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r film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8초

소프트콘택트렌즈 재질에 따른 눈물막 파괴시간과 고위수차의 비교 (Comparison of tear film break-up time and high order aberration according to soft contact lens material)

  • 김봉환;한선희;김학준;배상아;손유진;김지현;김현지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32-1237
    • /
    • 2019
  • Purpose. In this study, two types of soft contact lenses with different materials were selected to compare the time of tear film destruction and high order aberrations before and after wearing. Methods. Thirty patients (60 eyes) in their 20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wo lenses with different materials, Group 4 (Etafilcon A) and Group 5 (Narafilcon A) were selected. Using aberration analyzer and keratometry, high-order aberration and tear film test (NIF-BUT, NIAvg-BUT)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wearing. Results. When comparing the higher aberrations of the Etafilcon A and Narafilcon A lenses, the higher aberrations of the Narafilcon A lens were higher overall. For the initial tear film break-up time (NIF-BUT) after wearing, the Etafilcon A lens was reduced by 4.0 seconds and the Narafilcon A lens increased by 0.6 seconds. For the mean tear film break-up time (NIAvg-BUT) after wearing, the Etafilcon A lens decreased by 2.4 seconds and the Narafilcon A lens increased by 1.7 seconds. Conclusions. NIF-BUT and NIAvg-BUT of Narafilcon A lens were increased. The lens with relatively low water content and higher oxygen permeability than the lens with high water content has relatively less tear evaporation, which means that the time of destruction of the tear film is increased.

써클콘택트렌즈가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ircle Contact Lens on the Stability of Tear Film)

  • 이세희;형성민;고승환;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5-131
    • /
    • 201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써클콘택트렌즈의 착색이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눈물량이 정상인 20대 54안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착용 전후의 비침입성 눈물막파괴시간 및 눈물막 깨짐이 시작되는 부위를 측정하였으며, 콘택트렌즈 전후면의 표면 거칠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콘택트렌즈는 hilafilcon B재질의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polymacon 재질 및 HEMA NVP 공중합 재질의 써클콘택트렌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콘택트렌즈 착용 시 나안에 비해 눈물막파괴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써클콘택트렌즈 간에 눈물막파괴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의 상방부 보다는 하방부에서, 코방향 보다는 귀방향에서 좀 더 높은 빈도로 눈물막이 깨지기 시작하였으나 렌즈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Hilafilcon B 투명렌즈에 비해 동일 재질 써클콘택트렌즈 주변부(착색부분)에서의 눈물막 깨짐이 더 많았다. 결론: 써클콘택트렌즈의 착용으로 인해 눈물막 안정성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착색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해결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동일 재질의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정상안과 건성안의 눈물막 안정성 차이 (The Difference in Tear Film Stability between Normal and Dry Eyes by Wearing Clear and Circle Contact Lenses made of the Same Materials)

  • 이세희;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21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동일재질의 투명 및 써클소프트콘택트렌즈(써클렌즈)를 정상안과 건성안에 착용시켰을 때 착용시간 경과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를 눈물량에 따라 정상안과 건성안으로 분류한 후 hilafilcon B 재질과 nelfilcon A 재질의 투명 및 써클렌즈를 각각 착용시키고, 렌즈 착용 30분 후, 6시간 후에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시간, 렌즈중심안정위치, 눈물막깨짐 시작부위를 측정하여 눈물막 안정성의 변화를 알아보였다. 결과: 정상안과 건성안 모두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착용시간경과에 따라 눈물막파괴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눈물막깨짐 시작 비율은 두 렌즈 모두 투명렌즈보다 써클렌즈의 주변부에서 높았고, 정상안보다는 건성안의 주변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Hilafilcon B 재질보다는 nelfilcon A 재질 렌즈의 주변부에서 눈물막깨짐 시작 비율이 높았으나 착용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는 서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한편, hilafilcon B 재질의 써클렌즈 착용 시 단위면적 당 눈물막깨짐 개수는 모두 주변부에서 많게 나타났던 반면, nelfilcon A 재질 써클렌즈의 경우는 착용시간 경과에 따라 중심부에서의 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렌즈중심안정위치는 착용시간 경과에 따라 두 재질 모두 써클렌즈에 비해 투명렌즈가 동공중심 가까이에 존재하였으나 정상안에 비해 건성안의 중심이탈이 크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 렌즈착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착색공정을 거친 써클렌즈 뿐만 아니라 투명렌즈도 눈물막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으며, 렌즈재질에 따라 눈물막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또한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투명 및 써클렌즈를 착용하고자 할 때에는 착용자의 일일착용시간이나 착용기간 등과 같은 사용습관에 따라 렌즈의 착색공법/염료 뿐만 아니라 렌즈 재질 또한 고려하여 적절한 렌즈를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정상안과 건성안에서 소프트렌즈 피팅 상태에 따른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 시간의 차이 (The Difference of Tear Break-Up Time by the Fitting States of Soft Contact Lens in Normal and Dry Eyes)

  • 정다이;이흠숙;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9-346
    • /
    • 2010
  • 목적: 정상안과 건성안에 소프트렌즈를 각각 얼라인먼트(alignment) 피팅 또는 스팁(steep) 피팅하였을 때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 시간(non-invasive tear break-up time, NIBUT)에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성안 검사방법에 따라 정상안군과 건성안군으로 분류된 20~30대 남녀 40안에 polymacon 재질의 소프트렌즈를 얼라인먼트 피팅 혹은 스팁 피팅으로 착용시킨 후 렌즈 착용 전, 착용 직후 및 눈물층이 안정화 되었을 때의 NIBUT를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얼라인먼트 피팅시 눈물층이 안정화되었을 때는 건성안군의 평균 NIBUT가 정상안군의 값과 차이가 없었으나, 렌즈를 착용한 직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팁한 피팅을 한 경우에 는 렌즈 착용 직후 건성안에서의 평균 NIBUT가 정상안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스팁 피팅하였을 때는 건성안의 65%가 4초 이하의 NIBUT을 나타내어 얼라인먼트 피팅하였을 때보다 30% 가량 그 수가 증가하였다. 건성안에 스팁 피팅을 하였을 때에는 눈물층이 안정화된 후에도 NIBUT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건성안의 경우 소프트렌즈의 착용시 눈물막과의 상호관계가 정상안과는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건성안에 콘택트렌즈를 피팅할 때에는 렌즈 착용으로 인하여 야기되어질 수 있는 불안정한 눈물막 상태가 충분히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조사료 래핑용 스트레치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y of Stretch Film for Wrapping of Roughage)

  • 이성현;장유섭;박원규;최광재;김종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9-86
    • /
    • 1999
  • Recently more dairy farmers are interested in the utilization of stretch film for wrapping silage material. Most of stretch film are imported from abroad and one domestic product was developed, but its quality has not yet been tested. Therefore this study was executed to offer basic data on this material to the farmers. Measured items were tensile load, extension ratio, and tear propagation strength of stretch films. Comparisons were made among the white color of domestic product(Kw), and white(Fw), black (Fb) and green color(Fg) of foreign products. The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ensile loads of lengthwise direction in stretch films were 557.4, 377.4, 282.6 and 398.4kgf/$\textrm{cm}^2$ in Kw, Fw, Fb and Fg, respectively, and tensile loads of width direction were 415.9, 418.1, 360.2 and 433.0kgf/$\textrm{cm}^2$ in Kw, Fw, Fb and Fg, respectively. 2. Extension ratios of lengthwise direction were 650, 462.5, 512.5% and 537.5% in Kw, Fw, Fb and Fg, respectively, Extension ratios of width direction were 930, 962.5, 950 and 1,000% in Kw, Fw, Fb and Fg, respectively. 3 Tear propagation strength of lengthwise direction 187.9, 148.9, 157.3 and 142.8kgf/cm, and tear propagation strength of width direction were 141.4, 129.8, 140.4 and 106.6kgf/cm in Kw, Fw, Fb and Fg, respectively. 4. In the light transmittanc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white and green color stretch film, but it was very low in black on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research on quality of roll bale silage treated with each stretch film would be needed.

Microvascular autologous submandibular gland transplantation in severe cases of keratoconjunctivitis sicca

  • Su, Jia-Zeng;Cai, Zhi-Gang;Yu, Guang-Ya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7권
    • /
    • pp.5.1-5.4
    • /
    • 2015
  • Dry eye syndrome is a relatively common disease of the tears and ocular surfaces that results in discomfort, visual disturbance, and tear film instability with possible damage to the ocular surfaces. Microvascular submandibular gland (SMG) transfer offers a surgical alternative for a permanent autologous substitution of tears using the basal secretion of a transplanted SMG. Long-term follow-up reveals that this technique is a lasting and effective solution for patients with severe dry eye syndrome. The uncomfortable symptoms were relieved, and the frequency of use of pharmaceutical tear substitutes was reduced. Objective examinatio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ear film and some features of ocular surface such as breakup time of tear film and corneal staining. Patients may suffer from obstruction of Wharton's duct or epiphora after surgery. Activation of secretion-related receptors could improve the early hypofunction of the denervated SMG and prevent the duct obstruction. Reduction surgery, partial SMG transplantation, uses of atropine gel or Botulinum toxin A could be the choices of treatment for epiphora.

건성안 검사 방법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fidence of Dry Eye Diagnosis Methods)

  • 이병준;홍재현;정다이;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20
    • /
    • 2008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처방시 필요한 건성안 진단 방법들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20대 40명을 대상으로 NIBUT(non-invasive tear film break-up time) 및 TBUT(trear film break-up time) 검사를 시행하여 정상안과 건성안으로 구별하였다. McMonnies 설문, 누액 프리즘 높이 측정, 건빵 검사, 순목 횟수 측정, 쉬르머 검사의 결과를 NIBUT 검사 및 TBUT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NIBUT와 TBUT를 측정하였을 때 두 방법 모두에서 정상안으로 판정된 피검자는 20명, 건성안으로 판정된 피검자는 10명이었으며, 실험대상자 중 10명은 두 방법에서 상이한 결과가 나왔다. McMonnies 설문 조사시 정상안군은 평균 8.2점, 건성안군은 평균 18.5점으로 두군 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또한, NIBUT 및 TBUT 측정 결과로 정상안으로 분류된 피검자 중 100%가 McMonnies 설문조사시 정상안으로, 건성안으로 분류된 피검자의 90%가 건성안으로 판정되었다. 누액 프리즘 높이는 정상안군은 평균 0.32 mm, 건성안군은 평균 0.23 mm이었으며, 정상안과 건성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빵 검사, 순목 횟수 측정 및 국소마취제를 사용하지 않은 쉬르머 검사에서 정상안군과 건성안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결론: 건성안 검사에 있어서 McMonnies 설문과 누액 프리즘 높이 측정 결과가 NIBUT 및 TBUT 검사 결과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 PDF

실내 공간 내에서 한국인 청년의 하루 중 눈물층 변화 (The differences of tear film for young Korean of a day indoor space)

  • 오현진;이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535-540
    • /
    • 2012
  • 본 연구는 동일한 공간 내에서 동일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젊은 성인들의 눈물 상태를 조사하여, 하루 동안 눈물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지원 대상안 중 예비 검사와 하루 중 두 번의 검사에 모두 참여하고, 눈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칠만한 전신질환과 안질환이 없으며, 정위상태이며, 교정시력이 성인이 일상생활에 불편감이 없는 0.8 이상이고, 각막의 약주경선 곡률반경이 수평방향이고, 강주경선 곡률반경이 수직방향인 대학생 37명(5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안에 대하여, 나안시력, 굴절이상도, 각막 곡률반경, 쉬머테스트, 눈물막 파괴시간 검사를 실시하였다. 쉬머테스트 결과 쉬머 용지가 눈물의 수성층에 의해 적셔진 양은 오전 중에 $16.0{\pm}7.0mm$이었으며, 일과 후에는 $14.1{\pm}7.1mm$로 줄어 들었다. 눈물막 파괴 검사로 각막의 건조점이 나타나는 시간은 오전 중에 $11.3{\pm}0.6$초이었으며, 일과 후에는 $12.1{\pm}0.9$초로 늘어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Evaluation of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Measurements Obtained Using an Ocular Surface Interferometer in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Patients

  • Lee, Sang Min;Chung, Sok Joong;Lew, Helen
    •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 /
    • 제32권6호
    • /
    • pp.445-450
    • /
    • 2018
  • Purpose: To compare the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LLT) between patients with incomplete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NLDO) and normal controls and to analyze the changes in tear film LLT and blinking pattern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in NLDO patient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68 eyes in 52 incomplete NLDO patients who underwent silicone tube intubation from January 2017 to July 2017. The LLT, blinking pattern, and Meibomian gland image were measured with the LipiView II ocular surface interferometer. The Meibomian gland drop-out ratio was measured using the polygon selection tool in the Image J program. Tear meniscus height, which is the other lacrimal indicator, was assessed with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sults: Tear meniscus heigh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p < 0.01). Preoperative minimum, maximum, and average LLT values were $62.4{\pm}24.0$, $86.7{\pm}17.9$, and $71.7{\pm}23.3nm$, respective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minimum, maximum, and average LLT ($74.8{\pm}23.6$, $98.8{\pm}11.0$, and $91.6{\pm}16.1nm$, respectively) were observed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p < 0.001, p = 0.001, and p < 0.001). The partial blinking/total blinking ratio in 20 seconds and the Meibomian gland drop-out ratio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Conclusions: Overall, the LLT was increased after silicone tube intubation. Silicone tube intubation may be helpful in maintaining LLT with a normalized of amount of tears.

The effect of synovium graft on conjunctiva in rabbit model of dry eye

  • Park, Keungjin;Nam, Kyungmin;Jang, Min;Lee, Won-Jae;Jeong, Seong Mok;Bae, Seulgi;Kwon, Young-Sam;Ku, Sae-Kwang;Yun, Sungho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9-68
    • /
    • 202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ynovium graft on conjunctiva in rabbits after dry eye induction. Six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used as dry eye models. Both eyes were divided to two groups as control and synovium graft group. The synovium graft was performed in fourth week after dry eye modeling. Quantitative change of tears through Schirmer tear test (STT), qualitative change of tear film through tear film break up time (TFBUT), and damage of cornea through fluorescein staining were observed for 10 weeks at intervals of two weeks. Histological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cornea and conjunctiva at tenth week. In both groups, STT and TFBU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4 weeks after modeling compared to 0 weeks (p < 0.05) . After synovium graft, there were increases in STT value at 4 weeks and TFBUT at 4 and 6 weeks in graft group (p < 0.05). Corneal fluorescein stain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grafted synovium was detected as round to ovoid ingression folds, well attached to grafted regions with 0.11 ± 0.04 mm2 (range, 0.05-0.16 mm2).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ynovium graft on the conjunctiva had an effect 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of the tear film even though there was no histological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