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LP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Differential Roles of Tubby Family Proteins in Ciliary Formation and Trafficking

  • Hong, Julie J.;Kim, Kyung Eun;Park, So Young;Bok, Jinwoong;Seo, Jeong Taeg;Moon, Seok J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4권8호
    • /
    • pp.591-601
    • /
    • 2021
  • Cilia are highly specialized organelles that extend from the cell membrane and function as cellular signaling hubs. Thus, cilia formation and the trafficking of signaling molecules into cilia are essential cellular processes. TULP3 and Tubby (TUB) are members of the tubby-like protein (TULP) family that regulate the ciliary trafficking of G-protein coupled receptors, but the functions of the remaining TULPs (i.e., TULP1 and TULP2) remain unclear. Herein, we explore whether these four structurally similar TULPs share a molecular function in ciliary protein trafficking. We found that TULP3 and TUB, but not TULP1 or TULP2, can rescue the defective cilia formation observed in TULP3-knockout (KO) hTERT RPE-1 cells. TULP3 and TUB also fully rescue the defective ciliary localization of ARL13B, INPP5E, and GPR161 in TULP3 KO RPE-1 cells, while TULP1 and TULP2 only mediate partial rescues. Furthermore, loss of TULP3 results in abnormal IFT140 localization, which can be fully rescued by TUB and partially rescued by TULP1 and TULP2. TUB's capacity for binding IFT-A is essential for its role in cilia formation and ciliary protein trafficking in RPE-1 cells, whereas its capacity for PIP2 binding is required for proper cilia length and IFT140 localization. Finally, chimeric TULP1 containing the IFT-A binding domain of TULP3 fully rescues ciliary protein trafficking, but not cilia formation. Together, these two TULP domains play distinct roles in ciliary protein trafficking but are insufficient for cilia formation in RPE-1 cells. In addition, TULP1 and TULP2 play other unknown molecular role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the future.

렘브란트의 작품을 통해 본 해부학과 미술의 만남 (Convergence between Anatomy and Fine Art through a Painting by Rembrandt)

  • 정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241-247
    • /
    • 2020
  • 16세기에 말에 들어 해부학의 중심지로 부상한 네덜란드 레이던에서는 시민들을 위한 해부학 극장이 개관되었다. 새롭게 시작된 인체 해부 활동은 의학의 발전에 기여했음은 물론이고, 시민들을 청중으로 하여 진행된 공개 해부 시연은 해부 관람이 하나의 고급문화 활동으로 자리 잡게 만들었다. 레이던에서 시작된 해부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암스테르담으로까지 퍼졌고, 17세기 네덜란드의 대표 화가 렘브란트의 작품 <튈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에서 직접 해부를 수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등장하는 주인공 튈프는 그러한 변화의 중심에 위치했던 인물이었다. 튈프는 의사이자 의료 행정 개혁가로도 큰 업적을 남겼고, 그의 해부 강연은 암스테르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해부 강연에 의해 인체 해부는 징그러운 광경이 아니라 문화 시민이라면 충분히 관심을 가질만한 행위로 받아들여지게 되었고, 렘브란트가 작품의 주제로 튈프가 시체를 해부하고 있는 광경을 선택한 데에는 이러한 배경이 있었다. 렘브란트는 이러한 시민들의 생각의 변화를 읽어내고 화폭에 담아내면서 과학과 예술의 융합을 시도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