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 Seed Extract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전통차 재료의 열수추출물이 납투여 흰주의 간조직 중 유해 활성산소 생성과 제거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Tea Materials Water Extract on Hepatic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and Scavenging Enzyme Activities in Lead Administered Rats)

  • 김덕진;조수열;신경희;이미경;김명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17-124
    • /
    • 2003
  • 한국전통차로 알려진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 열수추출물이 납투여된 흰쥐의 유해 활성산소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kg당 25 mg의 납을 매주 1회 경구 투여 하였다.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 열수추출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체중 kg당 1.26 g 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 투여 하여 사육한 결과 간조직 중 과산화지질 함량은 납 단독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한국전통차 급여시 과산화지질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 중의 CYP 함량과 AD 활성은 납 투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각각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투여로 억제된 활성이 회복됨으로써 한국전통차 급여가 CYP 함량과 산화적 디메틸화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납투여로 증가된 간조직의 XO와 SOD의 활성은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 열수추출물 급여시 활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MAO 활성은 납 투여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증가되었으며 녹차와 감잎 열수추출물 급여로 활성 증가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간조직 중 CAT 활성은 납투여시 약 3.3배 증가되었는데 감잎군 37%, 녹차군 34%, 두충군 30%, 홍화군 28%, 순으로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GSH-Px와 GST 활성 및 글루타티온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독투여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한국전통차 급여로 회복되었다. GR 활성은 실험군간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G6PD 활성은 납투여로 증가된 활성이 실험식이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HepG2 Cell에서 녹차씨박 에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Defatted Green Tea Seed Ethanol Extract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HepG2 Cells)

  • 노경희;민관희;서보영;김혜옥;김소희;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67-774
    • /
    • 2011
  • 본 연구는 간암세포주인 HepG2 cell line에서 녹차씨박 추출물을 에탄올,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의 순으로 분획 및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능을 확인한 후 에탄올 추출물을 선정하여 항종양 및 항염증효과를 생화학적, 분자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녹차씨박 에탄올 추출물(DGTSE)의 polyphenol 함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EGC($1039.1{\pm}15.26\;{\mu}g/g$)> tannic acid($683.5{\pm}17.61\;{\mu}g/g$)> EC($62.4{\pm}5.00\;{\mu}g/g$)> ECG($24.4{\pm}7.81\;{\mu}g/g$)> EGCG($20.9{\pm}0.96\;{\mu}g/g$)> gallic acid($2.4{\pm}0.68\;{\mu}g/g$)의 순이었으나 caffe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DGTSE의 농도가 $10\;{\mu}g$/mL 이상에서는 84.13%의 세포 증식 억제능($IC_{50}$: $6.58\;{\mu}g$/mL)을 보여 간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제1상효소계인 CYP1A1와 CYP1A2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QR 활성은 DGTSE을 $20\;{\mu}g$/mL 농도로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해 2.6배 증가하였으며 reporter gene activity로 측정한 ARE 활성은 1.94배로 각각 증가하였다. DGTSE의 처리는 염증생성 인자인 PGE2의 생성과 TNF-${\alpha}$의 단백질 발현은 유의적으로 저해하였으며 cytokine 반응, 염증, 세포성장조절과 같은 다양한 단계에 참여하는 전사인자인 NF${\kappa}$B의 핵으로의 translocation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DGTSE은 간암세포인 HepG2 세포계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능을 가지며 해독효소인 QR, ARE의 활성을 증진시키고 NF${\kappa}$B의 translocation을 방해하고 TNF-${\alpha}$의 단백질 발현과 $PGE_2$의 생성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녹차씨박 추출물에 함유된 암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New Zealand's Tea Tree Essential Oil, Grapefruit Seed Extract and its major Component.

  • Han, Chang-Giu;Lee, Young-Woon;Zhoh, Choon-Koo;Kim, Byung-Hoo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41
    • /
    • 1999
  • Manuka oil sometime named New Zealand's tea tree oil is soluble in oil and come from nature. The $\alpha$-pinene extracted from Manuka oil and R-limonene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 of extracted Citrex from Grapefruit were used to estim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antiseptic. Disk diffusion and broth dilution methods were used to measure the antimicrobial activity. Escherichia coli which is gram-negative bacteria and Staphylococcus aureus which is gram-positive bacteria were used as strai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anuka oil and $\alpha$-pinene for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is similar when the concentration of Manuka oil and $\alpha$-pinene is $10{\mu}l$. However, Antimicrobial activity of Manuka oil for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is better than that of $\alpha$-pinene when the concentration of Manuka oil and $\alpha$-pinene is low. Antimicrobial activity of Citrex is superior to that of R-limonene. The proper ratio of Maunka oil and Citrex can improve the antimicrobial activity. The proper ratio obtained from studies was 75% of Maunka oil and 25% Citrex for Escherichia coli, 25% of Maunka oil and 75% Citrex for Staphylococcus aureus.

  • PDF

Study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New Zealand’s Tea Tree Essential Oil , Grapefruit Seed Extract and its major Component.

  • Han, Chang-Giu;Lee, Young-Woon;Zhoh, Choon-Koo;Kim, Byung-Hoo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1999년도 IFSCC . ASCS 학술대회 발표 논문
    • /
    • pp.17-41
    • /
    • 1999
  • Manuka oil sometime named New Zealand's tea tree oil is soluble in oil and come from nature. The $\alpha$-pinene extracted from Manuka oil and R-limonene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 of extracted Citrex from Grapefruit were used to estim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antiseptic. Disk diffusion and broth dilution methods were used to measure the antimicrobial activity Escherichia coli which is gram-negative bacteria and Staphylococcus aureus which is gram-positive bacteria were used as strai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anuka oil and $\alpha$-pinene for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is similar when the concentration of Manuka oil and $\alpha$-pinene is 10${mu}ell$. However, Antimicrobial activity of Manuka oil for EscherEchta coli, Staphylococcus aureus is better than that of $\alpha$-pinene when the concentration of Manuka oil and $\alpha$-pinene is low. Antimicrobial activity of Citrex is superior to that of R-limonene. The proper ratio of Maunka oil and Citrex can Improve the antimicrobial activity. The proper ratio obtained from studies was 75% of Maunka oil and 25% Citrex for Escherichia coli, 25% of Maunka oil and 75% Citrex for Staphylococcus aureus.

  • PDF

녹차씨 압착박 열수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adipogenic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of Defatted Green Tea Seed Cake)

  • 위지향;성혜미;정경옥;김숙정;신유림;박주현;김종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25-533
    • /
    • 2015
  • 본 연구는 녹차씨 압착박의 활용성을 증가해 보고자 녹차씨를 압착한 후 남은 박을 추출하여 총 페놀, 조사포닌, 카테킨, 나린게닌 함량을 확인하고 3T3-L1 세포에서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관련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에 체지방 감소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녹차와도 비교하였다.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의 페놀, 조사포닌, 카테킨, 나린게닌 함량을 비교한 결과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서 나린게닌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3T3-L1 세포에서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한 지방 축적저해 정도 및 세포내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서 지방 축적저해 및 중성지방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녹차씨 압착박이 지방합성 및 에너지 조절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백질 발현 실험을 실시한 결과, 녹차 또는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 의해서 AMPK 및 ACC의 인산화 증가 및 FAS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효능은 녹차 추출물보다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서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이 녹차 추출물 보다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어져, 녹차씨는 추후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식품 소재로도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Cancer Chemoprevention by Dietary Proanthocyanidins

  • Jo, Jeong-Youn;Lee, Chang-Y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501-508
    • /
    • 2007
  • Proanthocyanidins (PACs), also named condensed tannins, are polymers of flavan-3-ols such as (+ )-(gallo)catechin and (-)-epi(gallo)catechin. A proper analysis of the PACs, with difficult challenges due to their complex structures, is crucial in studies of cancer chemoprevention. Cancer is a leading cause of mortality around the world. Many experimental studies have shown that dietary PACs are potential chemopreventive agents that block or suppress against multistage carcinogenesis in both in vitro and in vivo models. Cancer chemoprevention by dietary PACs has been shown effective through different mechanisms of action such as antioxidant, apoptosis-inducing, and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Good sources of dietary PACs are nuts, fruits, beans, chocolate, fruit juice, red wine, and green tea. The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dietary PAC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ir bioavailability in humans. The safety issues regarding carcinogenesis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 are also reviewed.

Natural Antioxidants to Improve Stability of Refined Anchovy Oil against Oxidation

  • Park, D.C.;Jr, Ho-Seok;Lee, Heon;Kim, Jeon-Ju;Jung, Yun-Mi;Gyoung, Young-Soo;Kang, Suk-Nam;Kim, Seon-B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02-206
    • /
    • 2006
  • The oxidation stability of fish oil containing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which is very susceptible to oxidative deterioration, needs to be improved before it can be successfully applied to functional food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17 species of materials in anchovy oil (AO) were compared and a potent antioxidant was determined to improve the shelf-life of refined AO.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0.05% (w/w) materials in AO were compared against control during storage at $30^{\circ}C$ for 10 days. While no antioxidant effect was shown in alpha tocopherol against control, 3 species of grapefruit seed extracts (GSEs), astaxanthin (AX), soybean lecithin, and green tea extract showed good antioxidant activities. Especially, GSE B, GSE C, and AX showed significantly high peroxide inhibitory activities (PIAs) of $16.2{\pm}2.1$, $20.{\pm}3.5$, and $17.7{\pm}3.5%$, respectively, after the 4th day (p<0.01).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SAs) of GSE B, GSE C, and AX were $85.1{\pm}0.8$, $95.3{\pm}0.3$, and $85.9{\pm}0.8%$, respectively. Correlation between PIAs and RSAs was high ($R^2=0.926$) in GSE B, GSE C, and AX. Therefore, we concluded that one of the main antioxidative mechanisms of GSEs and AX must operate through an RSA pathway. The $RC_{50}$ (concentration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of GSE C was $258\;{\mu}g/mL$.

입도별 홍화씨 분말 첨가가 양갱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Various Mesh Sifted Powders from Safflower Seed on Quality Characteristic of Yangeng)

  • 김준한;박준홍;박소득;김종국;강우원;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09-314
    • /
    • 2002
  • 홍화씨의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서 양갱의 주원료인 건조 팥소 분말에 대한 볶은 홍화씨 분말 20, 35, 45 및 60mesh별로 첨가한 제품과 홍화씨 45mesh분말의 첨가량을 0, 5, 10, 15 및 20%로 하여 제조한 제품 및 배합수로 녹차추출물을 이용한 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20mesh 체분리 분말 첨가 제품에서 가장 낮은 27.6% 이었고, 동일한 45mesh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양갱제품의 수분함량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활성도는 60mesh 홍화씨 분말 첨가 제품에서 0.93로 가장 높았고, 45mesh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수분활성도는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색도는 분말의 mesh 수가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반대로 b값은 다소 증가하였다. 동일한 입자크기를 가진 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L, a 및 b값은 전반적인 증가현상을 보였다. 또한, 조직감 특성 중 견고성과 부숴짐성은 홍화씨 분말의 입도가 미세한 첨가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고 동일한 입도를 가진 홍화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과 부숴짐성은 증가하였고, 접착성과 탄력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도 전반적기호도, 조직감 및 부숴짐성이 홍화씨 분말의 입도가 미세한 첨가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고, 증류수를 배합수로 제조한 제품과 증류수와 녹차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제조한 제품에서 거의 같은 수준의 높은 관능점수를 얻었다.

유자 부산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노화 및 미백효과 (Antiaging and Whitening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By-product)

  • 김다슬;김동현;오명진;이광근;국무창;박장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7-143
    • /
    • 2010
  •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는 북동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되는 감귤류 종이며, 비타민 C, 플라보이드, 리모노이드를 풍부히 함유하고 있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유자는 차나 음식료품으로 사용되고, 부산물인 씨와 과피는 전량 폐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자 부산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씨와 과피 에탄올 추출물에서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는 크지 않았지만 고농도의 phenolic compounds를 함유하고 있다. 각질형성세포(HaCaT Keratinocyte)와 섬유아세포(Normal Fibroblast)에 UVB를 각각 12.5 $mJ/cm^2$, 15 $mJ/cm^2$를 조사한 후 항염효과와 Collagen 합성량, Collagen 분해효소인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과피 추출물에서 UVB에 의해 증가된 TNF-$\alpha$를 상당량 줄여주었다. 마찬가지로 과피 추출물은 MMP-1의 발현량을 줄여주고 Collagen의 합성량도 증가시켰다. 한편 유자 추출물의 $\alpha$-MSH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처리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능과 타이로시나제 발현량 감소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자 부산물의 에탄올 추출물질은 항노화,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가치가 기대된다.

농업해충에 대한 친환경유기농자재들의 살충력 및 섭식저해력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and Antifeeding Activities of Eco-friendly Organic Insecticides Against Agricultural Insect Pests)

  • 김유화;나영은;김민준;최병렬;조형찬;김순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99-109
    • /
    • 2015
  • 충해 또는 병충해 관리용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목록공시된 제품 29종의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 복숭아혹진딧물 성충,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한 살충과 섭식저해활성을 분무법과 잎침지법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평가하였다.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 추천농도 분무 또는 잎침지시 유효성분으로 고삼 추출물 60% 단제(EOIS)와 고삼외 3종 식물 추출물(백부근, 멀구슬나무, 개박하, EIOSm) 및 고삼외 2종 식물추출물(EOISc)을 함유한 혼합제의 살충력이 우수했다. 하지만 반량 처리 시 그 활성은 50% 이하로 감소되었다.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서는 고삼 60%단제(EOIS)만이 우수한 살충력을 보였고, 비슷하게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해 잎침지 후 24시간과 48시간 노출 시 85%와 95%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에 대한 분무시험에서 고삼 외 3종 혼합제(EOISm)와 유채외 2종 혼합제(EOIR)가 93%와 68% 살충력을 보였는데, 농도를 배량 증가시켜도 살충력은 크게 향상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추천농도 잎침지에서는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만이 100%의 강한 접촉독성을 나타냈는데, 노출 시간과 농도를 증가시키면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과 유채외 2종 혼합제(EOIR)들의 살충력이 증가하였다.흥미롭게도 cedar oil 16%(EOICe), 고삼 60% 단제(EOIS),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 고삼외 2종 혼합제(EOISc), 미생물 89.62%(EOIM), 유채외 2종 혼합제(EOIR), 식물추출물(EOIPe), 차나무추출물 48%(EOIT)제 등은 파밤나방에 대해 분무처리 시 강한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서도 이들 혼합제들 이외에 3종 미생물제들(EOIB, EOIM, EOIBs)과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 겨자외 2종(EOIMc) 등의 식물 추출물 혼합제들이 70% 이상의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 대상 곤충 종 및 유효성분이나 처리량에 따라 살충력과 섭식저해력이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고삼추출물외 2-3종 식물추출물을 복합적으로 함유한 혼합제들의 유효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