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3 골 연령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7초

소아 Hand AP영상에서 골연령 예측을 위한 TW3법의 응용 (The Application of TW3 method for Prediction about Bone Age in Hand AP Image of Children)

  • 이진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49-356
    • /
    • 2015
  • 본 연구는 TW3법에서 골성숙 가중치가 가장 높은 7부위를 선정하여 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여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2014년 3월에서 2015년 3월까지 성장판검사를 시행한 소아 72명(남 36명, 여 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아 손 전후영상에서 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각 연령마다 특정범위에 상응하는 평균과 표준편차 값이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 길이가 감소하였다. 또한 여아가 남아에 비해 평균값이 작게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과에서 성장판과 골 말단부 부위 측정 길이와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p<0.001)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아 손 전후영상에서 TW3법의 응용을 통한 회귀방정식으로 골연령의 예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소아의 디지털 Hand 영상에서 TW3를 이용한 성장판의 회귀분석 (A study of Growth Plate regression analysis using Tanner-Whitehouse 3 in hand AP of pediatrics)

  • 이동성;조광섭;임한섭;정선경;장화영;김수현;강세식;김창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1-394
    • /
    • 2015
  • 임상에서는 GP-BP (Greulich-Pyle and Bayley-Pinneau) 법과 TW3 (Tanner-Whitehouse 3) 법을 사용하여 골연령을 평가하고 있다. Hand AP 영상에서 골성숙도 평가는 전문의의 임상적 경험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정성적 평가로 모든 전문의마다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 속에서 TW3 방법이 아닌 새로운 방법을 고안 및 평가하기 위해 2014년 3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양산P병원에서 성장판 검사를 시행한 소아 70명(남 35명, 여 35명)을 대상으로 TW3에서 골성숙 가중치가 가장 높은 7부위를 선정하여 성장판과 골말단 부위의 길이를 측정하여 골연령별 길이의 차이를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골연령 마다 특정범위에 상응하는 평균과 표준편차 값이 나타났으며, 골연령이 증가할수록 성장판과 뼈 말단부 길이가 규칙성 있게 감소하였다. 여아의 경우 남아에 비해 골성장이 빠르므로, 남아보다 길이 평균값이 전체적으로 작은 값을 가졌다. 이는 12~14세 초경이 나타남에 따라 초경 전후 길이 감소 변화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 결과 값으로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도출된 값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청소년들의 골연령과 역연령을 통한 체격과 체력의 차이 검증 (The Verification of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Differences Through Bone Age and Chronological Age Among Adolescents)

  • 김대훈;윤형기;오세이;이영준;김범준;최영민;송대식;안주호;서동녘;김주원;나규민;오경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8-331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체격과 체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골연령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는 점을 가정으로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골연령과 역연령을 통해 체격과 체력의 차이를 규명하여 청소년들의 체격, 체력의 균형적 발달과 학생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6세부터 16세까지의 총 1100명의 모집단 중 PAPS(학생건강체력평가)와 TW3 방법 연령 기준에 따라 총 874명(남자 483명, 여자 391명)의 11세~16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생물학적 성숙지표를 나타내는 골격성숙도는 X-ray 촬영 후 TW3(Tanner-Whitehouse 3)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역연령은 출생년월을 사용하였다. 체격은 신장계, InBody270(Biospace, Korea)을 이용하여 2개 항목을 측정하였고 체력측정은 총 7개 항목으로 근력, 평형성, 민첩성, 순발력, 유연성,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p<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연령과 역연령을 이용한 체격의 비교에서 11세, 12세 남자는 키와 체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3세 남자는 체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1세 여자는 체중과 신장, 12세 여자는 신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골연령과 역연령을 이용한 체력의 비교에서 11세 남자는 근력, 순발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12세 남자는 근력, 순발력, 심폐지구력, 13세 남자는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1세 여자는 근력, 순발력, 유연성,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14세 여자는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골 성장이 이루어지는 시기에는 골연령을 기준으로 체격과 체력을 평가하는 것이 역연령 기준으로의 평가보다 정확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정상 소아, 성조숙증 및 체질성 성장지연 소아에서 Bayley-Pinneau방법과 Tanner-Whitehouse 3방법에 의한 예측성인신장 비교 (Comparison of predicted adult heights measured by Bayley-Pinneau and Tanner-Whitehouse 3 methods in normal children, those with precocious puberty and with constitutional growth delay)

  • 오연정;유병근;신정연;이기형;;이광철;손창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351-355
    • /
    • 2009
  • 목 적 : 정상 소아, 성조숙증, 체질성 성장 지연 소아를 대상으로 GP방법과 TW3방법에 의한 골연령을 비교하고 이를 이용하여 BP방법과 RUS 점수를 이용한 TW3방법의 예측 성인키를 구하여 상황에 따라 두 방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만성질환이나 약 복용력이 없고 병적인 저신장을 제외한 정상소아와 체질성 성장지연 남아, 그리고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여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은 정상 소아는 85명, 체질성 성장 지연 남아 30명,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여아 30명이었으며 왼쪽 손과 손목 사진을 찍어 GP와 TW3방법으로 골연령을 측정하여 비교하고 이를 이용하여 BP법과 TW3 (RUS score)법을 이용하여 예측 성인키를 구하고 두 값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GP방법과 TW3방법으로 구한 골연령의 경우 정상소아에서 남녀 모두 두 값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성 조숙증 여아의 경우 두 값의 차이는 없었으나 체질성 성장지연 남아에서는 두 값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BP법과 TW3방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의 경우 정상소아에서 남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아는 TW3법에 의한 예측키가 GP방법에 의한 예측키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156.4{\pm}4.7$ cm vs $158.9{\pm}3.8$ cm, P<0.01). 성조숙증 여아의 경우 BP법과 TW3법을 이용한 예측 성인키는 TW3법에 의한 예측키가 BP법을 이용한 예측키보다 크게 나타났다($156.3{\pm}4.0$ cm vs $159.3{\pm}4.2$ cm, P<0.01). 체질성 성장지연 남아에서 BP법과 TW3를 이용한 예측키는 BP법에 의한 것이 더 크게 나타났다($173.3{\pm}4.4$ cm vs $169.7{\pm}3.2$ cm, P<0.01). 결 론 : 정상 여아, 성조숙증 여아, 체질성 성장 지연 남아에서 BP법과 TW3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성조숙증, 체질성 성장 지연 같은 특수 상황의 경우 BP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가 예후 판정에 더욱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나 실제 성인키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유소년의 골연령에 따른 체력 표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Physical Fitness Standard Indicators According to the Bone Age in Youth)

  • 김대훈;윤형기;오세이;이영준;조석연;송대식;서동녘;김주원;나규민;김민준;오경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627-1642
    • /
    • 2021
  • 본 연구는 유소년의 골연령에 따른 체력을 평가하는 데 있으며, 골연령에 따른 체력 표준지표를 통해 유소년들의 균형적인 발달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골연령 11세~13세 및 역연령 11세~13세에 해당하는 7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연령 산출을 위해 X-ray 필름을 촬영한 후 TW3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체격은 신장, 체중을 신장계(Hanebio, Korea, 2021), Inbody 270(Biospace, Korea, 2019)를 사용하여 총 2개의 체격 요소를 측정하였으며, 체력은 근력(악력), 평형성(외발서기), 민첩성(플랫테핑), 순발력(제자리멀리뛰기), 유연성(좌전굴),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 심폐지구력(셔틀런)으로 총 7개 체력 요소의 종목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PC/Program(Version 2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p< .0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1세~13세 골연령과 역연령을 비교한 결과, 체력에서 남자는 근력, 순발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자는 근력, 평형성, 민첩성, 순발력, 유연성,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골연령에 따른 유소년의 성별과 연령(11~13세)별로 체력평가의 기초 자료인 골연령 체력 표준지표를 개발하였다.

컨볼루션 신경망 기반의 TW3 최대신장예측 시스템 (Convolution Neural Network based TW3 Maximum Height Prediction System)

  • 박시현;조영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314-1319
    • /
    • 2018
  • 현재 우리 사회는 아동의 성장발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데 비해 대한성장의학회에서 사용되고 있는 TW3 기반의 최대신장예측 기법은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주관적이며, 진료에 있어 다소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딥러닝, 특히 컨볼루션 신경망을 활용해 영상을 분류하는 기술은 인간의 눈보다 더 정확한 수준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의료분야 또한 예외는 아니다. 따라서 성장 예측의 신뢰도를 높이고, 진단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해 좌측 수골의 발달 수준을 예측하고 소아청소년의 최대신장예측에 활용되는 딥러닝을 이용한 TW3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성장을 주소로 한방병원에 내원한 환아의 한의치료 효과: Deep Learning 기반 골연령 판독 프로그램을 활용한 증례보고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Children Who Visited Korean Medicine Hospital for Growth: A Case Report Using Deep Learning-Based Bone Age Program)

  • 한예지;이보람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1
    • /
    • 2023
  • Objectives We aimed to compare the bone age (BA) estimation by a deep learning-based program and by a specialist in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using the Tanner-Whitehouse 3 (TW3) technique for the cases of children who visited a Korean medicine hospital for growth, and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Methods For three children who visited the Korean medicine hospital for growth, BA estimation by the deep learning program and by the specialist in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using the TW3 technique was compared, and the time required for estimation was investigated. The change of height, BA, and predicted adult height (PAH) using deep learning program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 was observed. Results BA estimation of the left hand bone X-ray by the specialist using the TW3 technique showed a difference of -0.03 to +0.15 years from the estimation by the deep learning program. The mean estimation time was 5 minutes and 49 seconds per one for the specialist and 48 seconds for the deep learning program. During the treatment period, the height percentile and PAH estimated by deep learning program were increased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 compared to baseline while acceleration of BA was suppressed compared to chronological age. Conclusions BA estimation using the deep learning program and the TW3 technique showed a difference of less than 0.15 years, and in three cases of patients with growth as the chief complaint, Korean medicine treatment increased height percentile and PAH without accelerating BA maturation.

Risser 증후와 역연령, 골연령, 초경 시기 및 성인 예측신장 (AHP-TW3)과의 관계 (The Study on Correlations of Risser Sign with the Chronological Age, Bone Age, Menarche, and Adult Height Prediction according to TW3 Method)

  • 구은진;이진화;김윤희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38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linically reliable relationships between the Risser sign and chronological age, bone age, menarche, and adult height prediction (AHP) and to evidence the reliability of the Risser sign. Methods This study had been carried out with 50 children who had their growth checked in an 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January 2015 to February 2017. We investigated Risser sign in AP X-rays with iliac crest, bone age, AHP for all 50 children and the timing of menarche from the 22 girls in the study subjects. We also investigated a correlation between the Risser stage and the other indicators to analyze statistical data. Results The mean chronological ages of Risser 1, 2, 3 and 4 were 11.2, 12.6, 14.4, and 15.5 years respectively for the boys and 10.8, 12.2, 13.8 and 14.8 years respectively for the girls. The mean bone ages of Risser 1, 2, 3 and 4 were 12.3, 13.6, 15.7 and 16.5 years respectively for the boys and 11.7, 13.8, 14.3 and 14.9 years respectively for the girls. We analyzed 22 girls' Risser stages in accordance with the duration from menarche.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 first six months after menarche, all girls were in Risser 1 and 2; in the next six months, the girls were in Risser 2 on average; in the next 12 months, all girls were in Risser 3 and 4; after more than two years from menarche, all girls were in Risser 4. The mean remaining growth height of Risser 1, 2, 3 and 4 were 27.8, 17.3, 4.4 and 1.0 cm respectively for the boys and 14.5, 5.1, 3.1 and 1.1 cm respectively for the girls. The Risser stage was correlated strongly with chronological age (Spearman's rho=0.707 (boy), 0.841 (girl)), bone age (Spearman's rho=0.869 (boy), 0.875 (girl)), duration from menarche (Spearman's rho=0.909) and remaining growth height (Spearman's rho=-0.784 (boy), -0.878 (girl)).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Risser sign can be useful in assessing skeletal maturity and predicting remaining growth height based on the Risser stage and the other growth indicators.

골연령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과 골연령 측정 방법 간의 상관성에 대한 후향적 연구 (A Case Series o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Bone Age Test and Relationships between Methods of Bone Age Measurements)

  • 최지우;민상연;김은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11-120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e 157 pediatric patients who visited a Korean medical hospital for bone age (BA) measurement and to compare the BA measurement using Tanner-Whitehouse 3-based analysis software and specialists in pediatric Korean medicin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Methods The study included 157 pediatric patients who visited a Korean medicine hospital for BA measurements from June 2021 to June 2023. They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agreement of BA measurements using Tanner-Whitehouse 3-based analysis software and specialists using classification by ag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nd Bland-Altman plots. Results In total, 61.8% of the study population were boys and 38.2%, girls, with an average age of 11.32 ± 1.87. The types of growth were various, and the average of bone maturity was 0.48 ± 1.13 as concluded by analysis software and 0.38 ± 1.15 as concluded by the specialists. The ICC of two methods were excellent: 0.995 (overall), 0.996 (boys) and 0.994 (girls). However, BA determined by analysis software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determined by specialists when the patients were young.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s visited the hospital for BA measurement regardless of their height, and the agreement of BA between the two methods can be used as a reference. However, there was differences in the trends between age and sex, which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수완부골의 X-ray 영상 및 종골의 초음파 영상에서 측정한 골연령을 통한 소아성장에 관한 임상연구 (A Clinical Study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Based on Their Bone Age Measured by Hand's X-ray Image and Calcaneus's Ultrasonic Image)

  • 윤혜진;서정민;강미선;백정한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5-170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ave better data and to make efficient clinical reviews about children's growth based on two methods; X-ray of hand, and ultrasound of calcaneus. Methods : The study was composed of 100 patients(50 of boys and 50 of girls) who visited in department of pediatrics, O O university oriental hospital considering growth and their development. Bone age was measured by the TW3 method's RUS score in simple X-ray image of hand and bone density through ultrasonic image of calcaneus. To predict children's estimated height, their parent's height, bone age, and present height's percentile was measured. Results and Conclusions : 1. The bone age results from X-ray image of hand and ultrasonic image of calcaneus were correlated. Younger children have older bone age from hand's X-ray than the one from calcaneus's ultrasound. Older children have older bone age from calcaneus's ultrasound than one from hand's X-ray. 2. Predicted adult height by bone age(BH) of hand's X-ray and BH of calcaneus's ultrasound were correlated, but predicted adult height by inheritance(IH) was not correlated with others. 3. Bone age and predicted adult height were correlated with age, height, weight, BMI, and especially with age and height. 4. Measuring bone age by X-ray image of hand and ultrasonic image of calcaneus was simple and effective way of estimating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