk factors to be controlled. To manage those risk factors and ultimately prevent the recurrent aneurysm, neurosurgeons have to be careful in the technical aspect during surgery for a complete clipping without a slippage. Even in a perfect surgery, an aneurysm may recur at the clip site due to a hemodynamic change over years. Therefore, all patients must be followed up by imag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식품안전관리망 강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 도입의 적절성 평가 (Evaluation of Introducing Feasibility of Blockchain Technology to Food Safety Management Network)

  • 권소영;민경세;조승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89-494
    • /
    • 2019
  • 수출입 증명, 위생등급제, 식품 민원처리, 식품 관련 인증, 식품 위해정보 관리 및 식품이력추적 관리제도 등 식품안전관리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도입의 적절성을 효과성과 제약성 평가지표에 따라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식품안전 업무영역별 블록체인 도입 적절성에 대한 포트폴리오 분석을 진행하여 블록체인 도입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블록체인 도입 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영역은 식품인증, 위생등급제, 위해정보 및 수출입 증명 업무였다. 반면, 이력추적 및 민원처리업무의 경우 블록체인 도입의 효과성이 낮아 도입대상에서 제외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조사된 6가지의 식품안전관리 업무영역 모두에서 블록체인 도입 시 비용, 법 제도 개정 등 보통 이상의 제약성이 존재하였다. 특히, 식품이력추적관리 분야는 도입 추진 시 가장 제약사항이 많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블록체인 도입 시 수출입 증명업무의 효과는 높으나 비용과 법 개정 등 제약성이 높아 블록체인 도입을 위해서는 제도개선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평가대상 업무분야들 중 식품인증, 위생등급제 및 위해정보 관련 업무는 블록체인 도입 시 신뢰성과 투명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 제약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블록체인을 우선적으로 도입하는데 적합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Estimation of In-plant Source Term Release Behaviors from Fukushima Daiichi Reactor Cores by Forward Method and Comparison with Reverse Method

  • Kim, Tae-Woon;Rhee, Bo-Wook;Song, Jin-Ho;Kim, Sung-Il;Ha, Kwang-Soo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2권2호
    • /
    • pp.114-129
    • /
    • 2017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firm the event timings and the magnitude of fission product aerosol release from the Fukushima accident. Over a few hundreds of technical papers have been published o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Fukushima Daiichi accident since the accident occurred on March 11, 2011.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used reverse or inverse method based on the monitoring of activities in the remote places and only few papers attempted to estimate the release of fission products from individual reactor core or from individual spent fuel pool. Severe accident analysis code can be used to estimate the radioactive release from which reactor core and from which radionuclide the peaks in monitoring points can be generated. Materials and Methods: The basic material used for this study are the initial core inventory obtained from the report JAEA-Data/Code 2012-018 and the given accident scenarios provided by Japanese Government or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TEPCO) in official reports. In this research a forward method using severe accident progression code is used as it might be useful for justifying the results of reverse or inverse method or vice versa. Results and Discussion: The release timing and amounts to the environment are estimated for volatile radioactive fission products such as noble gases, cesium, iodine, and tellurium up to 184 hours (about 7.7 days) after earthquake occurs. The in-plant fission product behaviors and release characteristics to environment are estimated using the severe accident progression analysis code, MELCOR, for Fukushima Daiichi accident. These results are compared with other research results which are summarized in UNSCEAR 2013 Report and other technical papers. Also it may provide the physically based arguments for justifying or suspecting the rationale for the scenarios provided in open literature. Conclusion: The estimated results by MELCOR code simulation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release amount of volatile fission products to environment from Units 1, 2, and 3 cores is well within the range estimated by the reverse or inverse method, which are summarized in UNSCEAR 2013 report. But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se two approaches are consistent.

재해분석을 통한 정전기 안전관리 수준 향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Electrostatic Safety Management Level through Injury Analysis)

  • 최상원;정성춘;박재석;양정열;변정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7-45
    • /
    • 2019
  • The characteristic of fire and explosion related to electrostatic discharge is that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the electrostatic charge and discharge phenomenon in addition to the large human and material damag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and disasters related to electrostatic in fire and explosion hazard areas,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level of electrostatic in a safe manner from the perspective of system between industrial facilities and human bodies. Rule 325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gulations, "Prevention of Fire / Explosion due to Electrostatic", requires the use of grounding, conductive materials, humidification and electrific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risk of disaster caused by static explosion and electrostatic in the production process. In order to comply with these measures, related technologies, standards and systems are needed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ve measures related to electrostatic in fire and explosion hazard areas, but in Korea, it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echnical, institutional and managerial measures are needed as a precautionary measure to improve the level of ESD safety in fire and explosion hazard areas and prevent electrostatic related injury. In Korea,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lectrostatic related disaster by using the statistics of industrial accident and fire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e also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lectrostatic related disasters in Japan using JNIOSH accidents and disasters investigation cases and JNIOSH fire accident data of Japan Fire Burea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lectrostatic related accidents and disasters in Korea and Japan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of electrostatic in fire and explosion hazard areas.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and disasters in the industrial field, The technical, institutional, and managerial measures to manage the level of electrostatic in a safe state were derived from the system point of view.

창업의도에 대한 연구: 기업가정신과 업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Research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허병준;이형용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1호
    • /
    • pp.121-138
    • /
    • 2021
  • 빠르게 변화하는 기업 환경에서 새롭게 창업을 하려는 창업의도가 직장인사이에서 강화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의 관점에서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서, 위험감수성, 성취욕구, 혁신성으로 이루어진 2차 요인인 기업가정신과 기술역량과 업무만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PLS 구조 방정식(Partial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이용하여서 제안된 연구모형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직장에 재직중인 직장인 280명을 대상으로 Online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안된 모든 변수들이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업무만족은 기업가정신과 상호작용하여서 창업의도에 부(-)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지식 경영관점에서 실무적, 이론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항만부잔교시설의 전략적 운영 개선 방안 (Strategic Improvement of Harbor Floating Pier Facilities)

  • 박두진;김정이;김우선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05-116
    • /
    • 2021
  • 항만부잔교는 조석 간만의 차가 심한 곳에서 조위에 관계없이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부유식 함체를 1개 혹은 여러 개 연결하여 부두 기능을 갖도록 한 구조물이다. 국내 항만부잔교는 233개가 설치되어 있고, 30년 이상 경과된 부잔교는 27.5%에 달한다. 30년 이상 경과된 항만부잔교는 잠재적으로 사고의 위험성이 높지만 노후화된 항만부잔교에 대한 명확한 폐기, 매각 등의 처리기준이 없고, 유지점검 및 보수시기 등에 관한 관리규정이 모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만별 담당자 인터뷰와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항만부잔교시설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요인을 분류하여 AHP 모형 설계하였다. AHP 분석결과 상위계층 평가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는 법제도 개선, 운영관리 개선, 기술적 개선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항만부잔교시설 운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저체중 독거노인의 질병과 건강행태 :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Disease and Health Behavior of Low-Weight Elderly Living Alone : Focusing o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4)

  • 김종임;김유미;남미라;최지연;손기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79-488
    • /
    • 2018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질병과 건강행태의 파악을 통해 독거노인의 저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5세 이상 저체중 독거노인 922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Rao Scott $x^2$ 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독거노인들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높았으며, 흡연, 음주, 운동량 부족, 짜게 먹는 식습관, 틀니사용에 의한 저작 불편, 나쁜 주관적 건강상태와 같은 좋지 않은 건강행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독거노인의 성별에 따른 저체중 발생 위험확률은 다음과 같다. 흡연으로 인한 저체중 위험도는 여자노인에서 가끔 피우는 경우 3.004배, 걷기량으로 인한 저체중 위험도는 3일미만 걷는 사람이 저체중일 가능성은 1.420배로 유의하게 높았다. 주관적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경우 저체중일 가능성은 남자노인에서 2.220배, 여자노인에서 1.282배로 유의하게 높았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쁜 사람이 저체중일 가능성은 남자노인에서 3.633배, 여자노인에서 1.590배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저체중 독거노인의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적절한 간호중재의 수립과 관리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저체중 독거노인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 등의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무기 시스템의 기술 보호를 위한 CMVP 표준 기반의 Anti-Tamper 시스템 요구사항 도출 (Derivation of Anti-Tamper System Requirements Based on CMVP Standard for Technology Protection of Weapon Systems)

  • 이민우;이재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70-478
    • /
    • 2019
  • 국내 방산분야의 기술적 성장과 수출 증대가 괄목함에 따라, 국가안보적 위협을 방지하기 위한 방위산업 분야 기술보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기술보호 제도의 확립 및 수행이 필요하다. 특히 무기 시스템으로부터 중요기술을 불법으로 탈취하는 Tampering 시도에 대응하기 위한 Anti-Tampering 기법의 도입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관련제도가 갖춰지지 않았고 기술자료 유출 예방 위주 수준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연구로서 특정 기술 보호기법에 대한 기술적 연구와 동향 분석, 일부 절차를 적용한 Anti-Tampering 적용방안 등이 발표되었으며, 최근에는 위험관리 절차를 기반으로 보호대상 기술을 선정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무기 시스템의 Life-cycle 차원에서 획득 프로세스와 연계하기에 용이하지 않거나, 실제로 개발 및 평가에서 활용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한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Anti-Tampering 적용이 결정된 무기 시스템의 개발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Anti-Tampering 요구사항의 도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암호 모듈의 개발 및 검증에 적용되는 CMVP 표준인 ISO/IEC 19790을 기반으로 무기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요구사항 항목들을 도출하였으며, 기술검토회의 및 시험평가 등에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귀납적 추론 및 비교평가를 통해 연구결과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활용하면, 국내개발 무기 시스템의 본격적인 기술보호 활동 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