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ejong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3초

조선초 고승 만공(滿空)과 적휴(適休)의 요동(遼東) 월경(越境)과 중국사찰 중창 (The crossing the border into Liadong by Mangong and Jeokhyu, the high pries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rebuilding of the Chinese, Buddhist temples)

  • 황인규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407-434
    • /
    • 2018
  • 본고는 한국 불교사에서 거의 주목되지 않은 조선초 요동 월경과 월경승 만공(滿空)과 적휴(適休)의 중국 불교행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조선초 태종과 세종대의 대대적인 불교탄압 시책에 대하여 불교계가 속수무책으로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불교계 나름대로 저항을 하였던 것이다. 특히 조계종의 나옹혜근과 태고보우의 문도 계열이 두드러졌다. 보우의 문도들이 주로 신문고를 치거나 불교의 자정을 주창하였으며, 나옹의 문도 계열은 무학을 중심으로 불교계를 재편하거나 탄압에 맞섰으며, 명(明)의 황제의 도움을 받아 불교계를 수호하고자 하거나 아예 요동으로 월경(越境)하기도 하였다. 월경을 시도하다가 해선(海禪)처럼 체포되기도 하였으나 태종대 만공(滿空)과 세종대 적휴(適休)처럼 월경하여 중국 불교계에 뚜렷한 행적을 남기기도 하였다. 만공(滿空)은 태종대 요동으로 월경한 11명 가운데 한 고승으로 홍도(洪道) 홍인(洪因) 등과 함께 하였는데 무학의 문도이자 나옹의 문손인 듯하다. 나옹의 문도인 듯한 만공은 월경후 북경에서 다시 해로로 이동하여 금릉 금릉(金陵) 천계사(天界寺)에 주석하다가 조선과 친근하며 유서가 있는 산동(山東) 태안(泰安)으로 이주하여 죽림사(竹林寺)와 보조선사(普照禪寺)를 중창하면서 불법을 널리 홍포하였다. 적휴(適休)는 세종대에 승려 신내(信乃)와 신휴(信休) 신담(信淡) 혜선(惠禪) 홍적(洪迪) 해비(海丕) 신연(信然) 홍혜(洪惠) 신운(信雲) 등 총 10명과 함께 요동으로 월경하여 북경에서 명 황제의 보호속에 산해관을 거쳐 금릉 천계사(天界寺)에 이주하였다. 그후 그들의 행적은 더 알 수 없으나, 적휴는 북경 곡적산(穀積山)에서 고려 승속이 거주하였던, 특히 나옹과 문도 무학 등이 머물렀던 영암선사(靈巖禪寺) 근처에 반야선사(般若禪寺)를 창건했다. 이와같이 이와같이 조선초 승려들은 국가의 탄압에 저항하거나 월경하였는데 태종과 세종대 만공과 적휴는 중국 불교계를 유력하면서 사찰을 중창하며 중국불교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Real-time Impact Evaluation of a Capacity-Building Health Project in Lao PDR

  • LEE, KYE WOO;KIM, TAEJ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7권4호
    • /
    • pp.75-88
    • /
    • 2015
  • This study presents a real-time impact evaluation of a human capacity-building health project in Laos, financed by a Korean aid agency and executed jointly by Laotian and Korean higher educational agencies. The project aims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Laotians by enhancing practicing doctors' clinical performance capacity, to be attained by advancing academic achievement at the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UHS) in Laos. Therefore, this real-time impact evaluation adopted the difference-in-differences regression analysis method, showing that the project improv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HS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he project fellowship awardees more, compared to the UHS students who were taught by non-fellowship faculty members. It remains to be evaluated whether these UHS students taught by the project fellowship recipients would also perform better clinically in public hospitals in the future.

  • PDF

$H_2S$를 포함하는 LNG 혼합물에 대한 Cubic과 Noncubic 상태방정식의 예측 비교 (A comparison of predicted VLE of LNG mixtures containing $H_2S$ by use of Cubic and Noncubic EOS)

  • 최은주;이태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5
    • /
    • 2000
  • [ $H_2S$ ]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Liquified Natural Gas)의 기-액 조성을 noncubic 형태인 Modified-Benedict-Web-Robin EOS로 예측하였고, 그 결과를 대표적 cubic형태의 Peng-Robinson, Soave-Redlich-Kwong EOS로 예측한 기-액 조성과 비교 검토하였다.

  • PDF

초산과 n-heptane 이성분계의 회합성에 대한 화학적 이론을 이용한 연구 (A study for an association of acetic acid with n-heptane based on the chemical theory)

  • 홍승호;이진엽;이태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34-38
    • /
    • 1999
  • 초산의 회합성을 설명할 수 있는 모델식을 비교 제안하기 위해 298.15K와 318.15K의 실험치 자료를 화학적 이론이 고려된 전개식과 일반적인 기액 평형식에 Margules, Wilson, NRTL식을 각각 적용하여 계산한 값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회합성이 고려된 모델식을 적용하여 계산한 값이 실험치와 잘 일치하였다.

  • PDF

Impacts of Reforestation on Stabilization of Riverine Water Levels in South Korea

  • JAEHYUN, YOON;SAANG JOON, BAAK;MIN YOUNG, SEO;TAEJONG, KIM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4권4호
    • /
    • pp.1-24
    • /
    • 2022
  • We investigate how reforestation contributed to stabilization of riverine water levels in South Korea. For the purpose, we estimate an equation capturing dynamic relationships among rainfall, upstream-area tree stock, and downstream water levels in three river systems of Hongcheon, Mangyeong, and Hyeongsan, using daily observations of precipitation and water levels for the period from 1985 to 2005. Simulation based on estimation results shows that increase in the tree stock in a river basin leads to a significantly suppressed peaking in riverine water levels in response to an abrupt and concentrated rain in the upstream area. For instance, an hour-long concentration of 100mm rain results in 0.7m rise in water level if the volume of growing stock is 1 million m3, whereas the rise in water level stays below 0.27m with 5 million m3 in the growing-stock volume.

충주 금천창 연구 (The Study of Keumcheonchang in ChungJu)

  • 조길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1권1호
    • /
    • pp.35-55
    • /
    • 2008
  • 이 글은 탄금대 서쪽에 위치하는 충주 창동유적 발굴조사 결과와 조선왕조실록의 금천창으로부터 시작한다. 벼루가 연결된 좁고 경사가 급한 지형에 자리잡은 주칸거리 420cm의 여러 동의 건물지 조사는 구전으로 전해온 금천창에 대한 일부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태종 11년(1411)에 낙동강과 한강을 잇는 충주 금천(金遷)에 새로이 200여 칸의 창고를 지어 금천창이라고 이름하고 충주인근의 전세 뿐만 아니라 경상도 전세도 함께 수납하여 경창으로 운송하게끔 하였다. 세조는 강력한 중앙집권을 위해 관선조운체계를 구축하였고, 이것은 조선 중기까지 이어진다. 조선은 적은 인구와 낮은 도시화율에 의해 하삼도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절대적이었다. 하삼도 토지에 부과된 세곡은 국가재정의 근간을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조운은 삼면이 바다인 지리적 잇점에 의해 서구자본이 밀려오기 전까지 가장 효율적인 물류체계였다. 조선은 고려의 조운을 근간으로 하는 물류체계를 구축하였다. 조선의 9조창은 왜구에 의해 파괴된 고려의 13조창을 개편한 결과이며, 특히 내륙 물길인 수운(水運)을 강화하여 왜구의 노략질 및 해난사고 등의 망실을 해결하고자 하는 고민이 담겨 있다. 금천창은 태종 11년(1411)에 건립되어 세조 11년(1465)까지 54년간 사용된 좌수참임을 알 수 있다. 가흥창으로 전세 수납처가 옮겨지면서 그 중심적 지위를 잃게 된다. 금천창은 조선이 고려에서 벗어나 사회안정과 새로운 이상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관선조운에 의해 선택된 내륙수운개발의 결과물이다.

조선 초기 원경왕후 상장례(喪葬禮) 의식과 그 특징 (The Funeral Rites for Queen Wongyeong during Early Joseon and the Characteristics Thereof)

  • 양정현
    • 역사민속학
    • /
    • 제45호
    • /
    • pp.7-50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 초기 흉례(凶禮)의 정비 과정이라는 연속선상에서 원경왕후 국상을 하나의 기점으로 파악하고 그 특징을 상제(喪制)의 변화 및 의식 절차의 분석을 통해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세종 2년 발생한 태종 비(妃) 원경왕후의 국상은 조선에서 국왕이 상주(喪主)가 되어 진행하는 삼년상(三年喪)의 의식 절차가 정비되어, 그 의주가 실록에 기재된 최초의 사례였다. 국상 복제 논의에서는 기존에 행해오던 역월제를 탈피하여 졸곡의 의미가 강조되었다. 기존의 도감 운영 체계를 정리하여 빈전 국장 산릉 3도감만을 운영하게 되었으며, 불교 관련 의례는 대폭 축소 규제되게 되었다. 삼년상 기간 동안 국왕의 친행을 고려한 의식 절차도 새롭게 정비되었다. 의식의 기본 패턴은 배례(拜禮) 곡(哭)-행례(行禮)-배례(拜禮) 곡(哭)로 이루어졌는데 우제(虞祭)를 기점으로 전(奠)과 제(祭)로 구분되었다. 이는 태종대 길례 의식의 정비가 이루어진 바탕에서 고제(古制)에 기반한 '전(奠)'과 제(祭)'의 이해가 반영된 결과였다. 그리고 이러한 패턴을 기준으로 개별 의식 절차의 분석을 행하였다. 이를 통해 원경왕후 국상에서 국왕이 친행하는 실질적인 삼년상 실행을 위한 상장 제도 및 의식 절차의 제정과, 그 바탕이 된 고제의 이해 수용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자청(朴子靑)의 궁궐건축 감역 연구 -창덕궁 및 이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lace Construction of Park Jacheong -Focusing on the Changdeokgung Palace and Detached Palaces-)

  • 김버들;조정식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1호
    • /
    • pp.93-104
    • /
    • 2017
  • This study is about the Changdeokgung Palace and detached palaces of architect Park Jacheong who was a representative supervisor having framed the palace architecture of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k Jacheong had been in charge of Changdeokgung Palace for 15 years since its founding. The palace was continued to run for the longest time and was the palace on the frame made by him for the years, so Changdeokgung Palace's status has become as good as Gyeongbokgung Palace's. Second, he built a lot of palaces besides Changdeokgung. They were completed about the same time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intentions of King Taejong. Park Jacheong was a former military officer and was well skilled in mobilization of manpower and materials by making good use of the military power. Third, the detached palaces constructed by him were located in the places where military training and testing of new weapons were possible. They were also used as sleeping, dining and office spaces. This can be regarded as a result of the tradition of the storied-pavilion that had been since the Goryeo Dynasty, with the method of approaching to the main hall of the palace.

정수 슬러지의 탈수성 개선을 위한 고분자 응집제 조합주입 고찰 (Determination of Organic Polyelectrolyte Addition Method to Improve Dewaterbility of Alum Sludge)

  • 유태종;안균환;박상준;현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08-618
    • /
    • 2004
  • Since polyelectrolytes have been used as conditioners, conventionally only a single polyelectrolyte has been added for sludge conditioning. However, the amount of polyelectrolyte needed for optimal conditioning of sludge is very critical. Overdosing reduces the sludge dewaterbility. In this experimental study, sludge conditioning with single or dual polyelectrolyte was conducted to avoid problems associated with overdosing. Single polyelectrolyte conditioning was conducted by one of cationic, nonionic, and anionic polyelectrolytes. The dual polyelectrolyte conditioning was performed by adding one polyelectrolyte and another one in sequence. The dewaterbility of sludges were measured by SRF(specific resistance to filtration), TTF(time to filter), CST(capillary suction time) respectively. Additionally, parameters such as turbidity, zeta potential, viscosity of conditioned sludges or supematant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changed characteristics of sludge by addition of polyelectrolytes. From the experiment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single polyelectrolyte conditioning had a high probability of overdosing, whereas dual polyelectrolyte conditioning resulted in a better dewaterbility and less chance of overdosing. But, it was also found that dosing sequence in dual conditioning was very importa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ludge. Parameters such as viscosity, turbidity, zeta potential were found to be useful as a means of evaluating sludge dewaterbility.

고려의 궁궐 운영과 조선 초의 궁궐제도 정비 (Palace Operation of Goryeo and the Reform of the Palace System in Early Joseon)

  • 김지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3호
    • /
    • pp.67-78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al situation that can be seen from the palace operation in early Joseon Dynasty. The first decades of Joseon after the nation was founded differ from the Joseon Dynasty as a whole, but rather similar with the Goryeo Dynasty. By examining "The History of Goryeo(高麗史)," it showed that palace operation during the Goryeo Dynasy was marked by the fact that a separate palace was built and resided in despite the existence of the Bongweol(本闕, main palace) as the central palace. The separation of the parent's generation and the children's generation was show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one's own palace. Such trait of Goryeo affected palace construction directly after the founding of Joseon. This can be shown from the characteristic of palace operation by generation. The construction of the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of King Taejong, as his own palace, is an example. Afterwards, the palace system of Joseon was established, and the space of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was merged through ritual reform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However, the space for the parents of the king were considered separate, and this influence continued to the reign of King Seongjong. The construction of Changgyeonggung Palace(昌慶宮)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is an event where the king proclaimed the separation with his mother and grandm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