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1초

Tc-99m DISIDA 간담도 Scintigraphy상 우연히 발견된 위장역류의 임상적 의의 (Gastric Reflux on Routine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 이강욱;이헌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3-318
    • /
    • 1995
  • 통상적인 Tc-99m DISIDA 스캔도중 우연하게 위장역류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1991년 12월부터 1995년 6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통상적인 Tc-99m DISIDA 스캔을 시행한 1,553명의 환자들중 우연하게 위장부위로 방사능역류를 보인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이러한 환자들의 검사당시 임상상을 알아보았다. 1) 연구기간동안 시행한 Tc-99m DISIDA 스캔상 위장 역류는 2.3%에서 발견되었다. 2) 위장역류를 보인 대상환자중 위장관 및 담도계에 수술을 받은 과거 병력이 있는 경우는 19% 이었으며 역류가 없었던 환자들에서보다 의미있게 많았다(p<0.01). 3) 역류가 발견되는 시점은 Tc-99m DISIDA 정맥주사 후 30분에서 60분 사이가 50%로 가장 많았으며 60분에서 90분 사이가 23% 이었다. 4) 위장 역류를 보인 환자중 87%에서 위내시경 검사상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등의 병변을 보였다. 이상에서 저자들은 Tc-99m DISIDA 스캔상 위-십이지장 역류를 보이는 경우는 역류가 없는 경우보다 위장관이나 담도계에 수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경우가 의미있게 많았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위-십이지장에 질환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간흡충증 간염에서의 $^{99m}Tc-DISIDA$ 간담도스캔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M IN EVALUATION OF CLONORCHIS SINENSIS INFESTATION IN ENDEMIC REGION)

  • 염하용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5-41
    • /
    • 1985
  • 간흡충증은 한국 및 동남아세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중요한 풍토병의 하나로서 진단은 전통적으로 분변검사에 의존하여 오고 있다. 최근 들어 담관내 간흡충 및 이의 합병증의 진단을 위해 ERCP 및 contrast cholangiogram등이 시도되었으나 실제에 이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하겠다. 저자는 간흡충증에 있어서 최근 소개된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의 진단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1982년부터 1983년까지 고신의대 부속 복음병원에서 검진한 간흡충증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하여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와 formalin-ether 원침법에 의한 분변검사를 시행하였다. $^{99m}Tc-DISIDA$ scintigram소견은 간내 담관 bile flow 및 총수담관 bile flow defect, 그리고 간세포기능의 정도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외 합병증의 진단은 병록 기록, 수술 소견, ERCP 등에 의존하여 결론을 얻었다. $^{99m}Tc-DISIDA$ scintigraphy는 특이한 양상의 bile flow dynamics를 나타내었으며 간내 주담관의 intermittent irregular focal bile flow defect 및 tile flow stasis를 나타내고 말초담관의 bile flow defect는 경미하고 60분 내에 담관 bile flow activity의 완전한 배설을 나타내는 경우를 mild pattern, 간내 담관의 심한 irregular bile flow dynamics 및 간내담관의 심한 irregularity (담관내벽의 심한 불규칙성), 총수담관, 간내 주담관 및 말초 담관까지 심하게 irregular bile flow stasis를 나타내며 bile flow activity의 완전 베설이 $60\sim90$분사이 혹은 90분이상까지 인지된 경우를 moderate-severe pattern으로 분류하였다. 1) 분변검사상 간흡충증은 95검사중 70검사(환자 86명중 67명)에서 양성을 보여 분변 충난검사의 양성율은 73.7%였고 음성율은 26.3%였다. 2)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는 90명중 70명에서 특이한 Cs-bile flow양성을 보였으며 양성율은 77.8%였으며 음성율은 22.2%였다. 3)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m양성율을 나타낸 환자 70명중 11명은 mild pattern, 59명은 moderate-severe pattern을 나타냈으며 그중 21명은 여러가지 간세포 기능 및 담관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과 합병했지만 특이한 Cs-bile flow pattern을 dominent하게 나타내었으며 합병된 여러 질환들도 bile flow pattern상 인지 할 수 있었다. 4)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m 음성율을 나타낸 환자 20명중 8명은 만성간염, 5명은 간경변증, 3명은 재발성 농양성담관염(recurrent pyogenic cholangitis)과 간내담도의 stricture 및 담관담석증이 합병되었으며 scintigram상 합병증의 pattern을 나타냈고 4명에서는 low CBD obstruction을 나타내었으며 후에 CBD stone, CBD carcinoma, gall bladder Ca.의 porta hepatis 전이 및 clonorchis worms의 cluster에 의한 obstruction이 operation 및 ERCP로서 진단 되었다. 5)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pattern은 현재의 자각증상과 관계된 dominent disease를 나타내었으며, 공간 점유병소도 multiple project images를 시행하므로서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간흡충증에 있어서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m은 환자의 자각증상과 관계된 질환을 규명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었을 수 있었으며 간내담관의 damage정도를 규명하는데 필요한 procedure임이 판명되었다.

  • PDF

담도폐쇄증 진단에서 DISIDA 간담도주사의 진단적 의의 (Diagnostic Utility of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in the Diagnosis of Biliary Atresia)

  • 이병선;최보화;김경모;김재승;문대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1호
    • /
    • pp.63-67
    • /
    • 2000
  • 목 적: 신생아 담즙정체증의 흔한 원인중 하나인 담도폐쇄증의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Tc-99m DISIDA간담도 주사의 진단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8월까지 4년 8개월 동안 서울 중앙병원 소아과와 소아외과에서 신생아담즙정체증으로 Tc-99m DISIDA간담도 주사를 시행한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60명의 환자 중에서 담도폐쇄증으로 14례(23%), 신생아 간염으로 33례(55%), 간내 담도형성부전증으로 9례(15%), 경정맥 고영양법으로 인한 황달로 4례(7%)가 진단되었다. Tc-99m DISIDA 간담도주사의 민감도는 100%를 보였고 특이도는 80%였다. 결 론: Tc-99m DISIDA 간담도주사에서 장관내 방사능이 관찰되면 담도폐쇄증을 진단에서 제외할 수 있지만 관찰되지 않을 경우에는 경피간침생검이나 시험적 개복술 등의 적극적인 진단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간세포암의 $^{99m}Tc-DISIDA$ 신티그램 소견 ([ $^{99m}Tc-DISIDA$ ] Scintigraphic Finding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 김성훈;정수교;박용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3-37
    • /
    • 1986
  • It is well known that $^{99m}Tc-sulfur$ colloid or phytate hepatic scintigraphy is highly sensitive but not specific. Both $^{99m}Tc-DISIDA$ and bilirubin have been shown to share the same anionic transport pathway in the liver. Hepatocellular carcinoma(HCC) retains the ability to produce bile but has marked limitation to excreting it resulting in accumulation of bile within the tumor cells. Based upon such a fact,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is used for the diagnosis of HCC. The present communication deals with our experience of DISIDA scintigraphic exploration of 9 cases of HCC in a retrospective way. We have made an observation on intensity of positive radio nuclide accumulation in the cold area of HCC as it is demonstrated by phytate scintigraphy. In addition we have semi quantitatively analyzed time-activity pattern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ll of 9 cases showed an increased uptake of $^{99m}Tc-DISIDA$ in delayed scintigrams. Of these 5 cases showed accumulation less than, 3 equal to, 1 more than the surrounding liver tissue. (2) The mean of the first appearing time of $^{99m}Tc-DISIDA$ activity in tumoral region was 2 hours and 20 minutes. (3) DISIDA scintigraphy provides us with positive informations of diagnostic value.

  • PDF

건강한 미니돼지에서 간담도 기능의 핵의학적 평가 (Scintigraphic Assessment of Hepatobiliary Functions in Healthy Miniature Pigs)

  • 김세은;심경미;유경훈;이원국;최석화;박수현;한호재;강성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93-59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ormal hepatobiliary functions in healthy miniature pigs.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HBS) was used for it. Five mCi dose of $^{99m}Tc-DISIDA$ was injected intravenously into 3 healthy adult miniature pigs, and dynamic images were obtained during 1 hour. $^{99m}Tc-DISIDA$ HBS in a miniature pig was evaluated for 6 variables. A cardiac washout occurred within 1 min in all miniature pigs and radioactivities in the gallbladder were not detected in two miniature pigs. Thus, the initial radioactivity and Tmax of the gallbladder were non-available to identify. Mean Tmax of liver was $8.67{\pm}2.08$ min and initial small intestinal radioactivity was seen at $9.67{\pm}2.52$ min after $^{99m}Tc-DISIDA$ injection. Mean hepatic washout time was not detected in 60 min dynamic images. Therefore, $^{99m}Tc-DISIDA$ HBS is the effective diagnostic method to evaluate the function of hepatocyte and bile flow rate. However, it was not a proper method to evaluate the function of gallbladder, which indicates that an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further specify the reasons for the absence of radioactivities in gallbladder of two miniature pigs.

담도계 수술후 증상이 재발한 환자에서의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재발 농양성 간담도염과 간내 담석 발생빈도의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한 연구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ic Study in Symptomatic Patients after Various Biliary Surgeries: Regional Emphasis of Recurrent Pyogenic Cholangitis and Intrahepatic Duct Stones)

  • 염하용;박영훈;서재관;이성도;최경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38
    • /
    • 1986
  • 간담도계 수술을 받고 증상이 재발한 환자 54명에서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raphy을 시행하고, 지역적인 질환발생 빈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의 임상적인 이용도를 분석하였다. 1) 제일 빈도가 많은 질환은 재발농양성 담도염였으며 빈도는 57%였고 다음으로 많은 질환은 간내의 담석증이였으며 빈도는 50%이다. 2) 세번째로 많은 질환은 풍토병인 간흡충증이및으며 빈도는 26%였다. 3) 재발농양성 담도염의 87%에서 간내 및 외 담도 담석증이 발병되었으며, 다만 11.4% 만이 간흡충증과 합병되어 없었다. 4) $^{99m}Tc-DISIDA$의 간담도 영상의 진단율은 재발농양성 담도염에서 81.6%, 담도 담석증에서 78.6%, 그리고 간흡충증에서 71.7%였으며 그 외 stenosis of ampula vater, 만성 감염등도 100% 진안이 가능했다. 5) 재발농양성 담도염 및 담도 담석증의 $^{99m}Tc-DISIDA$ 영상의 특징은 담관내 bile flow의 segmental retention 였으며 그 특징적인 영상을 설명하였다.

  • PDF

급성 및 간헐성 총담관폐쇄에서의 $^{99m}Tc-DISIDA$간담도 스캔의 진단적 가치 (Diagnostic Value of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in Patients with Acute or Intermittent Common Bile Duct Obstruction)

  • 문대혁;이명혜;김명환;이영상;민영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54-259
    • /
    • 1990
  • We examined patients with suspected acute or intermittent biliary obstruction using hepatobiliary scintigraphy, ultrasonography and contrast cholangiography. Of 16 patients with confirmed common bile duct obstruction, sonography and scintigraphy disagreed in 8(50%). Scintigraphy revealed partial or complete common bile duct obstruction in 13 patients (81.3%) and 6 of them had no evidence of dilated biliary trees. It is concluded that disagreement between sonography and scintigraphy is not rare in patients with acute or intermittent biliary obstruction and hepatobiliary scintigraphy is useful in diagnosing obstruction prior to ductal dilatation.

  • PDF

영아 담도폐쇄증 진단에서 Tc-99m DISIDA 간담도주사와 경피간침생검의 의의 (Comparison of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and Percutaneous Needle Biopsy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iliary Atresia and Intrahepatic Cholestasis)

  • 김우석;박우현;최순옥;김상표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3권1호
    • /
    • pp.6-14
    • /
    • 1997
  • 본 저자들은 1992년 3월부터 1996년 4월까지 신생아 울체성 황달의 감별진단, 특히 신생아담도폐쇄증과 신생아 간염의 감별진단에 있어 Tc-99m DISIDA 간담도주사와 경피간침생검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질환별로 볼 때 전체 60예의 환아 중에서 담도패쇄증이 23예, 신생아 감염이 34예였으며 경정맥고영양법으로 인한 황달이 2예, Alagille 증후군이 1예였다. Tc-99m DISIDA 간담도주사는 60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BA 진단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96%와 32%로서 높은 민감도를 보인 반면 특이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진단 정확도는 57%였다. 경피간침생검은 Tc-99m DISIDA 간담도주사를 실시한 60명의 환아중 장관내 방사능이 나타나지 않았던 38명의 환아에서 40회 실시하였는데, 경피간침생검에 BA 진단에 대한 민감도는 88%, 특이도는 96%로 모두 높았으며 전체적인 진단 정확도는 93%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Tc-99m DISIDA 간담도주사는 특이도 32%, 양성예측율 47%로서 Tc-99m DlSIDA 간담도주사에서 장관내 방사능이 배설이 되지 않을 때는 경피간침생검이 반드시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일단 장관내 방사능이 배출되면 BA는 배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경피간침생검은 전체적인 진단율이 93%로 높으나, BA 환아에서 8주전에 경피간침생검시는 NH와 감별이 어려울 수 있으며, 또 일부 NH, 경정맥고영양법 관련 울체성 황달에서는 경피간침생검시 BA와 감별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임상경과를 보아서 의심스러우면 재 경피간침생검을 시행하던지 타 진단법을 응용해서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lagille 증후군의 1예 (A Case of Alagille's Syndrome)

  • 김성은;최원식;전용순;윤혜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4-158
    • /
    • 2000
  • This is a case report of a 5-month-old male who was brought in to hospital for evaluation of jaundice from birth. The baby had a history of ileal atresia operated 2 days after birth. At the age of one month,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was performed at other hospital and reported to show good hepatic uptake of the tracer but no uptake in the biliary tree, gall bladder, or intestine for 24 hours post injection. He was judged to have biliary atresia. However, subsequent exploratory laparotomy revealed that the hepatobiliary tree appeared intact and that there was a gall bladder. Additionally, the patient had central aorto-pulmonary shunt for the right ventricular septal defect with pulmonary stenosis of a peripheral type at the age of 4 months. The second hepatobiliary scintigraphy was performed on admission at the age of 5 months, showing a gall bladder but no intestinal uptake up to 24 hours. Retrospectively, the histological specimen of the liver obtained at the exploratory laparotomy was re-evaluated, and by the histological findings coupled with clinical data, arteriohepatic dysplasia (Alagille's syndrome) was diagnosed. In this report, we emphasize the diagnostic limitation of hepatobiliary scintigraphy and the importance of overall clinical and histologic evaluation in a case of Alagille's syndrome.

  • PDF

$^{99m}Tc-DISIDA$ 신티그래피를 이용한 간세포암 간외 전이의 진단 : 원발 간세포암과의 비교 ([ $^{99m}Tc-DISIDA$ ] Scintigraphic Diagnosis Of Extrahepatic Hepatocellular Carcinoma Metastasis : Comparison with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 정수교;김성훈;백준현;김영주;천경아;박석희;박용휘;신경섭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84-491
    • /
    • 1995
  • 간세포암의 원발병소와 전이병소의 간담도 신티그램 소견을 비교 분석하여 서로 다른 경로에 의한 전이병소에서 신티그램 소견의 차이를 알아보고 전이병소와 원발병소에서 방사능 집적빈도와 출현시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간세포암으로 진단된 환자 9명의 간외 전이 12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전이병소 12예는 폐전이 4예, 골 전이 1예, 우심방 전이 1예, 복벽 전이 1예, 복강 및 후복강 임파절 전이 5예였다. 간담도 신티그램은 $^{99m}Tc-DISIDA$ 370MBq를 주사한 후 10분, 30분, 1시간, 2시간과 4-6시간 지연연상을 얻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간세포암 원발병소 9예중 4예(44%) 전이병소 12예중 5예(42%)에서 방사능집적을 관찰하였고 이중 혈행성전이 5예중 3예(60%}, 직접전이는 2예 모두에서 방사능 집적을 볼 수 있었지만 임파절 전이의 경우 5예 모두에서 방사능 직접이 없었다. 2) 혈행성 전이인 폐 전이가 있었던 4예에서는 원발병소 3예와 전이 병소 3예에서 방사능 집적이 있었고 원발병소는 모두 2시간부터, 전이병소 중 2예는 1시간, 나머지 2시간부터 방사능이 직접되었다. 이중 2예는 원발과 전이병소가 함께 양성으로 나타났는데 모두 원발병소에 비해 전이병소에서 먼저 방사능 직접을 볼 수 있었지만 전이병소에는 직접이 없었다. 3) 직접 전이인 우심방과 복벽 전이는 같은 환자에게서 함께 발생했는데 원발과 전이병소에는 모두 30분 영상에서부터 방사능 직접을 관찰하였다. 4) 임파전이가 있었던 5예 중 원발병소 1에서만 방사능 집적이 있었지만 나머지 4예의 원발병소와 전이병소 5예 전부에서는 방사능 집적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간담도 신티그램상 혈행성이나 직접전이병소는 임파 전이병소보다 방사능 집적이 잘 되고 원발과 전이병소가 함께 집적이 잘되고 원발과 전이병소가 함께 전이가 집적되는 경향이 있으며 원발병소에 비해 혈행성이나 직접전이 병소에서 방사능 직접율이 높고, 더 빨리 집적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담도신티그래프는 간세포암의 원발성병소보다 혈행성이나 직접 전이병소의 진단에 더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으며 특히 간세포암 전이의 진단이 애매한 경우에는 특이도를 높힐 수 있는 검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