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rtaric acid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3초

개망초(Erigeron annuus)의 부위별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Erigeron annuus)

  • 정창호;남은경;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857-861
    • /
    • 2005
  • 개망초를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각 부위별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개망초의 꽃, 잎, 줄기 및 뿌리의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53.15, 55.79, 36.71 및 $42.61\%$로 각각 나타났다. 조섬유의 함량은 줄기와 뿌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보다 잎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개망초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Na(19.55\~33.78\;mg/100\;g),\;K(49.95\~$89.80\;mg/100\;g)$$Ca(25.39\~116.40\;mg/100\;g)$으로 나타났으며, 개망초의 각 부위별 Ca의 함량은 꽃, 줄기 및 뿌리보다 잎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개망초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리당으로는 $sucrose(0.12\~l.37\%),\;glucose(0.68\~1.08\%$)$fructose(0.56\~1.66\%)$로 각각 나타났다. 개망초의 부위별 총 아미노산 함량은 꽃 2,509.74 mg/100 g, 잎 2,630.95 mg/100 g, 줄기 889.54 mg/100 g 및 뿌리 1,201.41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꽃과 잎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tyrosine 및 proline로 나타났다. 또한 줄기 에서는 lys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로 나타났고, 뿌리 에서는 lysine glutamic acid 및 proline로 나타났다. 개망초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기산으로는 succinic $acid(4.78\~19.72\;mg/100\;g)$, tartaric $acid(3.90\~6.91\;mg/100\;g)$ 및 citric $acid(1.79\~6.60\;mg/100\;g)$로 나타났다. 개망초에는 총 9종의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고,주요 지방산으로는 myristic acid$(18.05\~20.18\%)$, oleic acid(18.50$\~$32.91$\%$) 및 linoleic acid$(18.02\~29.87\%)$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성분은 꽃과 잎에서 다른 부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고간류(藁稈類)의 부숙과정중(腐熟過程中) 가수분해물중(加水分解物中)의 유기산(有機酸) 함량(含量) 변화(變化) (Changes in the Contents of Some Organic Acids in The Hydrolysates of Decomposing Straws of Rice, Barley, Wheat and Rye)

  • 김정제;김강순;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2-305
    • /
    • 1991
  • 저분자량(低分子量)을 가진 6개(個)의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기 위하여 볏짚, 보릿짚, 밀짚과 호밀짚을 부숙(腐熟)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가수분해(加水分解)시킨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저분자량(低分子量)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은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변화(變化)한다. 2. Formic acid와 Acetic acid가 전시료중(全試料中)에서 가장 많은 량(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3. Malic acid는 볏짚과 보리짚에서 극(極)히 미량(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4. Monocarboxylic acid의 molarity가 Dicarboxylic과 Tricarboxylic acid의 molarity를 합(合)한 것보다 훨씬 많았다.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이런 경향이 더욱 뚜렷하였다 5. Formic acid와 Acetic acid는 서로 보상관계가 있었으며 토양(土壤)에 잔유하는 기간도 상당히 오래일 것으로 추정된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Tteokgalbi with Black Rice Bran and Organic Acid to Substitute Synthetic Caramel Colorant

  • Kim, Tae-Kyung;Hong, Seung-Hee;Ku, Su-Kyung;Kim, Young-Boong;Jeon, Ki-Hong;Choi, Hee-Don;Park, Jong-Dae;Park, Kwoan-Sik;Choi, Y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52-560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teokgalbi with 1% (w/w) black rice bran only (T1), or with black rice bran and one of the following four types of organic acid: ascorbic acid (T2), citric acid (T3), tartaric acid (T4), or maleic acid (T5) as a substitute for caramel colorant. Tteokgalbi with only black rice bran showed the highest (p<0.05) values of moisture content and water holding capacity (WHC),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in content, fat content, ash content,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values in treatments and controls (p>0.05). All the treated samples with any one of the four organic acids showed lower pH than controls (p<0.05). The lightness and redness of Tteokgalbi treated with any one of the four organic acids and black rice bran were higher than those of T1.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alues of T4 and T5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s (p<0.05). With regards to sensory characteristics, T1 and T2 showed overall acceptability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s (p>0.05). The results reported in this study show that Tteokgalbi with black rice bran and any one of the four organic acids listed above not only improved quality characteristics in cooking loss, WHC, lipid oxidation but also could successfully replace the synthetic caramel colorant. Overall, the most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by adding black rice bran and ascorbic acid.

Comparative Studies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Nutritional Constituents of Persimmon Juice (Diospyros kaki L. cv. Gapjubaekmok)

  • Lee, Jin-Hwan;Lee, Yong-Bok;Seo, Woo-Duck;Kang, Su-Tae;Lim, Jong-Woo;Cho, Kye-M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41-151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ies and nutritional components, including phenolic acid, catechin, organic acid, sugar, and amino acid, of persimmon juice from persimmons grown in different regions around Korea. Persimmon (Diospyros kaki) exhibits potent antioxidant effects in DPPH, ABTS, reducing power, and FRAP methods of analysis. The levels of nutritional constitu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he samples. In particular, tartaric acid, glucose, gallic acid, epicatechin gallate and aspartic acid were observed to be the predominant component for each of their general chemical groups, with total average contents of 1876.51 mg/kg, 62.69 g/kg, 12.73 mg/kg, 208.99 mg/kg, and 31.84 mg/100 g, respectively. Interestingly, persimmons from the Hadong region presented the highest sugar (130.60 g/kg), phenolic acid (42.27 mg/kg), and catechin (527.97 mg/kg) contents in comparison with other regional samples. Moreover, this location exhibited the greatest antioxidant activity with highest total phenolic (298.01 mg GAE/kg) and flavonoid (32.11 mg/kg RE) contents. Our results suggest that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of persimmons correlate with high phenolic acid and catechin contents, particularly gallic acid and epicatechin gallate. Additionally, these two compounds may be key factors when considering the useful ingredients of persimmon.

유기산을 이용한 pH 조절 처리가 잎새버섯 자실체 발이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Acid Addition on Fruiting Productivity and Primordium Formation in Grifola frondosa)

  • 김정한;장명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33-240
    • /
    • 2019
  • 잎새버섯 안정생산을 위하여 배지의 pH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유기산을 이용한 pH 조절 및 적정 첨가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혼합배지에 4종의 유기산(구연산, 호박산, 사과산, 주석산)를 5수준(0.5, 1, 1.5, 2, 2.5, 3%)으로 처리하여 균사생장정도를 측정한 결과 유기산 0.5% 수준에서 균사생장이 빨랐으며, 그 중에서도 호박산이 가장 우수하였다. 유기산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혼합배지의 pH는 낮아지는 경향으로 배양기간 경과에 따라 대조구의 pH는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유기산 처리구는 유지되는 경향이었다. 발이율은 0.5%의 농도에서 호박산이 95%, 구연산 92.5%, 사과산과 주석산 80%로 대조구의 60%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유기산의 농도가 1% 이상에서는 발이가 지연되거나 억제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배양기간은 유기산 0.5% 처리구가 30~34일로 대조구의 35일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재배기간은 0.5% 호박산이 52일, 0.5%의 구연산과 사과산이 54일, 0.5%의 주석산이 52일로 대조구의 59일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병당 수량성은 0.5%의 호박산과 구연산 첨가 시 각각 121 g, 107 g으로 가장 우수하였고 대조구의 87.5 g에 비해 21~37% 증수되었다.

몇 가지 채소와 약용 식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물 복합 추출물의 영양학적 특성과 생리기능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Polyplant Extracts from Some Vegetables and Medicinal Plants)

  • 김현경;이은나;금종화;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10-415
    • /
    • 2008
  •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ies of the polyplant extracts(PPE) from the extraction of various plants were assess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functional food. The PPE contained 42.95 g of glucose, 22.61 g of fructose, and 12.48 g of sucrose per 100 g of PPE as free sugar, and its reducing sugar contents was measured at 480.6 mg per g of PPE. Among free amino acids, proline contents was the highest at 0.58 g per 100 g of PPE, and it contained only 12.65 mg of malic acid and 6.92 mg of tartaric acid per g of PPE as an organic aci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PE was the highest at 91.6%, whereas SOD-like activity and xanthin oxidase inhibitory activity, which are associated with anti-aging effects, were 21.6% and 9.3%, respectively.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was 10.0% and anti-dementia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was quite low(5.1%).

시판 건조김의 유기산, 비타민 및 유리당 함량 (Studies on Organic Acid, Vitamin and Free Sugar Contents of Commercial Dried Lavers (Porphyra yezoensis) Cultivated in Korea)

  • 박욱민;강동수;배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72-177
    • /
    • 2014
  • 시판 건조김의 유기산, 비타민 및 유리당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기산 함량은 100 g당 malic acid가 1,238.67~1,437.00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oxalic acid가 1,021.67~1,309.67 mg, citric acid가 1,035.67~1,247.33 mg, succinic acid가 1,001.00~1,146.00 mg, tartaric acid가 902.00~1,107.00 mg, lactic acid가 862.67~1,070.67 mg의 범위였고 산지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으며(P<0.05), acetic acid는 370.33~421.67 mg으로 산지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비타민 A와 ${\beta}$-카로틴의 함량은 100 g당 서천이 0.286 mg, 완도가 22.19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비타민 $B_1$, $B_3$$B_{12}$ 함량은 100 g당 고흥이 9.79 mg, 19.15 mg 및 1.77 mg으로 가장높았고, 비타민 $B_2$, $B_6$$B_9$ 함량은 완도가 4.55 mg, 2.36 mg 및 2.17 mg으로 가장 높았다. 비타민 C와 E의 함량은 100 g당 완도가 219.33 mg과 1.75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부산이 215.01 mg과 1.58 mg, 서천이 211.03 mg과 1.57 mg, 고흥이 209.11 mg과 1.55 mg의 순으로 산지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P<0.05). 유리당 함량은 100 g당 galactose가 214.27~347.72 mg으로 가장 많았고 glucose가 59.10~71.69 mg, fucose가 37.86~54.34 mg, mannose가 6.26~14.65 mg의 순으로 높았다.

제주좁쌀약주의 품질개선을 위한 선발균주에 의한 양조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eju Foxtail Millet-wine by Isolated Alcoholic Yeast and Saccharifying Mold)

  • 김지용;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85-91
    • /
    • 2004
  • 제주민속주인 좁쌀약주의 제조를 위하여 전국에서 수집된 35종의 누룩으로부터 분리하여 선발한 균주를 사용하여 균주와 원료 배합비율에 따른 누룩을 제조한 후 양조과정에서의 발효특성을 검토하였다. 좁쌀주의 유기산은 lactic acid와 acetic acid가 대부분이었고, 이외에 citr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fumaric acid도 일부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glucose와 arabinose, maltose가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외에 xylose도 일부에서 검출되었다. 향기성분은 iso-amyl alcohol, iso-butyl alcohol, n-propyl alcohol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외에 ethylacetate, acetaldehyde가 검출되었다. iso-buthyl alcohol과 n-propyl alcohol 대조구인 국순당 누룩이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iso-amyl alcohol은 펠릿 형태로 제조한 누룩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수균주로 분리하여 제조한 누룩을 사용하여 좁쌀약주를 양조하는 경우, 품질을 유지하면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열풍건조 및 데침 처리에 따른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의 항산화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Antioxidant and Physicochemical Changes in Salvia plebeia R. Br. after Hot-air Drying and Blanching)

  • 정지숙;김용주;최보름;고근배;손병길;강석원;문승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93-900
    • /
    • 2014
  •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 나물을 열풍건조 및 데침 처리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의 총 폴리페놀 함량 94.64 mg/g이었으며, 데친 후에는 48.40 mg/g으로 감소하였다.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9.70 mg/g이며, 데친 후에는 22.10 mg/g으로 감소하였다. 농도 비례적으로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25{\mu}g/mL$ 농도에서 ascorbic acid, 열풍건조 및 데친 후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가 각각 94.5%, 84.3% 및 59.7%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당 함량은 각각 7,187 mg/100 g과 6,104 mg/100 g으로 데친 후에 감소하였다. 데치는 과정 중 sucrose와 maltose는 감소하고 glucose와 fructose는 증가하였다.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이었으며, 데친 후에는 succinic acid가 감소한 반면에 citric acid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Glucose와 fructose는 citric acid의 생성에 영향을 주며, sucrose와 maltose는 tarta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의 생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4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methionine, lysine, glycine, histidine, cystine은 검출되지 않았다. 배암차즈기는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다른 종류의 나물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나,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가 61.76%로 필수아미노산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열풍건조 배암차즈기는 비아미노산인 norvaline과 GABA가 각각 1.40 mg/100 g과 39.00 mg/100 g으로 상당량 검출되었다. 따라서 항산화 효과 및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배암차즈기는 나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레몬그라스 식초의 초산발효 특성과 항산화 활성 (Acetic acid fermentation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mongrass vinegar)

  • 이미란;강창희;부희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80-687
    • /
    • 2017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재배된 레몬그라스를 활용한 식초의 초산발효 특성과 품질특성 그리고 항산활 활성을 알아보았다. 레몬그라스를 고두밥대비 5% 첨가한 현미주정을 제조한 결과 알코올 함량이 7.2%였다. 여기에 초산균인 Acetobacter sp. RIC-V 종초를 10% 가하여 초산발효하여 레몬그라스 식초를 제조하였다. 초산발효 결과 pH가 3.62에서 3.13으로 낮아졌으며, 총산도는 1.43%에서 7.21%로 증가하였다. 레몬그라스 식초의 유리당 분석결과 fructose가 0.81 g/100 g으로 나타났고, glucose, sucrose, mal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 분석결과는 acetic acid가 3,658.58 mg%로 가장 높았으며, citric acid, lactic acid가 각각 214.66 mg%, 159.44 mg%로 나타났고, malic aicd, tartaric acid, oxalic acid 모두 소량 함유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glutamic acid가 0.233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histidine, alanine, proline, aspartic acid이 각각 0.129 g/100 g, 0.113 g/100 g, 0.103 g/100 g, 0.069 g/100 g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는 레몬그라스 식초와 레몬그라스 무첨가 식초가 각각 $568.6{\mu}g\;GAE/mL$, $490.9{\mu}g\;GAE/mL$이며, 레몬그라스 식초에 레몬그라스 분말과 추출물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높아져 레몬그라스 분말 5% 첨가군이 $895.7{\mu}g\;GAE/mL$로 가장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레몬그라스 식초와 레몬그라스 무첨가 식초 2.5%농도에서 각각 58.0 43.2%로 분석되었으며, 이 또한 레몬그라스 분말과 추출물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높아져 레몬그라스 분말 5% 첨가군이 91.0%로 가장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결과 레몬그라스 식초는 총산도 7.21로 높고, 유기산, 아미노산 함량이 우수하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고품질의 기능성 식초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