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rtaric acid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초

자색고구마 색소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Purple Sweet Potato)

  • 이란숙;임종환;김선재;정병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52-359
    • /
    • 1996
  • 새로운 천연식용색소원으로 기대되는 자색고구마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자색고구마 색소에 대한 pH, 당, 유기산, 금속이온, ascorbic acid및 광 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색고구마 색소는 pH가 낮을수록 색깔의 강도가 높고 안정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 pH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흡수파장이 장파장쪽으로 이동하는 bathochromic shift 현상을 나타냈다. 첨가한 당류 중 glucose는 색소의 안정성에 기여하였으며, sucrose와 fructose는 역효과를 나타냈다. 유기산의 첨가는 색소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ctric acid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다음으로 mal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금속이온은 색소의 안정성을 떨어뜨렸으나, $Al^{3+}$$Cd^{2+}은 자색고구마 anthocyanin색소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corbic acid는 색소의 안정성을 저해하였으며 산소 존재하에서는 그 정도가 컸다. 자색고구마 색소의 안정성은 광에 의해 크게 저하되었는데, 형광보다 일광에 대한 영향이 더 켰으며, 저장시 광을 차단함으로써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 PDF

포도과즙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산도 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acidity vinegar prepared with grape juice)

  • 우승미;여수환;권중호;김선화;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0-10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산도 식초 생산 기술을 대체하고자 포도과즙을 이용하여 적정산도 10% 이상의 식초 제조조건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초기 알코올 함량에 따른 고산도 초산발효에서는 초기 알코올 함량 6%에서 적정산도 12%의 고산도 식초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초기 알코올 함량이 높을수록 유도기가 길어져 초산수율이 감소하였다. pH는 구간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고, 당도는 1단계 초산발효(1st AAF)까지 초기 알코올 함량에 비례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2단계 초산발효(2nd AAF)기간 동안에는 초기 알코올 6% 첨가구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고산도 포도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tartaric, malic 및 cit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유가식 첨가량 및 초산 발효수율 차이로 인하여 초기 알코올 함량이 낮을수록 높게 검출되었다. 미량 알코올 중 ethyl alcohol을 제외한 성분은 극소량으로 검출되어 초기 알코올 함량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고, ethyl alcohol은 364~581 ppm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포도 알코올 발효액(초기 알코올 함량 6%)를 이용하여 일체의 영양원을 첨가하지 않고 총산도 12%의 고산도 식초 제조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초산수율 향상 및 유가식 첨가에 의한 발효기간 단축에 관한 보완 연구가 요구되었다.

시판 과일식초의 발효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Fruit Vinegars with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 김경오;김성미;김수미;김동영;조덕조;여수환;정용진;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36-742
    • /
    • 2013
  • 시판 과일식초를 발효 방법에 따라 초산발효만 진행된 A 타입과 알코올 및 초산발효가 진행된 B 타입으로 나누어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A 타입 식초는 B 타입 식초에 비해 pH는 낮게, 총 산도는 다소 높게 확인되어 발효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었다.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은 B 타입 식초에서 비교적 높게 확인되었고, 이는 제품에 첨가된 각 과즙 함량의 차이로 사료되었다. 갈색도 및 색도의 비교에서는 B 타입에서 갈색도, 적색도, 황색도가 더 높게 측정되어 식초의 색이 더 진해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판 과일식초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의 순으로 검출되었고, 총 함량은 B 타입에서 다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판 과일식초의 유기산은 acetic acid 외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전체 함량은 A 타입 식초에서 다소 높게 확인되었다. 또한 존재하는 유기산의 함량을 통해 원료에 함유된 원료과즙의 함량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B 타입 식초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고,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칼슘용해에 미치는 유기산의 영향 (Effects of Organic Acids on Solubility of Calcium)

  • 장세영;박난영;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01-50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유기산을 이용하여 칼슘 용해에 미치는 영향과 칼슘종류에 따른 용해특성을 조사하였다. 유기산종류에 따른 영향을 조사한 결과 해조칼슘은 초산과 젖산에서 잘 용해되었으나 구연산에서는 초기산도 4%이상에서 용해되었으며 주석산에는 칼슘이 용해되지 않았다. 초산과 젖산을 이용하여 칼슘종류에 따른 용해특성을 조사한 결과 초기산도가 높을수록 pH와 잔사량은 낮게, 적정산도는 높게 나타났다. 칼슘함량은 탄산칼슘과 해조칼슘에서 높았으며 젖산보다 초산이 칼슘가용화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매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yl Acetate Extract of the Dried Prunus mume on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 양미옥;배지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41-248
    • /
    • 2002
  • The dried Prunus mume, an alkaline food abundant in organic acids (citric acid, malic acid and tartaric acid), has been largely used in both folklore remedies and Chinese herbal medicine for a long tim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dried Prunus mume. The fractionation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Prunus mume was conducted using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respectively.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runus mume extracts was then determined against food-borne pathogens using a paper disc method. The ethyl acetate extract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eigth food-born pathogens used in this present study. Diaion HP 20 column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to remove some sugars that might inhibi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runus mume.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Prunus mume was shown against Staphylococus aureus. The growth inhibition curve was determined using ethyl acetate extracts of Prunus mume against Staphylococus aureus, which showed the growth inhibition up to 72 hours at 1,000 ppm concentration.

  • PDF

한국산 유색감자 색소의 특성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Korean Purple - Fleshed Potatoes)

  • 박홍주;전태욱;이성현;조용식;조수묵;장규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44-1551
    • /
    • 2004
  • 유색 감자(PL-6, PL-28, PL-31과 Jasim)에 함유된 수용성 색소인 anthocyanin의 pH, 당, ascorbic acid, 유기산과 광원에 대한 색소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pH는 유색감자의 anthocyanin 색소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pH가 낮을수록 색도가 높고 안정하였으며 pH가 높아질수록 색소 파괴가 많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색 감자의 anthocyanin 색소에 당 첨가 시 저장 기간동안 점차적으로 색소가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rtaric, citric, succinic acid와 같은 대부분의 유기산은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을 개선시킨 반면 malic, malonic acid는 색소의 안정성을 감소시켰다. 유기산 중 하나인 ascorbic acid만을 첨가했을 때 anthocyanin 색소 안정성은 계속 감소하였으나 thiourea를 함께 사용한 경우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 유지에 효과가 있었다. 암실, 형광 그리고 햇빛에 대한 유색감자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은 점차 감소하며 빛으로부터 색소를 차단함으로서 색소분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itis vinifera 적포도의 성숙중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during the Maturation of Vitis vinifera Red Grapes)

  • 이용수;최진상;심기환;조용학;김전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0-195
    • /
    • 1993
  • Vitis vinifera 적포도의 성숙중 brix, 총당, 유기산, 총산, pH 및 유리아미노산 등의 함량변화를 HPLC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숙중 당류는 당이 생성되기 시작한 후 21일 경과할 때까지 급증하였으며, 그 후 증가속도는 둔화되었고, 산류는 이와 반대 현상을 보였다. 성숙된 포도의 성분함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brix 16.5~17.9, 총당 14.76~16.40g/100ml, pH 3.24~3.25 및 총산 0.88~0.928/100ml이었다. 성숙중 brix/acid의 비는 점점 증가하여 성숙된 포도에서 Cabernet sauvignon 18.7, Cabernet franc 20.4 및 Malbec 18.1을 보였다. 성숙된 포도의 F/C의 비율은 1.04~1.06으로 3가지 품종에서 비슷하였고, tartaric/malic acid 비율은 0.83~1.00이었다. 성숙중 유리아미노산은 점점 증가하여 품종별 성숙된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256.8~290.9mg/100ml의 분포였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에서 3 품종중 가장 많이 함유된 것은 proline이었고, 그 다음으로 arginine, alanine 및 glutamic acid의 순이었으며, 이들 4가지의 아미노산이 총유리아미노산의 73.2~77.2% 범위 였다. 특히 Malbec 품종의 경우 다른 두 품종에 비하여 arginine의 함량이 비교적 많았다.

  • PDF

상수리 상실(橡實) 성분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제II보 상수리 성분의 항산화 효과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of Acorn(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Components;II. Antioxidant Effect of Acornic Compound)

  • 신두호;조정순;정승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3-109
    • /
    • 1993
  • Acornic powder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ethylacetate to obtain a crude acornic compounds. And they were examined concerning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or linoleic aci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ydrogen donating activity for DPPH was higher in 100ppm acornic compound than 100ppm BHT and 100ppm ${\alpha}$-tocopherol. 2. When the 100ppm acornic compound was added to linoleic acid, which was heated at $50^{\circ}C$ for 48 hours, antioxidant activities by POV and TBA was higher than that of 100ppm ${\alpha}$-tocopherol, but the effect was almost the same as the 100ppm BHT. 3. Antioxiodant activity of acornic compound showed synergistic effect along with m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alanine, arginine, histidine, lysine-HCl, galactose, maltose, glucose and sucrose. 4. Acornic compound inhibited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induced by heavy metals.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aebong Persimmon (Diospyros kaki cv. Hachiya) Peel Vinegars

  • Seong, Gi-Un;Hwang, In-Wook;Chung, Shin-Kyo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240-244
    • /
    • 2013
  • To evaluate utilization of persimmon peels as novel bio-materials, the gener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aebong persimmon vinegar (DPV), Daebong persimmon peel vinegar (DPPV) and commercial persimmon vinegar (CPV) were investigated. The pH of DPPV ha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negars. The titratable acidities of vinegars were 3.24% (DPV), 2.77% (DPPV) and 7.78% (CPV), respectively. The reducing sugar contents showed that DPV ha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negars. The browning degree of DPV was lower than CPV in contrast to the turbidity. The results of Hunter's color value have showed that overall values of CPV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DPPV and DPV.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DPV and CPV were 19.49 and 17.13 mg/100g GAE,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DPPV (8.04 mg/100g CE) were two fold higher than that of DPV (3.85 mg/100g CE). The antioxidant activities, by DPPH and FRAP assays, of DPV showed stronger than those of other vinegars. Free sugars were mainly composed of fructose and glucose. Organic acids were presented in the order acet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and oxal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aebong persimmon peels could be utilized for vinegar production as a health-benefit material.

매실 품종과 수확 시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Flavor Components of Ume According to Varieties and Picking Date)

  • 송보현;최갑성;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7-85
    • /
    • 1997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optimal picking time and the favorate variety for Ume processing.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flavors of 6 varieties of the Ume were investigated during maturing. Average weight of the fruit increased to the range of 151-292% from 70 days to 90 days after blooming. The hardness of fruit decreased during maturing and Koume variety was not suitable for processing among the last harvesting samples. Moisture and ash were reached to 89-91%, 0.57-0.69%, respectively, and the ash content increased during maturing. Among the Ume varieties, relatively high content of total acid was observed in Oshuku and Koume. The major organic acid were malic, citric, succinic, and tartaric acid. The content of malic acid de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citric acid increased during maturing. Thirty five kinds of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the Ume fruit and main components wer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and organic acid derivatives. Koume contained a large amount of flavor components among the Ume and the content increased during matur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