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ctile Sensory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3초

촉각탐지과제를 통한 촉각역치 값과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점수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cores of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nd Tactile Threshold From Tactile Detection Task)

  • 주유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
    • /
    • 2012
  • 목적 : 감각처리기능은 지각 및 인지기능 뿐만 아니라 작업수행을 위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다. 아동의 경우 감각처리 문제로 인해 두드러지는 기능장애를 나타내지만 성인의 경우 살아가면서 감각에 적응하거나 그냥 무시한 채 지내기 때문에 흔히 감각처리기능을 간과하게 된다. 하지만 감각에 대한 생리적 특질은 변하지 않는 것이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불편한 감각자극으로 인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기 위해 본인의 감각처리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은 일상생활에 기반을 둔 감각처리기능을 설문형식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이런 설문형식의 평가는 응답자의 주관이나 그 외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결과의 타당도가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 처리영역 점수와 촉각탐지과제를 통해 측정한 촉각역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이 평가도구의 일부 영역 (촉각 처리영역)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의 네 가지 항목(저등록, 감각민감, 감각추구, 감각회피)의 점수를 촉각탐지과제를 통해 얻어진 개인의 촉각역치 값과 비교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 중 저등록 및 감각추구 항목은 촉각역치 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 감각민감 및 감각회피 항목의 경우 촉각역치 값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나 촉각의 역치가 높을수록 저등록 항목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결론 : 촉각의 촉각역치가 높을수록 감각등록이 적으며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의 저등록 관련된 설문문항이 촉각탐지과제를 통한 촉각역치 측정값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설문문항의 타당도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 PDF

촉각 자극과 두점식별 자극에 따른 뇌활성도 분석: fMRI 사례 연구 (Comparison of Cortical Activation between Tactile Stimulation and Two-point Discrimination: An fMRI Case Study)

  • 박지원;김중선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4호
    • /
    • pp.97-101
    • /
    • 2010
  • Purpose: Sensory input is very important for proper performance of human. Two-point discrimination is the most widely used tactile sensory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nges in cortical activation patterns between tactile stimulation and two-point discrimination. Methods: Two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our study. fMRI scanning was done during 4 repeated blocks of tactile stimulation and two point discrimination of the right index finger tip. In one block, stimuli were repeated 10 times every three seconds. To determine the changes of cortical neurons during sensory input, intensity index was analyzed. Results: When tactile stimulation of the right index finger tip was completed, only contralateral primary somatosensory area was activated. In contrast, during two-point discrimination, both the primary somatosensory area and ipsilateral supplementary sensory area were activated. Conclusion: During two point discrimination, both primary somatosensory area and ipsilateral supplementary sensory area were activated. Therefore, two-point discrimination is required more complex and conscious activity than tactile stimulation.

자연모사 고감도 촉각센서 기술 (Nature-Inspired high sensitivity tactile sensor technology)

  • 김태위;이은한;강대식
    • 진공이야기
    • /
    • 제4권3호
    • /
    • pp.6-11
    • /
    • 2017
  • The tactile sensor of the future robot is becoming a necessity as a sensory organ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person most directly. Recently, the Nature-inspired technology has provided a new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se tactile sensors. Here, we review three different nature-inspired tactile sensory system; high sensitivity pressure sensor inspired by beetle wings, highly sensitive strain sensor inspired by the spider's sensory organs, Tactile sensor inspired by human fingertip. These nature-inspired tactile sensors are expected to provide a breakthrough that not only can sensitively measure the pressure, but also delicately recognize the softness and texture of the material just like human.

뇌졸중 환자의 촉각 및 위치 식별감각 이상에 관한 연구 (Tactile and Proprioceptive Discriminative Sensory Dysfunction After Unilateral Stroke)

  • 최스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8-147
    • /
    • 1996
  • Although sensory deficits caused by stroke have been occasionally reported, dysfunctions of discriminative sensation have seldom been studied in patients with strokes. With the use of specifically designed methods, discriminative sensations including texture discrimination and position sense were tested in 67 patients with acute unilateral stroke. Thirty-two age and sex-matched healthy subjects were used as controls. Impaired discriminative sensation was common in patients with unilateral stroke (detected in 57 out of the 67 patients) regardless of the lesion location except for patients with lateral medullary stroke. Proprioceptive discriminative sensation remained intact in all except for three out of 25 patients who were initially diagnosed as having pure motor stroke on the bases of conventional sensory tests. However, tactile discriminative sensation remained intact in only 17 out of 25 patients. Discriminative sensory disturbances are common in patients with unilateral stroke even in those with intact sensory function on routine examination. The subtle disturbances of this sensation may explain, at least in part, the clumsiness of the patients that is not readily explained by conventional neurological tests.

  • PDF

환경에 따른 여성외의용 신합섬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접촉감성 (Tactile Sensibility of New Generation High Touch Polyester Fabrics for Women's Outerwear at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 이선영;홍경희;이정순;이예진;김정화;최상섭;손진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7-86
    • /
    • 2000
  • Purpose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refine the measurement technique of tactile sensation and sensibility induced by touching the fabrics and secondly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actile sensibility depending o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type of polyester fabric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controlled at 20$\pm$1$^{\circ}C$, 65$\pm$3%RH(standard) and at 29$\pm$1$^{\circ}C$, 75$\pm$3%RH(warm & humid). As result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factor analysis of sensory assessment scale. The first factor was thickness and weight, the second one was surface-related property and the third one was stiffness in both environment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heat and moisture-related sensations such as [cold], [damp] and [dry & drapable] were affected significantly. Regression equations with the sensation descriptors were developed for the prediction of tactile sensibility(R2>.89). While the most efficient descriptor was [thin & flexible] in the standard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was [dry & drapable] in the warm & humid environmental condition.

  • PDF

골덴하르 증후군(Goldenhar syndrome)아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 평가와 중재: 사례연구 (Sensory Integration therapy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 Clients With Goldenhar Syndrome : A Case Report)

  • 정희승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86-295
    • /
    • 2011
  • 본 연구는 전반적인 발달지연, 감각 예민성, 촉각 방어와 작업수행의 문제를 가진 골덴하르 증후군 아동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골덴하르 증후군 아동의 감각통합 치료적 중재 개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증례 아동은 만 7세 10개월 남아로 학교와 일상생활에서, 놀이와 학습에 대한 어려움, 운동발달 지연을 주 호소로 하여 검사가 의뢰되었다. 감각통합치료를 위한 평가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시 바른 자세로 한글 읽고 쓰기가 첫째 작업수행 목표로 나타났고, 단축 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과 감각 인터뷰에서는 감각 예민성과 촉각 처리영역에서 확연한 차이로 감각통합치료 중재가 요구되었다. 발달 프로파일 -3(Developmental Profile -3)은 5개 발달영역에서 전반적인 발달 지연이 나타났고, 운동 숙련도 검사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에서 운동발달 수준이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본 증례 아동에 대한 감각통합 치료를 통해 전반적인 발달, 감각예민성, 촉각방어와 같은 감각조절 기능이 향상되고, 작업수행이 개선되는데 도움이 되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서 국내 골덴하르 증후군 아동의 감각통합치료 접근법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일본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디스플레이 개발 (Development of Tactile Display for the Blind in Japan)

  • 한성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63-70
    • /
    • 2010
  •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 : AT)의 연구개발은 보행과 정보 접근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고, 특히 정보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음성도서용 DAISY플레이어나, 컴퓨터 화면을 읽어 주는 스크린 리더, 저시력자용 독서확대기, 점자 및 점자정보단말기 등이 상품화되어 오늘날 많은 시각장애인들에게 필수적인 보조공학기기로 자리 잡고있다.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는 보조공학은 촉각이나 청각을 이용하여 시각 기능을 대행하기 때문에 감각대행기라고도 한다. 촉각을 이용한 감각대행기인 점자디스플레이와 점자정보단말기는 점자 형성을 위한 액츄에이터로 압전 소자로 만든 바이몰프가 사용되며, 점자셀의 점자(핀)는 바이몰프의 상하 운동에 의해 형성된다. 점자 셀은 휴대용 점자정보단말기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소형화 및 저가격화가 관건이 되며 현재는 일본의 KGS사가 세계 점자 셀(Cell)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본 연구진은 2003년에 저가/소형 원반형 점자디스플레이를 개발하여, 세계 최초로 제품화에도 성공한 바있다. 본고에서는 일본의 점자정보단말기를 비롯한 촉각디스플레이의 연구개발에 대해 검토하고 촉각을 이용한 감각대행 제품의 하나로서, 본 연구진이 개발한 원반형 점자디스플레이에 대해 고찰한다.

시각 장애우와 청각 장애우에서 두점식별력과 격자해상능을 이용한 촉각인지능평가 (Assessment of tactile acuity by two-point discrimination and grating resolution in blind and deaf humans)

  • 박진희;유현광;김나리;최명애;김민선;박병림;강대임
    • 감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537-544
    • /
    • 2011
  • 시각장애우와 청각장애우에서 상실된 감각기능을 대체할 목적으로 촉각제시장치를 이용할 경우 효과적으로 촉각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조군, 시각장애군, 청각장애군, 합병증성 시각장애군에서 신체 부위에 따른 촉각인 지능을 컴퍼스와 JVP dome을 이용하여 각각 두점식별력과 격자해상능을 측정하였다. 컴퍼스를 이용한 두점식별력은 대조군에서 손가락이 가장 높은 민감도를 보였으나 남녀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시각장애군과 청각 장애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손가락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팔과 다리 부위에서는 낮은 민감도를 보였다. JVP dome을 이용한 격자해상능은 대조군에서 다섯 손가락 모두에서 상호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또한 남녀의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시각장애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섯 손가락 모두에서 높은 민감도를 보였으며, 청각장애군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합병증성 시각장애군은 대조군 및 시각장애군과 비교하여 두점식별력 및 격자해상능에서 모두 낮은 민감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촉각제시장치를 이용할 경우 자극 부위와 방법을 고려해야 하며, 감각상실의 원인 질환에 따라 촉각인지능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Simple Qualitative Sensory Assessment of Patients with Orofacial Sensory Dysfunction

  • Im, Yeong-Gwan;Kim, Byung-Gook;Kim, Jae-Hy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6권4호
    • /
    • pp.136-142
    • /
    • 2021
  • Purpose: Oral and facial sensation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trauma and disease. This study assessed the clinical profile of patients diagnosed with sensory dysfunction and investigated their sensory perception using simple qualitative sensory tests. Methods: Based on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we analyzed a total of 68 trigeminal nerve branches associated with sensory dysfunction in 52 subjects. We analyzed the frequency and etiology of sensory dysfunction, and the frequency of different types of sensory perception in response to qualitative sensory testing using tactile and pin-prick stimuli. Results: The inferior alveolar nerve branch was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in sensory dysfunction (88.5%). Third molar extraction (36.5%) and implant surgery (36.5%) were the most frequent eti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sensory dysfunction. Hypoesthesia was the most frequent sensory response to tactile stimuli (60.3%). Pin-prick stimuli elicited hyperalgesia, hypoalgesia, and analgesia in 32.4%, 27.9%, and 36.8%, respectively.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two kinds of stimuli (p=0.260). Conclusions: Sensory dysfunction frequently occurs in the branches of the trigeminal nerve, including the inferior alveolar nerve, mainly due to trauma associated with dental treatment. Simple qualitative sensory testing can be conveniently used to screen sensory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ltered sensation involving oral and facial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