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c-99m Dimercaptosuccinic acid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7초

3개월 이하의 남아에서 첫 요로 감염 후 방사선학적 검사의 평가 (Evaluation of Imaging Studies in Male Infants less than 3 Months after First Urinary Tract Infection)

  • 정종수;권경호;김종석;이영아;김현정;이균우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5권1호
    • /
    • pp.30-35
    • /
    • 2001
  • 목 적 : 요로 감염 증상을 나타내는 생후 3개월 이하의 남아에서 요로계 기형의 유무를 측정하고 첫 요로 감염후의 적절한 방사선학적 검사를 제시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5년간의 기간동안 65명의 요로감염이 있는 3개월 이하의 남아 환아(나이 범위: 4일-92일, 평균 나이 43일)에서 조사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아에게 신장 초음파와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시행하였고 이중 5명에게서 보호자의 거부와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시행하지 못하였다. 99mTc-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이하 99mTc-DMSA 신장 스캔)은 모든 환아에게 추천하였으나 65명중 40명에게 시행이 되었다. 99mTc DMSA 신장 스캔은 요로 감염 후 적어도 3개월 이후에 시행되었다. 결 과 : 요로계 기형은 60명의 환아중 26명(43$\%$)에서 발견되었다. 이중 22명이 방광 요관 역류, 2명이 방광 요관 역류와 중복 요관, 2명에서 방광 요관 역류와 후부 요도 판막이 있었고 방광 요관 역류를 보이는 환아중 8명(13$\%$)에서 신장의 위축 및 반흔을 관찰할 수 있었다. 99mTc-DMSA신장 스캔상 신 위축과 반흔을 보이는 경우에서 방광 요관 역류는 grade III 혹은 그 이상이었다. 결 론 : 저자들은 3개월 이하의 남아에서 첫 요로 감염 후에 보편적으로 신장 초음파와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99mTc-DMSA신장 스캔은 신장 초음파상 신 실질 손상 혹은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상 방광 요관 역류 grade III 혹은 그 이상 시에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Discordant findings of dimercaptosuccinic acid scintigraphy in children with multi-detector row computed tomography-proven acute pyelonephritis

  • Lee, Jeong-Min;Kwon, Duck-Geun;Park, Se-Jin;Pai, Ki-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5호
    • /
    • pp.212-218
    • /
    • 2011
  • Purpose: The diagnosis of acute pyelonephritis (APN) is often difficult, as its clinical and biological manifestations are non-specific in children. If not treated quickly and adequately, however, APN may cause irreversible renal damage, possibly leading to hypertension and chronic renal failure. We were suspecting the diagnostic value of $^{99m}Tc$-dimercaptosuccinic acid (DMSA) scan by experiences and so compared the results of DMSA scan to those of multi-detector row computed tomography (MDCT). Methods: We retrospectively selected and analyzed 8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APN by MDCT during evaluation of their acute abdomen in emergency room and then received DMSA scan also for the diagnostic work-up of APN after admission. We evaluated the results of imaging studies and compared the diagnostic value of each method by age groups, <2 years (n=45) and ${\geq}$2 years (n=36). Results: Among total 81 patients with MDCT-proven APN, DMSA scan was diagnostic only in 55 children (68%), while the remaining 26 children (32%) showed false negative normal findings. These 26 patients were predominantly male and most of them, 19 (73.1%) were <2 years of age. Conclusion: DMSA scan holds obvious limitation compared to MDCT in depicting acute inflammatory lesions of kidney in children with APN, especially in early childhood less than 2 years of age. MDCT showed hidden lesions of APN, those were undetectable through DMSA scan in children.

Height-Based Formula Predicting Renal Length in Korean Children derived from Technesium-99m Dimercaptosuccinic Acid Scan

  • Cho, Myung Hyun;Yoo, Ha Yeong;Kwak, Byung Ok;Park, Hye Won;Chung, Sochung;Kim, Soo Nyung;Son, Jae Sung;Kim, Kyo su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9권2호
    • /
    • pp.131-135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imple formula to predict renal length in children using a Technesium-99m dimercaptosuccinic acid (DMSA) scan data, and to compare it with the formula derived from ultrasonography, which is widely accepted. Methods: Children who underwent a DMSA scan and ultrasonography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those who had anatomical urinary tract abnormalities or urinary tract infections were excluded. Results: A total of 230 children (84 males and 146 females; age, 1 month to 16 years; mean age, $16.8{\pm}27.4$ months). Mean renal length measured by DMSA scan was longer than that by ultrasonography ($6.38{\pm}1.16$ vs. $6.02{\pm}1.14cm$; P < 0.001). Renal length was correlated with age, weight, height, and body surface area on the DMSA scan and ultrasonography, and showed the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ight. The following formulae were established to predict renal length: mean renal length (cm) = 5.433 ${\times}$ height (m) + 2.330 (R2, 0.833) using the DMSA scan data, and mean renal length (cm) = 5.367 ${\times}$ height (m) + 2.027 (R2, 0.853) using ultrasonography data. Conclusion: We propose a simple height-based formula to predict renal length in children using a DMSA scan data, and validate it by comparing with ultrasonography formula.

몇가지 $^{99m}Tc$ 즉석표식(卽席標識)킷트 제조(製造)를 위(爲)한 실험연구(實驗硏究) (Experimental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Some $^{99m}Tc$ Instant Labelling Kits)

  • 김재록;오옥두;구현숙;박경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20
    • /
    • 1981
  • Using stannous chloride, optimum conditions for $^{99m}Tc$ labelling of some scanning agents such as phytic acid (P A), dimercaptosuccinic acid (DMSA), and calcium diethylenetriaminepentaacetate (Ca-DPTA) were established. Methods of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labelled compounds were practiced by a paper- or thin layer- chromatography. Biodynamic studies of the compounds were also carried ou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lar ratios of the chelating agent and stannous chloride varies only with the concentrations of the chelating agents, and thus the amounts of the stannous chloride per labelling tube were nearly constant $(500\sim600{\mu}g)$ regardless the variation of the molar ratios. It suggests that the given experimental conditions require about $500{\mu}g$ of stannous chloride regardless of the chelating agents. Under alkaline pH, the labelling yields were drastically decreased due to the probable formation of colloidal tin compounds. Biodynamic data showed characteristic patterns with each compound indicating that they are all suitable for the relevant scanning applications.

  • PDF

경도의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소아에서 99mTc-dimercaptosuccinic acid 신 스캔의 필요성 (Necessity of 99mTc-dimercaptosuccinic acid scan in infants with low grade vesicoureteral feflux)

  • 고지연;구자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6호
    • /
    • pp.648-652
    • /
    • 2006
  • 목 적 : DMSA 신 스캔은 신장에 대한 높은 방사능의 위험성과 낮은 grade의 역류시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되어 최근 연구들에서는 낮은 방광요관역류가 있을 시에는 조기검사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낮은 grade의 역류 환아에서도 신피질결손이 보이는 경우가 있어 DMSA 신 스캔의 조기검사로서의 필요성에 대해 재조명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상계백병원 소아과에서 요로 감염으로 진단된 환아들 중 신장초음파, DMSA 신 스캔,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모두 시행한 18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들은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지 적어도 1개월 이내에 시행하였다. 방광요관역류의 정도는 grade I-II는 경도(low grade), grade III은 중등도(moderate grade), grade IV-V는 중증(high grade)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결 과 : DMSA 신 스캔상 신피질결손은 총 189명 중 67명, 378 신단위 중 82 신단위에서 보였다. 신피질결손의 빈도는 역류가 없을 때 28%, 경도일 때 38%, 중등도일 때 53%, 중증일때 100%로 역류가 심할수록 신피질결손의 빈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중등도일 때의 신피질결손의 빈도는 경도일 때의 신피질결손의 빈도와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역류가 없을 때와 경도의 역류일 때의 신피질결손의 빈도가 28%, 38%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중등도일 때의 신피질결손의 빈도는 경도일 때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DMSA 신 스캔은 높은 방사선 조사율에도 불구하고 역류가 없거나 낮은 요로감염 환아에서도 조기검사로 시행해야 한다.

소아 상부요로감염의 진단을 위한 출력 도풀러 초음파조영술 (Power Doppler Sonography for the Upper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 최정연;조재호;박용훈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179-185
    • /
    • 2007
  • 결론적으로 출력 도플러 신초음파는 급성신우신염의 병변을 찾는데에 특이도나 민감도가 그리 높지 않았으나 하부요로감염과 급성신우신염을 감별하는데에 어느 정도 유용하였으며, 특히 DMSA 스캔을 같이 실시하는 경우에는 신손상을 찾는데 더 도움이 될 수 있었다. 소아들의 상부요로감염의 진단을 위하여 출력 도플러 신초음파가 DMSA 스캔을 대체하는 영상검사로서는 한계가 있어 향후 보다 많은 시술로 진단을 위한 검사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 PDF

Tc-99m DMSA SPECT for Follow-Up of Non-Operative Treatments in Renal Injuries: A P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 Sang-Geon Cho;Ki Seong Park;Jahae Kim;Jang Bae Moon;Ho-Chun Song;Taek Won Kang;Seong Hyeon Yu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0호
    • /
    • pp.1017-1027
    • /
    • 2023
  • Objective: The assessment of cortical integrity following renal injuries with planar Tc-99m dimercaptosuccinic acid (DMSA) scintigraphy depends on measuring relatively decreased cortical uptake (i.e., split renal function [SRF]). We analyzed the additive values of the volumetric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residual cortical integrity using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compared to the planar scintigraphy.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included 47 patients (male:female, 32:15; age, 47 ± 22 years) who had non-operatively managed renal injuries and underwent DMSA planar and SPECT imaging 3-6 months after the index injury. In addition to planar SRF, SPECT SRF, cortical volume, and absolute cortical uptake were measured for the injured kidney and both kidneys together. The correlations of planar SRF with SPECT SRF and those of SRF with volumetric/quantitative parameters obtained with SPECT were analyzed. The association of SPECT parameters with renal function, grades of renal injuries, and the risk of renal failure was also analyzed. Results: SPECT SRF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planar SRF, with particularly higher biases in severe renal injuries. Planar and SPECT SRF (dichotomized with a cutoff of 45%) showed 19%-36% of discrepancies with volumetric and quantitative DMSA indices (when dichotomized as either high or low). Absolute cortical uptake of the injured kidney best correlated with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at follow-up (ρ = 0.687, P < 0.001) with significant stepwise decreases by GFR strata (90 and 60 mL/min/1.73 m2). Total renal cortical up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moderate-to-high risk of renal failure than those with low risk. However, SRF did not reflect GFR decrease below 60 mL/min/1.73 m2 or the risk of renal failure, regardless of planar or SPECT (count- or volume-based SRF) imaging. Conclusion: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renal cortical integrity assessed with DMSA SPECT can provide more clinically relevant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than planar imaging or SRF alone.

신장 CT 검사와 99mTc-DMSA Renal Scan 검사에서 측정한 신장 길이의 차이 및 상관분석 (Discrepancy and Correlation in the renal length between Kidney CT and 99mTc-DMSA Renal scan)

  • 정우영;심동오;이동훈;최재민
    • 핵의학기술
    • /
    • 제25권1호
    • /
    • pp.15-20
    • /
    • 2021
  • 핵의학 영상 검사 중에서 99mTc-DMSA Renal scan은 비침습적이면서도 신장의 기능과 형태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으며 좌우 양측 신장에 섭취를 분석함으로써 신기능을 정량적이면서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신장의 크기 및 길이 평가도 신장 이상의 주요 평가 항목이며, 99mTc-DMSA Renal scan을 이용한 신장 길이의 측정은 호흡에 의한 흔들림이나 해상력의 한계로 인해서 CT 보다 신장의 길이가 과대 또는 과소평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해부학적인 평가가 우수한 CT 검사와 기능적인 평가가 우수한 99mTc-DMSA Renal scan에서 측정한 신장 길이의 차이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99mTc-DMSA Renal scan에서 측정한 신장 길이의 정확성을 예측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신장 CT 검사와 99mTc-DMSA Renal scan을 검사한 200명의 환자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 분석하였고, 통계 분석을 위해 SPSS Ver.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호흡에 의한 영향과 해상력의 차이에 의해서 CT 검사 보다 99mTc-DMSA Renal scan에서 측정한 신장의 길이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감마카메라와 연령에 따른 신장 길의 차이는 없었으나 신장 길이를 분석한 방사선사 별로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신장 길이 측정에서 방법의 표준화를 통한 정량 분석 결과의 일반화는 매우 중요할 것이며, 이는 99mTc-DMSA Renal scan에서 츠정한 신장 길이의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T 영상과 99mTc-DMSA Renal scan에서 측정한 신장길이는 좌우측 신장 모두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수의 신장 질환에서 신기능 변화뿐만 아니라 길이나 크기가 변화하는 경우가 많으며 신장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과 표준화는 임상적인 진단에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소아의 경우에서는 다량의 방사선 피폭이 있는 CT 검사보다 99mTc-DMSA Renal scan을 이용하여 형태학적인 평가와 기능적인 평가를 모두 시행하는 경우 많으므로 99mTc-DMSA Renal scan에서 신장에 대한 기능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크기나 길이, 위치 등과 같은 해부학적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은 더욱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Which Factors Related to the Renal Cortical Defects in Infants Under 3 Months of Age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 An, Yu Kyung;Cho, Myung Hyun;Kim, Kyo Su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0권2호
    • /
    • pp.57-62
    • /
    • 2016
  • Purpose: We used technetium-99m dimercaptosuccinic acid (DMSA) scintigraphy to identify factors predictive of renal cortical defects in infants <3 months of age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UTI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data on infants <3 months of age with culture-proven UTIs treated at a single center from March 2010 to February 2016.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or laboratory evaluation prior to commencement of antibiotic therapy. The therapeutic delay time (TDT) and therapeutic response time (TRT) were recorded.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features of their DMSA scans. We compared the demographic,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Results: A total of 119 infants (94 males and 25 females; mean age, $56.9{\pm}21.3days$) were included. Cortical defects were evident in the DMSA scans of 47 cases (39.5%). In infants with such defects, the peak temperatures ($38.9{\pm}0.57^{\circ}C$ vs. $38.4{\pm}0.81^{\circ}C$, P=0.001), the absolute neutrophil counts ($8,920{\pm}4,460/mm$ vs. $7,290{\pm}4,090/mm$, P=0.043), and the C-reactive protein (CRP) levels ($6.49{\pm}4.33mg/dL$ vs. $3.21{\pm}2.81mg/dL$,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infants without cortical defects. The TDT was also longer in those with cortical defects (P=0.037). Conclusion: We found that a TDT ${\geq}8.5hr$ (odds ratio [OR] 5.81), a peak temperature ${\geq}38.3^{\circ}C$ (OR 6.19), and a CRP level ${\geq}4.96mg/dL$ (OR 7.26) predicted abnormal DMSA scan results in infants <3 months of age with U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