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chybaptus ruficolli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First record of Prosthogonimus cuneatus (Prosthogonimidae) from the Little Grebe, Tachybaptus ruficollis, in Korea

  • Cheong, Ki-Soo;Kim, Jong-Taek;Ahn, Dong-Choon;Jung, Bae Dong;Park, Bae-Keun;Kim, Hyeon-Cheol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1-74
    • /
    • 2010
  • A trematode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Prosthogonimus (family: Prosthogonimidae) was collected in August, 2004 from the bursa of Fabricius of a single Little Grebe, Tachybaptus ruficollis, caught in Chuncheon, Korea. Five specimens were collected in total and fluke morphology was examined under using a light microscope. The average parasite size was 5.6 ${\times}$ 3.2 mm (length ${\times}$ width; based on 4 specimens). The genital pore was located on the anterior right margin of the oral sucker. The cirrus sac was strongly sinuous and extended beyond the intestinal bifurcation to the ventral sucker. The prepharynx was extremely short and the pharynx was small. The vitellaria consisted of 6 follicle bunches and extended from the ventral sucker to the posterior of the testes. Finally, the uterus filled the body cavity posterior to the testes. In addition, there were no heavy slings occurred anterior to the testes.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arasites were identified as P. cuneatus. The discovery of P. cuneatus within a Little Grebe constitutes a new host identification and a new geographical record.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Prosthogonimus infection within wild birds in Korea.

토지이용유형별 야생조류 군집구조 특성 분석 - 시흥시를 사례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rd Communities by Land-use Types - The Case Study of Siheung City, Korea -)

  • 김지석;홍석환;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3-321
    • /
    • 2012
  • 시흥시 토지이용유형별 야생조류 군집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43개조사구를 선정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계절별로 군집구조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정점조사법을 활용하였으며 군집분류는 TWINSPAN과 DCA기법을 활용하였다. 군집분류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첫 번째 분류는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중대백로(Egretta alba)와 같은 물새류를 식별종으로 하여 나뉘어졌다. 분류된 2개 군집은 각각 논병아리(Tachybaptus ruficollis)와 참새(Passer montanus)를 식별종으로 다시 분류되어 총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군집은 토지 이용유형에 따라 나뉘어졌으며, 군집 I은 산림지역, 군집 II는 시가화지역과 반자연지역 일부(하천, 논습지)를 포함하였다. 군집 III은 하천과 논습지, 군집 IV는 저수지이었다. 하천과 논습지는 동일 토지이용유형이 서로 다른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나, 논습지와 주변 하천 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동일 토지이용유형의 면적 크기가 군집의 종 구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종다양도지수는 군집 III(대규모 논습지와 주변 하천)이 가장 높았고, 군집 IV가 낮았다. 최대종다양도나 균등도도 군집 III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비오톱 유형화의 경우 도심 내 논습지 및 도시공원의 규모, 하천변의 토지이용형태를 고려할 경우 최소면적기준의 적용이 필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