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lented in invention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9초

발명영재상 수립을 위한 발명영재의 특성 이해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Invention fo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Gifted in Invention)

  • 이재호;박경빈;진석언;류지영;이상철;안성훈;진병욱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551-573
    • /
    • 2012
  • 발명영재가 누구인지,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정확히 밝히는 일은 발명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새로운 분야로서 그 이론적 근거를 수립하는 단계에 있는 발명영재교육의 기초이론 연구로서 발명영재상의 수립을 염두에 두고 발명영재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그동안 국내외에서 수행된 영재교육 및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발명영재의 특성을 위계적인 구조로 1차 제시하였고, 이에 대해 발명영재, 학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타당성 검토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Gardner의 미래 마인드 개념을 이론적 틀로 하여 25개 특성요인과 80개의 특성요소로 발명영재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발명영재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장기적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전문가 검토 및 측정학적 정교화 등의 추가적인 타당화 연구를 통해 발명영재들의 교육을 위한 튼튼한 이론적 기반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방향 탐색 (Suggestions for Invention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rofessionals Related to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 박기문;이규녀;이병욱;나영민;이경표;손다미;이상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21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영재교육의 문제점 개선과 확대 발전하기 위하여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명영재교육 체제와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발명영재학급 또는 영재교육원 소속의 발명영재 교원과 발명영재 관련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발전방안 등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보통(M=3.0)이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교육 자료', '교원대상 연수프로그램', '지원기관의 인 물적 지원체제' 분야에서는 다소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는 발명영재교육의 발전과 효율성을 위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구심점 역할의 연구 전문기관을 지정 또는 설립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 결과, 발명영재교육 전문 연구기관에 대한 필요성과 기대감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특히 전문 연구기관의 중점 요구분야는 '영재교육 방법 및 자료의 연구 개발', '교원 연수 자료의 연구 개발 및 연수 실시'이다. 셋째,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은 현재 발명영재교육을 수혜하는 학생들이 9개의 발명영재의 특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느냐 하는 질문에 대하여 발명 지식과 사고 영역의 '발명 지식'과 발명 태도 영역의 '기업가 정신' 은 다소 낮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발명영재 선발 모형에 대한 검토뿐만 아니라 낮게 나타난 특성을 배양할 수 있는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발명영재들의 ICT 관련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Conceptions Toward ICT in Students of Giftedness in Invention Classes)

  • 이재호;박경빈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463-477
    • /
    • 2014
  • 2013년 발명영재교육을 받는 대전과 경기도 지역의 중고등학생 147명을 대상으로 ICT 관련 인식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발명영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ICT 관련 인식에 대한 설문문항은 3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ICT 관련 인식 조사 결과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발명영재들은 ICT는 매우 중요하며 미래에는 그 중요성이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자신의 발명 활동에서 ICT를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발명영재들은 자신의 ICT 역량을 '보통' 수준으로 생각하였으며, 발명 활동에서 사용하는 ICT 활용용도 또한 초보적인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명영재들이 ICT 관련 교육을 체계적으로 받을 기회가 없었던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발명영재들은 단순 활용 과정부터 프로그램 개발 과정까지 다양한 ICT 관련 내용을 교육 받고자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발명영재들은 더 좋은 발명을 위하여 ICT 관련 내용이 발명 영재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그 내용은 산출물 제작부터 프로그래밍 개발까지 다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조사결과와 최근 ICT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ICT 강국이라고 하는 우리나라의 창의적 SW 개발 역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관점을 바탕으로 발명영재를 위한 교육내용에 ICT 관련 주제의 발굴 및 SW 교육과 발명영재교육의 연계가 필요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역공학 교육방법을 활용한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RSP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을 중심으로 (Developing the Education Program for Invention Gifted Students by Reverse Engineering Teaching Method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RSP program))

  • 안덕근;박경빈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731-747
    • /
    • 2015
  • 본 연구는 창조의 시대를 맞아 발명영재 학생의 창의력을 신장하기 위한 역공학 교육방법을 활용한 RSP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RSP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을 발명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본 프로그램이 발명영재 학생의 창의적 사고 기능 및 학업수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RSP 발명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명 영재 학생을 위한 RSP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가 연계성 있게 구성되어 발명영재의 창의적 사고 기능 및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TRIZ의 발명원리를 기초로 역공학 교육방법을 활용한 RSP를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였으므로 향후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치가 있을 것이며, 발명영재교육의 구체적인 실천 프로그램으로 현장에서의 활용성과 효율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업영재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Entrepreneurial Gifted)

  • 최민경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1117-1145
    • /
    • 2013
  • 기업영재에 대한 연구는 최근 새롭게 떠오른 분야로서 날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영재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탐색을 통해 기업영재의 개념에 대해 전반적으로 개관하고 저자 나름의 견해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이어질 기업영재의 학술적 기반 확립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그간 기업영재를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 연구 문헌을 분석하여, 기업영재의 생애 초기 개인 및 환경 특성, 기질 및 성격 특성, 인지 특성, 진로 및 흥미특성을 종합하였다. 둘째, 기업영재 관련 연구에서 우선적으로 고찰해야 할 연구 분야로 기업가, 잠재적 기업가, 발명영재 등 기업영재 제 유사 개념, 기업가정신, 생애발달, 그리고 관리능력 및 실용 지능과 같은 능력 요소를 제안하고, 이들 분야와 기업영재와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업영재의 개념적 정의는 '기회 추구 및 혁신을 위해서는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고 인력 및 자원에 대한 관리-조정 잠재력이 뛰어난 자'이다. 논의에서는 기업영재 연구가 현재의 교육 및 정책에 제시하는 함의를 검토하였다.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과학영재에 대한 고찰 (Review on Science and Invention-gifted Students Having Social and Emotional Problem)

  • 류은주;김정은;백성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659-68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발명 영재학생들의 사회-정서적 어려움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해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 영재학생들은 낮은 자아 존중감으로 또래 관계 맺기, 의사소통과 협동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자신의 스트레스 처리능력, 다중처리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영재교육원, 가족, 학교로부터의 과도한 기대로 인해 자신의 영재성에 대한 의심, 자아 정체성의 혼란, 진로에 대한 고민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영재교육의 학업적 성취와 인지활동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영재들이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영재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영재교육에 학생들이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개별화된 영재상담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과 관련된 경험 및 배경 조사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towards Science)

  • 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59-6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towards science. Subjects are 120 ordinary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75 participators in invention club and science camp for talented students in a metropolitan city. A questionnaire for investigating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Images about scientist was developed. That contains the items for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experiences towards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think scientist is younger than the previous students thought. But as yet, the representative image of scientist is the neat man with glasses and gown. Also, a majority of elementary students like science, science subject and science classroom, especially experiment activity. They have various experiences related in science.

  • PDF

골드버그 장치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oldberg Device Learning Program on Creative Personality of the Primary Gifted Students)

  • 김영준;손정우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451-46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골드버그 장치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을 통하여 창의적 인성 개념을 도출하였고,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연구대상인 초등 영재학급 18명과 발명동아리 20명에게 적용하였다. 창의적 인성의 구성요소는 8개 하위 요인 즉, 인내 집착, 자기확신, 유머감, 호기심, 상상력, 개방성, 모험심, 독립성으로 구성된다. 창의적 인성 검사는 수업 전후에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드버그 장치 수업 프로그램은 8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창의적 인성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향상 효과가 있었다. 둘째, 영재학급에 비해 발명동아리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 향상 폭이 더 컸다. 따라서 골드버그 장치 수업프로그램은 다양한 과학적 원리를 습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창의적 인성에 효과가 있다.

초등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분석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Gifted in the Elementary Invention)

  • 맹희주;서혜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1003-10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초등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교사와 학생들간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여 교수-학습 상호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발명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들의 과반수 이상이 발명에 관심이 많아 자발적으로 발명 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자교사들은 의무적으로 담당하거나 여학생들의 경우 부모님이나 교사의 권유로 참여하게 되었다는 응답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명영재 담당 교사들은 발명의 필요성이나 기초 지식, 창의적 아이디어 창출에 관한 수업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다고 생각하나, 학생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교사들의 교수에 대한 인식보다 학습은 적게 일어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교수-학습의 괴리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호 평가와 발표, 토론 등의 활동은 교사의 교수의도와 다르게 학생들의 학습에서 잘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발명영재 담당교사들과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나타나는 괴리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교수-학습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발명영재 수업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기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에 대한 뇌영상 연구 (An fMRI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reativity and Emotional Susceptibility)

  • 조선희;이민주;최유용;김희백;이건호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03-5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고등학교 과학발명반집단(n=13)과 일반 고등학생집단(n=13)을 대상으로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을 제시하고 뇌활동성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외 창의력 경진대회 수상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과학발명반집단은 창의적 성격검사(WKOPAY, SAM) 점수가 상위 96%이내였으며 일반집단은 보통 수준이었다.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IAPS사진) 제시 시 뇌활동성을 분석한 결과 과학발명반집단은 일반집단에 비해 중간측두이랑(MTG)과 상측두이랑(STG) 영역 등에서 뇌활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창의적 성격검사점수와 뇌활동성 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MTG, STG 영역 등에서 유의적인 상관도(p<0.005)를 나타내었다. 특히 흥분의 측면보다는 기분(유쾌/불쾌)의 측면에서 유의적인 상관도를 보이는 영역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적 창의력이 높은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정서적 감수성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과학영재교육 대상자의 선발과 교육프로그램에서 정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