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Perceptions

검색결과 712건 처리시간 0.03초

Teacher Perception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Cutting Edge Technologies in Rural Public Schools: Focusing on Tablet PCs, e-Whiteboards, and Fastel

  • SUNG, Eunmo;JIN, Sunghee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2권1호
    • /
    • pp.95-124
    • /
    • 2011
  • Teachers' perception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new technologies can be dealt with a critical factor for enhanc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using new technologies in education.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identify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cutting edge technologies established through a government-driven educational agenda, "The rural public school model", To achieve this purpose, e-survey was conducted for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TPCs, e-Whiteboards, and Fastel according to teachers' working areas, school levels, teaching experiences, and training experiences. Participants were 123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le:62, female:61) and 66 middle school teachers (male:37, female:29) who are working in the rural public model schools (Gyeonggi: 29, Chungcheong: 12, Jeolla: 30, Gyeongsang: 88, Gangwon: 22, Jeju: 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gion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levels; second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TPCs and Fastel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were not shown; thirdly,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according to their training experiences were meaningfully significant in terms of three new technologies,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in order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for using the technologies.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일정성분비 법칙의 강의와 실험에 대한 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 (T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Lectures and Experiments of Law of Definite Propor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 한감봉;민희정;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44-158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다루는 일정성분비 법칙의 강의와 실험에 대한 과학 교사들과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3명의 교사 수업을 관찰 기록하고, 면담을 통해 수업과 실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또한 학생들의 과학 성적과 인지 수준과 과학 태도, 실험 보고서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에 따라 강의 수업에서 강조하는 점이 달랐으며, 특히 화학교사들은 기본 개념보다는 비례 관계의 계산과 응용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기본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 실험 수업에서도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행 수준이 낮다고 보고, 실험 과정을 설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그리고 실험 결과의 오차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졌다. 학생들은 실험 과정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인위적으로 조작하고, 실험 오차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교사의 학교 과학 수업과 실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통해 해결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유아통합교육프로그램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미국 교사를 중심으로 (Teachers' Perceptions of Competencies Needed for Working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Programs)

  • 김경숙;바바라탐슨
    • 아동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83-29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arly childhood education(ECE)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teachers' perceptions of (a)important teacher competencies needed for working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programs and (b)current levels of these competencies. Sixty-two ECE teachers and 77 ECSE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developed for this study.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ECE teachers and ECSE teachers in the ratings of importance of the competency domains. However, the ECSE teachers had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s than the ECE teachers of their self-proficiency on competencies related to child development, curriculum and instruction, assessment procedures, working with other adults, and professionalism. Both the ECE and ECSE teachers perceived the greatest need for further training in competencies related to assessment procedures and working with families and other adults.

  • PDF

수학, 과학 학업성취의 성차에 대한 영재교사의 인식 연구 (Study on Gifted Teachers' Perceptions of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Learning Ability)

  • 채유정;류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110-1120
    • /
    • 2011
  • 본 연구는 수학, 과학 성취에 대한 일반학생과 상위 성취 학생들의 성차여부에 대한 영재담당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초등 영재담당교사 167명과 중등 영재담당교사 122명이다. 교사들은 일반학생과 상위 성취학생의 수학, 과학 성취에 성차가 존재하는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등에 관한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의 65%는 남녀 학생 간 과학 성취에 성차가 존재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성차가 존재한다고 인식한 교사의 63%는 초등 고학년에서 중학생 시기에 성차가 드러난다고 보았다. 상위 성취 학생집단에도 성차가 나타난다고 보는 교사들은 전체의 57%였으며, 성차가 나타난다고 응답한 교사들이 생각하는 성차 발현의 이유로는 선천적 능력의 차이, 사회적 기대, 부모의 양육태도 등이 있었다. 영재담당교사들의 수학,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에 대한 성차인식은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주어 남녀학생들의 실제 성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제언이 결론으로 제시되었다.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중등 교사의 환경 인식 (The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 정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3-280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지구 환경에 대한 환경 인식, 지구 환경의 하위 영역에 따른 환경 인식, 그리고 전공에 따른 환경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장과 기술의 부정적 결과', '인류와 자연의 관계', '삶의 질', '생물권의 한계'의 4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된 NEP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 중등 교사들은 생태학적 환경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전공에 따라서도 유사한 환경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환경 관련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래지위에 따른 아동의 자아지각 (Children's Peer Status and Self-Perception)

  • 임연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9-132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self-perceptions of social competence in three different levels of peer status a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and teachers' ratings of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46 bpys and 44 girls identified as popular neglected and rejected by peers in preschool and in first and second grades. A sociometric test was used to identify children's peer status. Children's self-perceptions were assessed by the social Competence Scale for Young Children and teachers' assessment of children's competence was collected by a rating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3-way ANOVA 2-way MANOVA for repeated measures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self-perceptions of social competence were generally positive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peer status and grade level in three of the four domains. For the maternal acceptance domain the degree of acceptance perceived by neglected group decreased with grade while those of popular children increased. The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and teachers' ratings were different by peer status. Popular children's estimation of their social competence was more congruent with teachers but neglected and rejected children overestimated their competence.

  • PDF

유아의 죽음개념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An Inquiry on Teachers' Perceptions of Education about Death Concepts in Kindergarten Children)

  • 양진희
    • 아동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7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education about death concepts in kindergarten children. Twenty kindergarten teachers were interviewed for this qualitative study. Results were that mos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the practice of the education about death concepts for kindergarten children; most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all kindergarten teachers need t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for the successful practice of education about death concepts for kindergarten children; most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education about death concepts needs to be includ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 PDF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Rate of Change

  • Noh, Jihwa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431-451
    • /
    • 2017
  • This is a descriptive study with the intent of providing a rich characterization of teachers' perceptions of rate of change. The nature of teachers' perceptions and differences among teachers were examined by collecting data through a survey on teachers' conceptions of rate of change in terms of learning goals, prerequisites, and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of rate of change, and an interview individually assessing teachers' concept images and definitions. The participating 13 teachers were selected to provide a range of similar and contrasting levels of experiences based on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years they had been teaching.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hematics Teachers' Gender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ffective Domain in Teaching Practice)

  • 한혜숙;최계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363-38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 실천에 있어서 교사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등학교 수학 교사 327명을 대상으로 수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정의적 특성의 중요도 및 수업 실태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여교사 집단이 남교사 집단에 비해 수업의 계획, 학생평가, 반성의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서 더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특히 가치인식 요소의 경우 수업의 모든 단계에서 여교사 집단의 평균이 남교사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학교육에 대한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A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 김소민;김홍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3호
    • /
    • pp.423-442
    • /
    • 2019
  •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하여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수학교육 계획 및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학교 현장의 수학교육 실태와 수학교사들의 인식조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학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수학교육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수학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학교 안 수학교육 현황에 대한 기본 정보와 함께, 교사의 수학수업 개선과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및 환경 지원, ICT 및 공학도구 활용 관련 재교육 실시, 학교 관리자 대상 수학교육 인식 전환 교육 지원,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과 적극적인 교구 활용 방안 마련,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 지원 방안 마련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