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artaric acid

Search Result 27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화학적으로 개질된 왕겨 및 톱밥(미송, 참나무, 포플러)의 중금속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Ions onto Chemically Modified Rice Husk and Sawdust from Aqueous Solutions)

  • 이현용;전충;임경재;홍기찬;임정은;최봉수;김남원;양재의;옥용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8-164
    • /
    • 2009
  • 왕겨와 톱밥 3종(미송, 참나무, 포플러)을 sodium hydroxide(NaOH)와 tartaric acid($C_4H_6O_6$)를 처리한 후 중금속 흡착특성을 평가한 결과 모든 소재에서 중금속 선택성은 Pb > Cu > Cd > Zn 순으로 나타났다. 참나무 톱밥(NaOH로 개질)은 Pb(19.36 mg $g^{-1}$)과 Cu(13.47 mg $g^{-1}$)에 대해 그리고 왕겨(tartaric acid로 개질)는 Cd(5.37 mg $g^{-1}$)과 Zn(2.24 mg $g^{-1}$)에 대해 뛰어난 흡착능을 나타내었다. SEM 분석결과 4가지 소재에서 모두 NaOH 개질 후에 표면의 불순물이 제거됨이 확인되었고 흡착표면이 매끄럽게 안정화 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FT-IR 분석결과 왕겨는 1080 $cm^{-1}$에서 carbonyl group, hydroxyl group 등의 관능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tartaric acid로 개질한 경우 1184 $cm^{-1}$와 1735 $cm^{-1}$에서 carboxylate group, carboxyl group, methylene group 등의 새로운 관능기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3종의 톱밥(미송, 참나무, 포플러)에 대한 FT-IR 분석결과 왕겨와 유사한 peak가 관찰되었는데 1030 $cm^{-1}$에서 carbonyl group과 hydroxyl group, 1200 $cm^{-1}$과 1700 $cm^{-1}$ 사이에서 carboxylate group, carboxyl group, methylene group 등이 이에 해당하였다. 한편 NaOH로 개질한 경우 peak에서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흡착량이 증가한 것은 표면개질로 새로운 관능기가 생성되지는 않았으나 표면의 불순물이 제거.안정화됨으로써 흡착 표면적이 증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리균주에 의한 좁쌀주의 양조특성

  • 김지용;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99.2-199
    • /
    • 2003
  • 제주민속주인 좁쌀약주의 제조를 위하여 전국에서 수집된 35종의 누룩으로부터 분리하여 선발한 균주를 사용하여 균주와 원료배합비율에 따른 누룩을 제조한 후 양조과정에서의 발효특성을 검토하였다. 좁쌀주의 유기산 및 유리당의 분석결과 유기산은 lactic acid와 acetic acid가 대부분이었고, 이외에 citr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fumaric acid도 일부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glucose와 arabinose, maltose가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외에 xylose도 일부에서 검출되었다. 향기성분은 i-amyl alcohol, i-butyl alcohol, n-propyl alcohol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외에 ethylacetate, acetaldehyde가 검출되었다. i-buthyl alcohol과 n-propyl alcohol은 대조구인 Dl이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i-amyl alcohol은 K5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수균주로 분리하여 제조한 누룩을 사용하여 좁쌀주를 양조하는 경우, 품질을 유지하면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소맥배아유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crude wheat germ oil)

  • 표영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43
    • /
    • 1991
  • Oxidative stability of crude wheat germ oil (WGO) was determined by the active oxygen method(Rancimat, hrs at 98$^{\circ}C$). The induction time of crude WGO was 7.6hrs as compared to 23.7hrs of crude soybean oil. However, the induction time of WGO could be extended by 2-3 times with 300ppm of mixed tocopherols and 200ppm of organic acids. The antioxidant effect of organic acids increased in the order of L-ascorbic acid > tartaric acid > citric acid > malic acid. Especially, the induction time of WGO could be extended by ca. 38hrs with 500ppm of L-ascorbic acid. This antioxiative effect of 500ppm L-ascorbic acid with mixed tocopherol(100, 200, 300 or 500ppm). It seems that the synergistic effect of L-ascorbic acid was due to the high content of tocopherols(0.4%) in WGO.

  • PDF

Use of Polycarboxylic Acid to Inhibit Heat-and Moisture-Induced Yellowing of ECF/TCF Bleached Hardwood Kraft Pulp

  • Kawae, Ayano;Uchida, Yosuke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PAN PACIFIC CONFERENCE vol.2
    • /
    • pp.331-336
    • /
    • 2006
  • The aim of this work was to inhibit the heat-and moisture-induced yellowing of ECF/TCF bleached hard wood kraft pulp (HBKP) retaining hexenuronic acid (HexA). We have already reported that one of the derivatives of HexA, 5-formyl-2-furancarboxylic acid (FFA), causes yellowing of HBKP in acidic paper, and that FFA might polymerize or react with pulp components to form new chromophoric groups (1). In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carboxylic base of FFA interacts with that of glucuronic acid or galacturonic acid, resulting in strong yellowing. Therefore, it seems that preventing the reaction of carboxylic bases could be effective in suppressing this yellowing. We have discovered that polycarboxylic acids (for example, citric acid, tartaric acid, etc.) are useful as a yellowing inhibitor.

  • PDF

원료콩의 증자조건을 달리한 검정콩 간장의 유리당, 유기산 및 지방산의 변화 (Changes in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a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Cooking Conditions of Whole Black Bean)

  • 권선화;최재훈;고영란;손미예;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33-338
    • /
    • 2003
  • 콩의 증자조건에 따른 검정콩 전통간장의 숙성 후 유리당, 유기산, 지방산조성을 조사하였다. pH 값은 5.04~5.32로 시험구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원료 콩을 상압증자한 검정콩 간장이 가압이나 스팀보다는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적정산도는 4.26~7.72 mL로 나타났으며, 가압 증자한 검정콩 간장(4.26~5.61 mL)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상압(7.32 mL), 스팀(5.99~6.96 mL)의 순으로 나타났다. 환원당은 25.18~194.81 mg%로 나타났고, 상압이 25.18mg%로 가장 낮았으며. 가압이나 스팀증자한 검정콩 간장의 경우 상호간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상압한 것보다는 7~8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요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xylose였으며, 스팀증자한 검정콩 간장이 상압이나 가압보다 각각의 유리당 모두가 많았고, 상압증자는 유리당이 극히 미량으로 검출되었다.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 oxalic aicd, tartaric aci, malic acid, citric acid였고, 총 유기산은 스팀증자(40.38~76.96 mg%)한 검정콩 간장이 상압(55.85 mg%)이나 가압(27.78~34.21 mg%)한 것보다 많았다. 증자 처리시간이 길수록 가압과 스팀으로 처리하여 제조된 검정콩 간장은 약간씩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33.28~43.51%), stearic acid(14.15~19.16%), myristic acid(5.93~19.14%)였으며, 전체 지방산 중에 55.97~72.85% 비율을 차지하였고, 원료 콩에 존재하지 myristic acid가 상당히 많이 존재하였다.

부숙과정중(腐熟過程中) 낙엽류(落葉類)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의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 변화(變化) (Changes of Some Organic Acids in the Hydrolysates of Decomposing Litters of Wild Grasses and Tree Leaves)

  • 김정제;최강순;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7-410
    • /
    • 1992
  • 산야초(山野草), 활엽수(闊葉樹)와 침엽수낙엽(針葉樹落葉)을 실험실조건하(實驗室條件下)에서 90일간(日間) 부숙(腐熟)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산가수분해(酸加水分解)시킨후 6개(個)의 저분자량(低分子量)의 유기산(有機酸)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Formic, acetic, succinic, malic, tartaric와 citric acid가 검출(檢出)되었으며 이중(中) malic acid는 전시료중(全試料中)에서 극(極)히 미량(微量)으로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2. 산야초(山野草)의 경우 저분자량(低分子量) 유기산(有機酸)의 농도(濃度)는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감소(減少)했으며 formic acid와 acetic acid등(等) monocarboxylic acid는 dicarboxylic acid와 tricarboxylic acid에 비(比)해 훨씬 높은 농도(濃度)를 보였고 formic acid와 acetic acid는 상호보충(相互補充) 관계(關係)가 있었다. Citric acid는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하였다. 3. 활엽수낙엽(闊葉樹落葉)의 경우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monocarboxylic acid농도(濃度)가 상대적(相對的)으로 높았다. Formic acid와 acetic acid사이는 상호보충(相互補充) 관계(關係)가 있음이 구명(究明)되었다. 4. 침엽수낙엽(針葉樹落葉)의 경우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유기함유량(有機含有量)의 변화(變化)가 별(別)로 나타나지 않았다. 산야초(山野草)와 활엽수낙엽(闊葉樹落葉)과는 대조적(對照的)으로 dicarboxylic acid인 succinic acid농도(濃度)가 가장 높았다.

  • PDF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Seaweed Fulvescens (Capsosiphon fulvescens))

  • 양호철;정경모;강광성;송병준;임현철;나환식;문희;허남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12-917
    • /
    • 2005
  • 전남 지방에서 생산되는 매생이를 채취하여 이화학적 성분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건물기준 탄수화물이 53.65%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조단백질 31.76%, 회분 13.58%와 조 지방이 1.01%로 나타났다. 매생이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Na>Mg>Ca>K>P 순으로 나타났으며 Se도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총 5종의 유리당(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galactose)이 분석되었으며 유기산은 l-m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D-malic acid 등 4종이 검출되었다. 매생이의 구성 아미노산은 전체적으로 고루 함유되어 있었고 그 중 glutamic acid, aspartic acid와 alanine이 전체의 36.2%를 차지하였다. 매생이에 함유된 주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 linolenoc acid, stearidonic acid 순이었으며 고도 불포화지방산이 전체의 58.37%를 차지하고 있었다.

노화된 전분식품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eparation of Kochujang with Utilization of Retrogradated Starch food)

  • 차은정;김경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81-486
    • /
    • 1996
  • This study w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kochujang and the preparation of saccharification kochujanf with the utilization of waste cooked rice, rice cake, bread. Saccharification kochuiang tested to estimated the pH, reducing sugar and changes of organic acid conients, sensory evaluation during the aging at 60 days. Moisture content were increased about B-10% nd crude fat contents were decreased about 20-40% during the aging at 60 days. Change of pH value of kochujang reduces gradually from pH 5.0 up to pH 4.7 during the aging. Total reducing sugar contents of saccharification kochujang reached maximum value at 50 days. The Products of organic acids of during aging were acet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and citric acid of the chief of source. Sensory evaluation conducted by fifteen students as panelists showed that were at 1% level significant difference 7 samples in color, flavour, apperance.

  • PDF

인삼의 첨가가 김치의 가식기간과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Ginseng on Eatable Period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 송태희;김상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37-244
    • /
    • 1991
  • 김치에 인삼 2% 및 4%를 첨가하여 $20^{\circ}C$에서 9일간 저장하면서 숙성기간별로 pH, 산도, 염도와 환원당의 변화를 관찰하고, Instron에 의한 경도측정, HPLC에 의한 유기산 분석 및 관능검사로 가식기간과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시료김치는 약 2.3% 정도의 염도를 유지했으며 발효기간 중 인삼 첨가군이 pH, 환원당함량 및 기계적 측정에 의한 경도가 높게 나타났고 산도는 낮게 나타났다. 유기산 분석결과 oxal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의 함량이 많았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succinic acid,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증가하고 oxalic acid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tartar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관능검사결과 인삼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경도를 나타냈으며 감칠맛과 탄산미가 좋게, 신맛과 이취가 적게 평가되었으며, 인삼으로 인한 쓴맛과 전체적 취식특성이 좋게 평가된 것으로 보아 인삼의 첨가가 김치의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관능검사와 분석한 성분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김치의 기호도는 이취, 탄산미, 신맛, 그리고 감칠맛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결국 김치에 인삼을 첨가함으로써 기호성을 증대시키고 가식기간을 연장할 수 있었으며, 인삼첨가군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인삼 2% 첨가군이 기호성 및 경제성에 있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모과의 비휘발성 Flavor 성분에 관한 연구 (Non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hinese Quince Fruits, Chaenomeles sinensis koehne)

  • 정태영;조대선;송재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3-302
    • /
    • 1988
  • 본 연구는 모과의 비휘발성 성분에 과한 조성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 과제로써 행하여졌다. 주요 비휘발성 성분은 유리 아미노산의 경우 valine, asparagin ${\gamma}-aminobutyric\;acid$, aspartic acid 와 serine 이 전체의 72%를 차지하고 arginine, tyrosine, methionine과 tryptophan은 거의 검출되지 않아다. Peptide 구성 아미노산으로는 주로 glutamic acid와 glutamine이었으며 cysteic acid, methione sulfone과 tryptophan은 검출되지 않았다. 핵산관련 물질의 분석 결과 cytosine, UMP, CMP는 소량 존재하셨으며 GMP, IMP, AMP는 검출되지 않았다. 당 분석결과 주성분은 glucose, sorbose, sucrose, fructose였으며 fructose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GC 및 GC-MS방법에 의해 총 11성분의 유기산이 동정 되었으며 이들중 tartaric acid및 ${\alpha}-ketoglutaric\;acid$가 주성분이었다. 정량된 총 비타민 C 함량은 386.6 mg%였으며 ascorbic-acid dehydroascorbic acid와 2,3-diketo-L-gulonic acid는 각각 28.8mg%, 154.5mg%, 197.3mg%였다. 무기성분으로는 칼슘과 인이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으며 카드뮴, 구리, 납은 소량 존재하였다. 모과의 천연 및 합성 extract에 대한 관능검사의 결과 유리형, 아미노산, 당, 유기산, 비타민 C및 무기질의 맛의 주성분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모과의 향미 성분 중 비휘발성 성분은 주로 상기 다섯 그룹에 의해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