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rdigrada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 육상 이완보류(Heterotardigrada , Tardigrada) (Terrestrial Heterotardigrada (Tardigrada) from Korea)

  • 김훈수;문승녀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권1호
    • /
    • pp.47-56
    • /
    • 1988
  • 한국 육상성 이완보동물(Heterotardigrada, Tardigrada)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5년 4월부터 1987년 10월까지 전국 각 지역에서 채집된 이끼와 지의류를 조사한 결과, 이 중 14개 지소에서 표본들을 열었고 동정한 결과 10종의 육상 이완보류가 확인되었다. 이들에 대한 그림과 아울러 기재 또는 특기 (remarks )를 기록하였는바 2종을 제외한 나머지 8종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들이다.

  • PDF

한국산 진완보류(Eutardigrada , Tardigrada) (Eutardigrada(Tardigrada) from Korea)

  • 문승녀;김훈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2호
    • /
    • pp.87-96
    • /
    • 1988
  • 1985년 4월부터 1988년 2월 사이에 전국 각 지역에서 채집된 이끼와 지의류 및 연못과 강의 저질등을 조사한 결과, 이중 36개 지소에서 8종의 진완보류(Eutardigrada)가 확인되었다. 본 8종은 모두 한국 미기록종인 바 이들에 대하여 기재하였고 아울러 도판을 작성하였다.

  • PDF

한국산 쌍소(雙巢) 윤충류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the Digonont Rotifers of Korea)

  • 송민옥;김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1호
    • /
    • pp.53-59
    • /
    • 1996
  • 1994년 1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강릉대학교 인근의 이끼, 지의류, 부니질, 비온후 에 형성된 물 웅덩이 등에서 채집된 쌍소 윤충류를 동정한 결과 Rotaria tardigrada, Macrotrachela quadricornofera quadricormifera, Macrotrachela quadricormifera scutellata, Adineta vaga minor, Adineta steineri의 2과 2종 및 3아종들이 확인되어 이들을 모두 재기 재하고 도판을 작성하였다. 이것은 한국 최초의 쌍소 윤충류에 대한 분류학적 기록이다.

  • PDF

Partial Mitochondrial Gene Arrangements Support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ardigrada and Arthropoda

  • Ryu, Shi Hyun;Lee, Ji Min;Jang, Kuem-Hee;Choi, Eun Hwa;Park, Shin Ju;Chang, Cheon Young;Kim, Won;Hwang, Ui Wo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3호
    • /
    • pp.351-357
    • /
    • 2007
  • Regions (about 3.7-3.8 kb) of the mitochondrial genomes (rrnL-cox1) of two tardigrades, a heterotardigrade, Batillipes pennaki, and a eutardigrade, Pseudobiotus spinifer, were sequenced and characterized. The gene order in Batillipes was $\underline{rrnL}-\underline{V}-\underline{rrnS}-\underline{Q}-\underline{I}$-M-nad2-W-$\underline{C}-\underline{Y}$-cox1, and in Pseudobiotus it was $\underline{rrnL}-\underline{V}-\underline{rrnS}-\underline{Q}$-M-nad2-W-$\underline{C}-\underline{Y}$-cox1. With the exception of the trnI gene, the two tardigrade regions have the same gene content and order. Their gene orders are strikingly similar to that of the chelicerate Limulus polyphemus (rrnL-V-rrnS-CR-I-Q-M-nad2-W-C-Y-cox1), which is considered to be ancestral for arthropods. Although the tardigrades do not have a distinct control region (CR) within this segment, the trnI gene in Pseudobiotus is located between rrnL-trnL1 and trnL2-nad1, and the trnI gene in Batillipes is located between trnQ and trnM. In addition, the 106-bp region between trnQ and trnM in Batillipes not only contains two plausible trnI genes with opposite orientations, but also exhibits some CR-like characteristics. The mitochondrial gene arrangements of 183 other protostomes were compared. 60 (52.2%) of the 115 arthropods examined have the M-nad2-W-C-Y-cox1 arrangement, and 88 (76.5%) the M-nad2-W arrangement, as found in the tardigrades. In contrast, no such arrangement was seen in the 70 non-arthropod protostomes studied. These are the first non-sequence molecular data that support the close relationship of tardigrades and arthropods.

Two New Marine Tardigrades from Palawan Island, the Philippines

  • 창천영;노현수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3호
    • /
    • pp.419-423
    • /
    • 1997
  • Two new marine tardigrades, florarctus kwoni n. sp. and Batillipes philippinensis n. sp. belonging to Halechiniscidae and Batillipedidae, respectively,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specimens sieved from sublittoral coral sands and shell gravels of Palawan Island, the Philippines. florarctus kwoni n. sp. is characterized by the rocket-shaped aliform expansion, with the distal margin of posterior ala flattened. Batillipes philippinensis n. sp. closely resembles B. similis Schulz, 1955 and B. annulatus De Zio, 1962. However, it is clearly discernible from the former by the shape of lateral body projection between leg III and leg IV, and the relative length of cirrus E and the spine on leg IV, and from the latter by the shape of the lateral body projection and the clavar shap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marine tardigrades from the Philippines.

  • PDF

대종천 河口의 모래틈에서 채집한 Isohypsibius속의 완보류 1신종 (Isohypsibius granditintinus, a New Psammobenthic Tardigrade from an Estuary of South Korea)

  • 장천영;노현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3호
    • /
    • pp.245-252
    • /
    • 1996
  • 경북 경주시 양북면 대본리 대종천 하구 침수역의 모래틈에서 진완보류 1신종, Isohypsibius granditintinus(Hypsibiiidae과)가 채집되어 기재한다. 본 신종은 각피에 과립형 돌기가 배열하지 않는 무리에 속하는, 인두구의 macroplacoids의 수가 3개이고 microplacoid 가 없는 점, lunule과 cuticular bar가 없고 곁가시를 가진 바깥쪽 발톱이 매우 신장되어 있 는 점 등의 형질조합이 Isohypsibius속 내의 여타 유사종들의 경우와 뚜렷하게 다르다.

  • PDF

한국산 완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한국산 완보류 5미기록종 (Systematic Study on the Tardigrades from Korea : New Records of Five Tardigrade Species from Korea)

  • 문승여;김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2호
    • /
    • pp.225-232
    • /
    • 1991
  • 1985년 8월부터 1991년 7월까지 남한의 여러 지점에서 채집된 완보류를 조사한 결과 이 중 7개 지역에서 Cornechiniscus lobatus, Pseudechiniscus junitae, Hypsibius microps, Diphascon prosirostre, Itaquascon trinacriae의 5종의 한국 미기록 종이 발견되었다. 본 미기록 종들에 대하여 기재하고 도판을 작성하였다.

  • PDF

한국산 해양 완보류의 분류학적 연구 II. 바다가시곰벌레속 (이완보강. 마디곰벌레목. 바다가시곰벌레과) (Taxonomic Study of Marine Tardigrades from Korea II. Genus Halechiniscus (Heterotardigrada, Arthrotardigrada, Halechiniscidae))

  • Chang, Cheon-Young;Park, Hyun-S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1호
    • /
    • pp.91-98
    • /
    • 2002
  • 바다가시곰벌레속 (Halechiniscus)에 속하는 해양완보류 2종 (H. Jejuensis, H. remanei)을 보고한다. 신종인 제주가시곰벌레 (H. Jejuensis)는 몸통 측돌기의 위치와 모양, 제4다리 기부에 난 유두형의 감각톤기의 모양, 그리고 머리의 전단부가 두 갈래로 갈라져 있지 않은 점에서 본 속의 다른 종들과 뚜렷이 구별된다. 지금까지 바다가시곰벌레속에 기록된 9종에 대한 종검색표를 새롭게 작성하였다.

절지동물 계통에 관한 논쟁 (On the Debates of Arthropod Phylogeny)

  • 황의욱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1호
    • /
    • pp.165-179
    • /
    • 2002
  • 백만종을 넘어 천만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절지동물 (Phylum Arthropoda)은 지구상에 현존하는 가장 번성한 동물군 중의 하나로서 캠브리아기 생물의 빅뱅 이후 급변하는 환경속에서도 멸종의 길을 걷지 않고 성공적으로 살아남아 오늘날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다. 멸종한 절지동물인 삼엽충(Trilobita)을 제외하면, 현재 서식하고 있는 절지동물들은 다섯 아문으로 나누어진다: 육각류(Hexapoda), 갑각류(Crustacea), 다지류(Myriapoda) 협각류 (Chelicerata), 바다거미류(Pycnogonida), 계통분류학자들은 절지동물과 인접분류군들 (arthropod relatives) -유조동물(Onychophora), 완보동물(Tardigrada), 오구동물(Pentastomida)-의 상호 유연관계와 선구통물 내에서의 계통학적 위치들, 절지동물의 단계통성 혹은 다계통성, 절지동물의 주요 다섯 아문들 간의 계통유연관계 등에 관한 논쟁들을 지난 세기 내내 이어왔다. 최근에 선구등불을 크게 탈피동물 (Ecdysozoa)과 촉수담륜동물 (Lophotrochozoa)로 나누고 탈피동물 내에서 절지동물의 인접분류군 중의 하나가 선형동물 (Nematoda)일 수 있다는 새로운 동물 계통이 발표된 바 있다. 본 종설에서는 이 체계를 기본으로하여 선구동물 내에서의 절지동물과 그 인접분류군들의 계통학적 위치 및 상호유연관계를 우선적으로 언급하므로서 문(Phylum) 준위에서의 절지동물 계통에 관한 논쟁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 연후에 적지동물의 단계통성에 관한 논쟁, 절지동물 주요 네 그룹 (아문)간의 계통유연관계에 관한 논쟁들에 초점을 맞추어 논하고자 한다. 절지동물의 주요 다섯 아문 중 하나인 바다거미류 (상대적으로 작은 분류군임)의 경우, 다른 주요 네 그룹 (Euarthropoda)의 자매 군으로서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절지류인지, 아니면 협각류의 자매군인지가 논란이 되고는 있을지라도 본 종설에서는 비중있게 다루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