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 polyphenols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초

뇌 신경조절에서의 식이 폴리페놀 화합물의 역할 (The Roles of Dietary Polyphenols in Brain Neuromodulation)

  • 이혜영;이희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386-1395
    • /
    • 2018
  • 최근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중추 신경계와 위장관은 장-뇌 축을 따라서 양방향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해지고 있다. 전임상 연구로부터 장내 마이크로비오타가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통해서 중추 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폴리페놀 화합물은 과일, 채소, 차, 커피, 와인과 같은 식품에 존재하는 식물 유래의 물질로, 항산화, 항염증, 항균, 면역 조절, 항암, 혈관 확장 및 프리바이오틱스와 유사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어 식이를 통해 섭취할 경우 건강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최근 들어 폴리페놀 화합물이 인지 기능뿐만 아니라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성 손상에 대해 작용하는 신경 보호에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증거가 보고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신경 세포 신호 전달 경로의 자극, 신경 염증, 혈관 기능 및 장내 마이크로비옴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폴리페놀 화합물의 신경 보호 효과와 관련된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를 제시한다. 폴리페놀 화합물의 대사 산물은 혈액-뇌 장벽을 가로 지르는 신경 전달 물질을 이용하고 뇌 혈관 시스템을 조절하여 작용하거나, 간접적으로 장내 마이크로비오타에 작용한다. 또한, 폴리페놀 화합물은 노화 관련 인지 기능 저하 및 신경 퇴행과 같은 신경계 질환을 다양한 생리 기능을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할수 있다는 사실이 제시되고 있다. 폴리페놀 화합물은 신경 염증을 감소시키고 기억과 인지 기능을 향상 시키며 장내 마이크로비오타를 조절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잠재적인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Dietary Effect of Puer Tea Extract on the Body Weight in Rats

  • ;;;;;;;;;;;;유민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8-70
    • /
    • 2010
  • Puer tea is a traditional beverage originating from Yunnam area of China. It supplies basic nutrients such as vitamin C. It has been well reported that daily drinking of Puer tea can help the digestion and ease the stomachache after food intake. Puer tea also contains various polyphenols which may exer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Because of these functional effects on digestive system we suspected if Puer tea can display any dietary effect or decrease the obesity after long-term drinking. We employed 6-week old SD rats as experimental animal and treated them with extract of Puer tea in relation to the body weights. Ra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NC, PC, E, E+P, E+P5). NC group was experimental control and rest of them are as follows: water only (PC), water with exercise (E), water with exercise and Puer tea extract (E+P), water with exercise and 5X extract of Puer tea (E+P5). Feeding was carried out every day for 5 weeks by oral administration. Reduction rate of body weights was highest in E group. Relative ratio of losing weight was as follows: PC group (100.78%), E group (95.57%), E+P group (94.53%) and E+P5 group (74.22%), respectively. Exercise was more helpful to control the body weight. The result strongly suggests that Puer tea is highly effective to control the body weight and could be used for pharmaceutical purpose to treat obesity without side effects.

고 콜레스테롤 식이 투여 흰쥐에 있어서 녹차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Green Tea in Cholesterol-Fed Rats)

  • 진현화;양정례;정종화;김양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7-51
    • /
    • 2004
  • 본 연구는 녹차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및 녹차 추출물인 catechin과 EGCG가 hypocholesterolemic 효과에 미치는 정도를 식이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한 흰쥐에서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4주령의 수컷 SD계 흰쥐를 난괴법에 따라 각 군당 5마리씩 무녹차섭취군(대조군), 4% 녹차분말군(GTP), 1% 녹차 catechin군(Catechin),0.5% 녹차 EGCG군(EGCG)의 4군으로 7주간 사육을 하였다. 녹차 첨가군은 모두 0.5% EGCG를 함유하도록 녹차 첨가량을 결정하였으며 모든 식이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하기 위하여 1% cholesterol과 0.5% cholic acid를 첨가하였다. 식이섭취량은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청 총 및 LDL-콜레스테롤 수준은 Catechin군이 189.2 mg/dL, 166 mg/dL, EGCG군에서는 161.4 mg/dL, 138 mg/dL로 나타나 대조군(245 mg/dL, 222 mg/dL)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p<0.05), EGCG군에서 그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났다. 혈청의 중성지방농도는 녹차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EGCG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녹차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HDL/LDL-콜레스테롤 비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녹차섭취군에서 증가하여 EGCG군에서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녹차의 섭취가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감소하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킴으로써 동맥경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다. 간에서의 CYP7Al활성과 유전자 발현정도는 Catechin군, EGCG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EGCG군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여 혈청에서의 지질수준 감소 경향과 일치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들은 녹차 섭취군에서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특히 EGCG군에서의 현저한 hypocholesterolemic 효과는 CYP7Al 유전자 발현 및 효소의 활성증가에 따른 콜레스테롤의 담즙산으로의 배설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Free Radical Toxicology and Cancer Chemoprevention

  • Lin, Jen-Ku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
    • /
    • pp.83-88
    • /
    • 2001
  • Mos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free radicals and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a number of disease processes including artherosclerosis,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ging and cancer. ROS are byproducts of a number of in vivo metabolic processes and are formed deliberately as part of nor-mal inflammatory response. On the other hand, ROS are generated either as by products of oxygen reduction during xenobiotic metabolism or are liberated as the result of the futile redox cycling of the chemical agents including several chemical carcinogen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of free radical toxicity may yield valuable clue to risks associated with chemical exposures that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chronic diseases including cancer. The molecular biology of ROS-mediated alterations in gene expression, signal transduction and carcinognesis is one of the important subjects in free radical toxicology. Epidemiological studies suggest that high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are associated with the low incidence of human cancer. Many phytopolyphenols such as tea polyphenols, curcumin, resveratrol, apigenin, genistein and other flavonoids have been shown to be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Most of these compounds are strong antioxidant and ROS scavengers in vitro and effective inducer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t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in vivo. Several cellular transducers namely receptor tyrosine kinase, protein kinase C, MAPK, PI3K, c-jun, c-fos, c-myc, NFkB, IkB kinase, iNOS, COX-2, Bcl-2, Bax, etc have been shown to be actively modulated by phyto-polyphenols. Recent development in free radical toxicology have provided strong basis for understanding the action mechanisms of cancer chemoprevention.

  • PDF

Enhancement of polyphenols,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water extract of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by steam treatment

  • Rahul, Kamidi;Kweon, HaeYong;Kim, Hyun-Bok;Lee, Ji Hae;Makwana, Pooj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4권1호
    • /
    • pp.21-27
    • /
    • 2022
  • Different parts of the mulberry plant are described to be potential sources of polyphenolics exhibiting strong antioxidant activity. In this study, we prepared various aqueous extracts of mulberry root bark by subjecting to steam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time intervals (45℃, 15 h; 70℃, 15 h; 95℃, 6 h and 95℃, 15 h) followed by extracting at 80℃ for 1 h.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 ranged from 66.82-101.20 mg gallic acid equivalent (GE)/g of extract whereas the flavonoids were in the range of 13.03-25.23 mg catechin equivalent (CE)/g of extract. The extracts also exhibited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0.99-1.66 mg trolox equivalent (TE)/g of extract in DDPH assay and 10.65-16.26 mg TE/g of extract in ABTS assay). This study clearly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of mulberry root bark by the steam treatment, which can be used as a tea or health-promoting materials.

녹차 함유 카테친 및 카페인 동시분석을 위한 최적 HPLC 분석 조건 (Optimal HPLC Condition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atechins and Caffeine in Green Tea Extracts)

  • 정명근;이민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24-232
    • /
    • 2008
  • 고 기능성 유용 차나무 품종육성 및 녹차의 이용성 증진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녹차 함유 catechin 화합물 및 caffeine 성분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고, 재현성 및 검출 감도가 증진된 최적의 HPLC 분석 조건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녹차에 함유된 catechin 화합물 및 caffeine의 동시분석을 위한 최적 HPLC 분석 조건을 검토한 결과 컬럼은 YMC-pak ODS-AM 303(25 cm)컬럼을 이용하고, 검출파장은 280 nm, 컬럼온도를 $30^{\circ}C$, 분당유속은 1 mL, 이동상 용매로는 A용매로 0.1% 인산 - 증류수, B용매로 100% MeOH를 사용하여 농도구배 조건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 분석법으로 조사되었다. 2. 녹차에 함유된 catechin 화합물 및 caffeine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최적 HPLC분석조건의 재현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머무름 시간(Rt.)의 변이계수는 최대 1.23% 미만, peak area의 변이계수는 최대 5.13% 미만을 나타내어 확립된 녹차 함유 catechin 9종 화합물 및 caffeine의 HPLC 정량분석법은 재현성이 높은 분석법으로 확인되었고, 각 cafechin 화합물 및 caffeine 성분의 최소 검출한계는 최소 50ppb(0.050 ppm, 50 ng/mL)이하로 조사되어, 확립된 HPLC 분석법은 녹차의 작물학적 특성 평가용으로 활용하기에 전혀 무리가 없는 분석법으로 판단되었다.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y in a Single Serving Size of the Commercial Coffees and Teas

  • Kim, Tae-Hun;Lee, Seulgi;Seo, Jin Woo;Bing, Sun Hye;Kim, Jong Im;Kwon, Eui-Ra;Jo, Gune-Hee;Lee, Jae-Myean;Choi, Joon Si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60-469
    • /
    • 2017
  • 커피와 다류에 대한 소비는 전 세계적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한국을 포함하여 아시아권에도 물 다음으로 가장 많은 소비가 이루어지는 음료는 커피와 차(녹차, 케모마일차, 페퍼민트차, 둥글레차, 보이차, 홍차, 대추차)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커피 5종과 침출차 20종(녹차 4종, 홍차 3종, 보이차 3종, 케모마일차 3종, 페퍼민트차 3종, 둥글레차 3종, 대추차 1종), 고형차 2종(대추차 2종)에 대하여 각 음료 1잔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C, 카페인, 총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를 분석하였고, 이들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서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항산화활성이 높은 커피와 다류 총 4종을 대상으로 과산화수소($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보호효과를 평가하여 시판 커피와 다류의 항산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녹차와 홍차 각각 1잔당 비타민 C 함량은 0.04~1.58 mg 이었고 커피와 나머지 차는 비타민 C가 검출되지 않았다. 카페인 함량은 브랜드 커피가 1잔당 150.17~202.75 mg으로 다른 종류의 음료보다 높았다. 음료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함량은 gallic acid의 등량값(GAE)으로 표시할 때 브랜드 커피 A($BC_A$)가 265.54 mg / serving size으로 가장 높았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quercetin 등량값(QE)으로 브랜드 커피 B($BC_B$)가 12.14 mg / serving size으로 가장 높았다. 음료 4종(브랜드 커피 A, C 그리고 녹차 D, 홍차 A) 시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HeLa 세포 내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 억제효과 및 $H_2O_2$의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브랜드 커피 및 홍차, 녹차는 각각 1잔당 비타민 C의 등량값으로 590, 330, 300 mg의 항산화능을 가지며, HeLa 세포 내에서도 활성산소 감소효과가 확인되는 우수한 항산화 음료로 평가되었다.

HPLC에 의한 녹차의 polyphenol 화합물의 분리 및 polyphenol의 생리활성 (Isolation of Polyphenol from Green Tea by HPLC and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 우희섭;최희진;한호석;박정혜;손준호;안봉전;손규목;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99-1203
    • /
    • 2003
  • 한국산 녹차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Sephadex LH-20과 HPLC를 사용하여 polyphenol을 분리동정하였고 분리된 각 성분들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및 xanthine oxidase, tyrosinase의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녹차로부터 HPLC로 polyphenol을 분리한 결과 epiafzelechin-$(4{\beta}{\rightarrow}8)$-epiafzelechin, procyanidin B-3-3-O-rhamnose, afzelechin-$(4{\alpha}{\rightarrow}8)$-catechin, prodelphinidin B-5-3,3'-di-O-digallate, (+)-taxifolin-3-O-D-xyloside 등 11종류를 분리하였다. ACE의 저해효과는 prodelphinidin-C-2-3,3'-di-O-gallate $100{\mu}M$에서 68.8%, procyanidin B-2-3,3'-digallate가 54.6%의 저해를 나타내었고, Xanthine oxidase는 prodelphinidin C-2-3,3'-di-O-gallate가 54.5%, procyanidin B-2-3,3'-digallate가 38.2%로 높은 저해효과를 보였다. Tyrosinase의 저해효과는 $100{\mu}M$ 농도에서 prodelphinidin C-2-3,3'-di-O-gallate가 42.1%, procyanidin B-2-3,3'-digallate와 procyanidin B-7이 각각 30.7%, 20.5%의 저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녹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polyphenol이 혈압예방, 통풍 및 미백효과의 기능성 식품 신소재로서 이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녹차분말 첨가가 쌀밥의 항산화 활성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Powder Addition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Texture Properties of Cooked Rice)

  • 양진우;이경민;함현미;곽지은;김영화;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65-770
    • /
    • 2017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추구하는 기능성 식품의 다양한 개발을 위해 녹차를 쌀밥에 접목시킴으로써 녹차의 생리활성이 부여된 기능성 쌀밥의 개발 가능성 검토를 위해 실시하였다. 녹차분말을 첨가한 쌀밥의 항산화 활성과 생리활성 물질의 변화 및 물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취반 시 사용되는 물에 녹차분말을 1, 2, 3%로 첨가하여 취반하였다. 이후 제조된 밥은 동결건조 후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취반 후 물성을 측정하여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취반 후 녹차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밥의 항산화 활성은 첨가한 녹차분말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ABTS 및 DPPH 라디칼 제거능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억제 효과에서도 첨가된 녹차분말에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반면 녹차분말을 첨가한 쌀밥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녹차를 첨가하였을 때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녹차분말을 첨가하여 취반할 경우 식감을 유지하면서 녹차의 생리활성 물질도 부여할 수 있어 기능성 쌀 가공식품으로서의 적극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분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볶음 옥수수차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Roasted Maize Tea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s)

  • 이지혜;김현주;김미정;정건호;이병원;이병규;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49-1156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antioxidant efficacy of roasted maize tea according to different moisture contents (9% to 14%) using the puffing system (PS) and the roasting system (RS). Compared with the RS, the PS caused higher turbidity (0.017 vs. 0.003 in PS-14% vs. RS-14%), brown color intensity (0.170 vs. 0.059 in PS-14% vs. RS-14%), a-values (0.20 vs. -0.44 in PS-14% vs. RS-14%), b-values (7.90 vs. 5.57 in PS-14% vs. RS-14%), and a lower L-value (19.67 vs. 21.03 in PS-14% vs. RS-14%).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roasted maize tea were increased along with the moisture content and they were higher with the PS (polyphenol; 5.95 mg GAE/g, flavonoids; 1.27 CE/g in PS-14%) than with the RS (polyphenol; 5.39 mg GAE/g, flavonoids; 1.12 mg CE/g in RS-14%).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roasted maize tea were also increased along with the moisture content, and the scaveng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the PS (DPPH; 160 mg TE/100g, ABTS; 507 mg TE/100g in PS-14%) compared with the RS (DPPH; 120 mg TE/100g, ABTS; 362 mg TE/100g in RS-14%). The polyphenol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urbidity, brown color intensity, and L, a, and b-values of the roasted maize tea. In addition, an increase of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roasted maize tea induced antioxidant activities. As a result, an increase in polyphenols during the roasting process induced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could prevent damage from free radic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