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ste Variation Tes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계절에 따른 미더덕의 정미성분 조성 변화에 관한 연구 (Seasonal Variations of Taste Components in Warty Sea Squirt(Styela clava))

  • 이강호;김민기;홍병일;정병천;이동호;박천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4-279
    • /
    • 1995
  • 미더덕의 계절에 따른 성분 조성을 분석하여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3~10월 사이의 정미성분과 그 계절적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더덕의 총엑스분질소량은 6월에 294mg/100g, 7월에 160mg/100g으로 감소하다가 그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아미노산 중 taurine(45~50%)과 proline(12~18%)이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의 함량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 중에서는 AMP의 함량이 가장 풍부하였고, glycine betain은 6월에 256mg/100g으로 최고치를 보였다. 미더덕의 엑스 분질소 조성은 유리아미노산이 50~6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betaine(11~15%), 핵산관련 물질(5~8%), TMAO 및 총 ceratinine 순이었다. 미더덕의 유기산은 succine, malic, lactic 및 pyroglutamic acid가 전체 유기산의 8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중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Omission test한 결과, 미더덕의 맛은 유리아미노산, betaine, 핵산관련 물질, 불휘발성 유기산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3. 우렁쉥이의 정미성분-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3. Taste Compounds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 이강호;김민기;정병천;정우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0-158
    • /
    • 1993
  • 우렁쉥이의 식품학적 가치와 성분적 특성을 밝히는 일환으로 정미성분을 포함한 엑스성분과 그 계절적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렁쉥이의 계절적 Ex-질소량은 4월에 250mg/100g에서 9월에 330mg/100g으로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우렁쉥이의 유리아미노산중 taurine, proline,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의 함량이 높았다. 3. 핵산관련물질중 AMP의 함량이 높았다. 4. Glycinebetain의 함량이 homarine보다 훨씬 높았으며 9월에 특히 많았고, 그 계절적 변화는 엑스분질소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5. 우렁쉥이의 엑스분질소중 함질소엑스성분이 차지하는 조성은 유리아미노산이 $60{\sim}6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betaine $12{\sim}16\%$, 핵산관련물질 $5{\sim}9\%$, TMAO 및 TNIA 총 creatinine의 순이었다. 6. 우렁쉥이의 유기산은 succinic, malic, lactic 및 pyroglutaric acid가 전체 유기산의 $84\%$ 이상을 차지하며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7. Omission test 결과 우렁쉥이 맛은 유리아미노산, betaine류, 핵산관련물질, 불휘발성 유기산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저염 Sauerkraut (fermented cabbage)의 정량적 묘사분석 및 기호도 연구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and Acceptance Test of Low-salted Sauerkraut (fermented cabbage))

  • 지혜인;김다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9-247
    • /
    • 2022
  • This study evaluat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auerkraut prepared by adding 0.5, 1.0, 1.5, 2.0, and 2.5% (w/w) sea salt to cabbage. The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and acceptance test of sauerkraut were determined for each salt concentration, an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PLSR)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Results of the QDA determined 14 descriptive terms; furthermore, brightness and yellowness of appearance and the sour, salty, and bitter flavor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alt concentration. Results from the PCA explained 22.56% PC1 and 65.34% PC2 of the total variation obtained. Sauerkraut prepared using 0.5, 1.0, and 1.5% sea salt had high brightness, moistness, sour odor, green odor, sour flavor, carbonation, hardness, chewiness, and crispness, whereas sauerkraut prepared with 2.0 and 2.5% sea salt had high yellowness, glossiness, salty flavor, sweet flavor, and bitter flavor.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classified the products into two clusters: sauerkraut of 0.5, 1.0, and 1.5%, and sauerkraut of 2.0 and 2.5%. Results of PLSR determined that sauerkraut of 1.0 and 1.5% were the closest to texture,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We, therefore, conclude that sauerkrauts prepared using 1.0 and 1.5% sea salt have excellent characteristics in appearance, taste, and texture.

대두경화유의 감자 튀김시 이화학적 성상과 맛의 변화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aste Variation of Hydrogenated Soybean oil in Deep-frying Potatoes)

  • 권혜순;염초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93-297
    • /
    • 1993
  • This study aims to seek ways to improve frying stability of soybean oil which is widely used for deep frying while at the same time attempting to develop new frying oil and fat of high quality. Taking soybean oil as a control group, the study fried frozen potatoes with hydrogenated soybean oil with iodine value ranging from 60 to 110 for 15 hour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in frying stability, hydrogenated soybean oil with iodine value of 87 and 63 was superior to normal soybean oil and hydrogenated soybean oil with iodine value of 111(P<0.05). In sensory evalu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can be detected among groups(P>0.05).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results was highest for smoke point and viscosity. This study concludes, therefore, that hydrogenated soybean oil with iodine value of 60~90 is better than normal soybean oil as deep-frying oil.

  • PDF

Resveratrol이 포도주의 관능평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veratrol on Wine Sensory Evaluation Preference Analysis)

  • 김태희;이동희;김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40-174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시판되고 있는 14종의 포도주를 포도주 생산 연도별(2003, 2006, 2007), 포도 품종별(Malbec, Carmenere, Merlot, Syrah, Cabernet Sauvignon, Chardonnay), 포도주 생산 지역별(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르헨티나, 호주, 미국, 칠레)로 준비하여 각 포도주의 resveratrol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동일 회사, 동종 포도주라도 연도에 따라서 resveratrol 함량이 다르고, 같은 품종이라도 지역에 따라, 같은 자연환경이라도 품종에 따라 resveratrol 함량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포도주 생산 연도별(2003, 2006, 2007), 포도주를 제조할 때 사용한 포도 품종별(Malbec, Carmenere, Merlot, Syrah, Cabernet Sauvignon, Chardonnay), 포도주를 생산한 나라별(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르헨티나, 호주, 미국, 칠레)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resveratrol 함량이 포도주에서 향(나무냄새, 페놀향), 맛(떫은맛), 색(붉은색, 황금색), 수렴성(쓴맛)과 무게감 등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적포도주는 resveratrol 평균 함량 0.2-5.8 mg/L 범주에 있었고, 백포도주는 대부분의 적포도주보다 낮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Resveratrol 함량의 분석 결과와 관능평가를 비교한 결과 phenol 화합물의 한 종류인 resveratrol 함량이 높을 수록 관능평가의 점수도 평균적으로 높이 평가되었다. 14종의 포도주를 관능평가에서 백포도주는 대부분의 적포도주 보다 모든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얻었고, 적포도주는 껍질이 두껍고 씨가 굵고 많은 품종일수록 관능평가의 각 항목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Resveratrol를 포함하는 포도주의 각종 phenol 화합물 성분은 포도껍질에 많이 존재하며, 포도주 제조 시 발효로 생성된 에탄올에 의하여 포도주에 용출되어, 적포도주는 백포도주보다 그 함량이 많고, 일반적으로 포도주는 1700-1900 mg/L의 농도를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 결과 resveratrol 농도 비례관계에 있는 phenol계 물질들은 주로 적포도주에서 붉은 색깔과 씁쓸하고 텁텁한 맛의 평가에 영향을 주고, 포도주의 숙성에 많은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포도주의 향중 나무 냄새, 페놀 향에 영향을 주며, 수렴성과 무게감 등 관능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Quality Evaluation for Vegetable Use in Local Soybean Cultivars with Various Seed Coat Color

  • Lee, J. D.;Hwang, Y. H.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3-88
    • /
    • 1998
  • From the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pringiness, gumminess, adhesiveness, chewiness and hardness by the texture analyzer, vegetable soybean lines with green seed-coat were best as compared with those with black, brown, mixed, and yellow seed-coats. A panel test evaluated on the basis of taste, sweetness, chewiness, and total scores also indicated that soybean lines with green seed-coat were the best. The total scores of panel test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green > yellow> black> brown seed-coat colored soybean. The mean value of sucrose content obtained by HPLC analysis was highest in black seed-coat colored soybean, and followed by green, yellow, and brown soybeans. The highest sucrose content (8.22%) was observed in 180362, a soybean line with green seed-coat. The full-season type soybeans showed much higher sucrose content than summer types which are mainly cultivated on farmer's fields for vegetable purposes. The final 13 lines selected from 300 colored soybeans showed nearly the same panel scores as Miwongreen. However, these lines had a great deal of variation in sucrose content, and much higher readings in texture analysis than Miwongreen, especially in chewiness and hardness which were the most important properties in vegetable soybeans.

  • PDF

전분을 달리한 농후제의 이용에 따른 Demi-glace sauce 제조 및 품질 특성 (Manufacturing Demi-glace Sauce Added with Different kinds of Thickening Ag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 최정희;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9-598
    • /
    • 2012
  • This research was studied to find out the best ingredients for making demi-glace sauce, using the thickening agent with glutinous rice, non-glutinous rice, brown rice, and black rice, and to look into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he moisture of demi-glace sauce depending on the thickening type was that the roux added cereals was higher than the control. In addition, it was increased depending on the extension of the storage time. The control was the highest on pH and acidity. On variation depending on the storage time,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decrease on pH. Demi-glace sauce with brown rice and black rice roux showed increase of acidity. The DPPH radical was not tended to be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it was rapidly decreased in the control, depending on the extension of the storage time. Demi-glace sauce with non-glutinous rice was the highest on Hunter's color L value and gener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Also demi-glace sauce with glutinous rice was the highest on 'a' value and 'b' value but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The control was highest on viscosity, and demi-glace sauce with non-glutious and black rice roux were low on the variation of viscosity depending on the storage time. Increment of total bacteria in demi-glace sauce with black and brown rice roux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control on storage stability test, and demi-glace sauce with brown rice roux got the highest point after swallow, taste and overall of sensory evaluation.

트레할로스를 첨가한 쌀식빵의 품질특성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read Containing Trehalose)

  • 배대석;이진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568-577
    • /
    • 2018
  • 본 연구는 설탕의 일부를 트레할로스로 치환하여 제조한 쌀식빵의 품질을 검토한 것이다. 쌀식빵의 맛과 품질을 새롭게 하고 노화 억제 효과가 있는 트레할로스를 설탕 사용량의 25%(Ts25), 50%(Ts50), 75%(Ts75)를 트레할로스로 각각 치환하여 제품을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0, 2, 4일간 저장하면서 경시변화를 확인하였다. 쌀식빵의 비체적은 트레할로스를 첨가한 쌀식빵의 경우 대조군의 97%로 약간 줄어든 결과를 보였으나 경시적인 변화는 감소률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함량 또한 0일차에는 대조군과 트레할로스 첨가 시료 간 차이가 없었지만 트레할로스 첨가 시료의 수분함량은 경시변화가 작아 보습 효과가 나타났다. 쌀식빵의 경도는 트레할로스를 첨가한 시료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아 트레할로스의 첨가는 쌀식빵 경도를 낮추어 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쌀식빵의 맛은 대조군에 비해 Ts50의 시료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시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군의 경우 2일차, 4일차에서 크게 감소하였지만 트레할로스 첨가 시료는 맛의 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풍미와 질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도 트레할로스 첨가 시료가 대조군보다 전반적으로 좋다고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할수록 품질이 유지 또는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트레할로스 첨가는 품질 지속시간 증가에 따른 상품성을 기대할 수 있어 제과 제빵 관련 상품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활성탄(活性炭) 흡착(吸着)에 의한 취기유발물질(臭氣誘發物質) 제거(除去)에 관(關)한 연구(硏究) -GEOSMIN, 2-MIB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moval of Taste and Odor Compounds by Activated Carbon Adsorption)

  • 김한승;권봉기;박중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24
    • /
    • 1994
  • The occurrence of objectionable tastes and odors in drinking water is a common and widespread problem. The most troublesome odors are usually those described as muddy or earthy-musty. Two organic compounds which have been implicated as the cause of earthy-musty odor problems in water are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These earthy-musty organics have been shown to be metabolites of actinomycetes and blue green alga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dsorbability in removing these two oder causing compounds(geosmin and 2-MIB) upon various conditions like pH variation, adding humic acid and different activated carb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In batch test, carbon dosage is 10mg/100ml for geosmin and 15mg/100ml for 2-MIB. Both were in equilibrium state after 60 hours. In model simulation, F-P model described experiment data and modelling data appropriately in geosmin but F-S model not. In case of 2-MIB, models didn't describe relation between experiment and modelling data well. Two causative agents of earthy-musty odor compounds, geosmin and 2-MIB, are strongly adsorbed by activated carbon either coconut or brown. There appears to be no effect of pH (3,7,9) on adsorption of these two organics. Activated carbon proved to be more effective for removing geosmin than for removing 2-MIB. When activated carbon is. used in removing these two organics, the removal of these appeared to be adversely affected by back ground organic compounds, such as humic substances, due to competitive adsorption.

  • PDF

찹쌀가루 첨가량에 따른 산약병의 기호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nyakbyu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lutinous Rice Flour)

  • 윤숙자;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91-594
    • /
    • 1999
  • 찹쌀가루의 첨가수준을 0%, 10%, 20%, 30%, 40%, 50%로 달리하여 제조한 산약병의 기계적 측정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해 품질평가를 하였다. 산약병의 수분함량은 찹쌀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것을 L 값은 찹쌀가루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a 값과 b 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마가루에 함유된 단백질 함량의 영향 및 마가루 자체의 색으로 인해 마를 첨가할수록 육안으로 보기에도 검어지며, 황색도 및 적색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Two bite compression test에 의한 텍스쳐 특성치를 살펴보면,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cohesiveness 등은 찹쌀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springiness는 각 시료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마가루의 함량이 높을수록 조직이 잘 결착되며 점성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항목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색의 것은 10% 첨가한 것을, 향미는 20% 첨가한 것을, 맛은 40% 첨가한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 내에서의 조직특성을 나타내는 adhesivenes와 consistency 역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adhesiveness 및 consistency의 경우 40% 첨가한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의 함량이 높을수록 점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떡을 먹을 때 이에 달라붙어 점착성이 큰 것보다는 부드러운 것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Overall acceptance의 경우, 40% 첨가한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찹쌀가루가 40% 정도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