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P1

검색결과 557건 처리시간 0.023초

발효 콩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효과

  • 이효진;문선영;전윤영;최승필;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46.2-147
    • /
    • 2003
  • 콩 발효식품은 예로부터 단백질 식품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식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매우 중요한 식품 중의 하나였다. 발효식품에 대한 연구가 부진하였던 과거에는 콩 발효식품은 하나의 식품군으로서의 중요성을 가질 뿐 큰 관심의 대상은 아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많은 연구자들이 콩 발효시 생성되는 기능성 성분 및 생리활성 효과를 점차 밝혀냄으로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도 콩 발효에 의한 생리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Ames법에 의한 항돌연변이원 효과를 실험하였다. 콩 발효는 국산콩을 이용하여 메주에서 분리한 Bacillus sp. 와 Aspergillus sp.를 복합 발효시켜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조된 발효 콩 분말은 일반분석을 행하였으며, 70% 에탄올로 3회 추출하여 감압농축 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aqueous로 분획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 S. typhimurium TA98 및 TA100 균주를 이용한 유전자 복귀 돌연변이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70% 에탄을 추출물과 각각의 분획물 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었다. 또한 항돌연변이원 실험에서는 발암물질로서 직접 돌연변이원인 4NQO와 MNNG, 간접 돌연변이원인 Trp-P-1을 이용하였다. 특히 이들 발암물질 중 MNNG(0.4 $\mu\textrm{g}$/plate)의 경우 TA100 균주에서 ehtyl acetate 분획물에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86.6%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의 분획물에서도 70%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각 분획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효과 역시 높았으며, 분획물에 따라 서로 다른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아 저장할 때 대비 저온저장고에서는 111일 동안에 11.7%의 중량감모가 발생하였으나,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서는 5.6%의 중량감모만이 발생하여 약 50%의 중량감모를 줄일 수 있었으며, 배의 색깔이나 경도도 대비구 보다 우수하였다. 4. 배를 비닐로 포장하여 대비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경우와 비닐로 포장하지 않고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경우를 비교할 때 11월~다음해 1월 까지는 중량감모, 과피색깔 및 경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2월부터는 비닐로 포장하여 대비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배의 품질변화가 급격히 증가되어 중량감모, 과피색깔 및 경도가 신기술 투입시 보다 급속하게 나빠졌다.를 저장 25일 경과시까지 유지하였다. 수확 시 높은 품온을 갖고 있는 과일을 산지에서 예냉 처리를 한 후 저온 냉장차를 이용하여 유통한다면 관행 유통 구조보다 고품질의 포도를 유통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는 완숙된 고 당도(12.0~15.0Bx)$^{\circ}$ 포도를 수확 한 즉시 예냉 처리하고 저온 유통한다면 보다 신선한 과일을 소비자에게 전달 할 수 있을 것이다.갈변물질이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BAAG의 처리는 BAAC의 경우보다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항균력은 우수한 천연 항균복합제재로써 농산물 식품원료에 적용하여 선도유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 PDF

Verotoxin-2 A 유전자의 효소활성 부위에 대한 위치특이적 변이 및 결손변이유발 (Site-specific and deletional mutagenesis for two regions of Verotoxin-2 A gene encoding enzymatically active domain)

  • 김용환;김상현;차인호;김경숙;이영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41-546
    • /
    • 1997
  • VT2(Verotoxin-2)의 효소활성 영역에 해당되는 두 영역의 아미노산들에 대하여, 첫번째 보존영역의 Glu167을 conservative point mutation 시키고, 두 번째 보존영역의 구성 아미노산 5개 전부를 deletion mutation 시켜, 각 변이주에서 독성의 감소 정도를 wild type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pKSC101을 Eco RI과 Pst I으로 절단하여 940bp insert를 통일 제한효소로 절단한 M 13mp19에 삽입하여 pEP19RF를 구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dU-SSDNA template를 제조하고, mutagenic primer를 annealing 하여 변이를 도입하였으며, 변이가 도입된 insert를 acceptor plasmid에 삽입시켜 각각 발현 플라스미드 pOEX와 pDEX를 구축하였다. 각각의 mutant 단백질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pOEX와 pDEX를 JM109에 형질전환시켜 mutant 재조합 균주인 POMUT109와 DEMUT109를 작성하였다. 2. POMUT109와 DEMUT109를 IPTG 유도 발현시킨 배양상층액을 Vero cell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시험한 결과 wild type에 비하여 POMUT109의 배양 여액에서는 2000배, DEMUT109의 배양여액에서는 적어도 3000배 이상의 세포독성을 감소시켰다.

  • PDF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Exon 5번에서의 새로운 다형성 연구 (A Missense Mutation in Exon 5 of the Bovine Growth Hormone Gene)

  • 윤두학;김태헌;이경희;박응우;이학교;정일정;홍기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3-22
    • /
    • 2003
  • 성장호르몬 유전자는 하나의 작은 공통 선조 유전자로부터 아주 오랜 기간동안 유전자 중복에 의해 진화되어 온 그룹들 중의 하나이다. 이들에 속하는 유전자들은 동물 종간에 구조적인 상동성과 기능적 공통성 등 유사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이런 연구결과들을 근거로 하여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에서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영역으로부터 새로운 아미노산의 변이(missense mutation)를 검출하였고, 이 변이의 대립유전자 빈도는 소(cattle)의 종(species) 및 품종의 지리적 분포에 따라 일정한 경향 치를 보여 주었다. 한편 변경되어진 아미노산은 Tryptophan으로 이는 생물체에 존재하는 많은 단백질들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중에서도 그 출현빈도가 가장 낮은 것이다. 또한 검출된 변이는 성장호르몬이 그의 수용체와 강하게 결합하는 부위로서, 성장호르몬의 구조적 변이를 초래하여 수용체와의 결합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이후 성장호르몬이 표적세포로의 신호전달과 같은 역할을 제대로 수행치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가축의 표현되어지는 경제형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립유전자를 보유하는 개체는 집단에서 제거하는 방법에 의한 개량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vivo multiplex gene targeting with Streptococcus pyogens and Campylobacter jejuni Cas9 for pancreatic cancer modeling in wild-type animal

  • Chang, Yoo Jin;Bae, Jihyeon;Zhao, Yang;Lee, Geonseong;Han, Jeongpil;Lee, Yoon Hoo;Koo, Ok Jae;Seo, Sunmin;Choi, Yang-Kyu;Yeom, Su Cheong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2호
    • /
    • pp.26.1-26.14
    • /
    • 2020
  •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is a lethal cancer type that is associated with multiple gene mutations in somatic cells.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is hardly applicable for developing a pancreatic cancer model, and the xenograft model poses a limitation in the reflection of early stage pancreatic cancer. Thus, in vivo somatic cell gene engineering with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is drawing increasing attention for generating an animal model of pancreatic cancer. In this study, we selected Kras, Trp53, Ink4a, Smad4, and Brca2 as target genes, and applied Campylobacter jejuni Cas9 (CjCas9) and Streptococcus pyogens Cas9 (SpCas9) for developing pancreatic cancer using adeno associated virus (AAV) transduction. After confirming multifocal and diffuse transduction of AAV2, we generated SpCas9 overexpression mice, which exhibited high double-strand DNA breakage (DSB) in target genes and pancreatic intraepithelial neoplasia (PanIN) lesions with two AAV transductions; however, wild-type (WT) mice with three AAV transductions did not develop PanIN. Furthermore, small-sized Cjcas9 was applied to WT mice with two AAV system, which, in addition, developed high extensive DSB and PanIN lesions. Histological changes and expression of cancer markers such as Ki67, cytokeratin, Mucin5a, alpha smooth muscle actin in duct and islet cells were observed. In addition, the study revealed several findings such as 1) multiple DSB potential of AAV-CjCas9, 2) peri-ductal lymphocyte infiltration, 3) multi-focal cancer marker expression, and 4) requirement of > 12 months for initiation of PanIN in AAV mediated targeting. In this study, we present a useful tool for in vivo cancer modeling that would be applicable for other disease models as well.

Effects of amino acid composition in pig diet on odorous compounds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swine excreta

  • Recharla, Neeraja;Kim, Kihyun;Park, Juncheol;Jeong, Jinyoung;Jeong, Yongdae;Lee, Hyunjeong;Hwang, Okhwa;Ryu, Jaehyoung;Baek, Youlchang;Oh, Youngkyun;Park, Sungkw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12호
    • /
    • pp.28.1-28.8
    • /
    • 2017
  • Background: Major amino acids in pig diets are Lys, Met, Thr, and Trp,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requirements for the other essential amino acids, especially on odorous compounds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in feces of growing-finishing pigs. To this end, different levels of amino acid composition added to die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ino acid composition on microbial characteristics and odorous compounds concentration. Methods: A total eight (n = 8) barrows (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 with an average bodyweight of $89.38{\pm}3.3kg$ were individually fed diets formulated by Korean Feeding Standards 2007 (old version) or 2012 (updated with ideal protein concept) in metabolism crates with two replication. After 15-day adaptation period, fresh faecal samples were collected directly from pigs every week for 4 weeks and analysed for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 phenols and indoles by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nitrogen was determined by Kjeldahl method. Bacterial communities were detected by using a 454 FLX titanium pyrosequencing system. Results: Level of VFA tended to be greater in 2012 than 2007 group. Among VFAs, 2012 group had greater (p < 0.05) level of short chain fatty acids (SCFA) than control.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in feces was also affected by amino acid composition in pig diet. Levels of ammonium and indoles tended to be higher in 2012 group when compared with 2007 group.Concentration of phenols, p-cresol, biochemical oxygen demand, and total Kjeldahl nitrogen, however, were lower (P < 0.05) in 2012 treatment group compare to 2007. The proportion of Firmicute phylum were decreased, while the Bacteriodetes phylum proportion increased and bacterial genera includingCoprococcus, Bacillus, and Bacteroides increased (p < 0.05) in 2012 compare to 2007 group. Conclusion: Results from our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well balanced amino acid composition reduces odor by modulating the gut microbial community. Administration of pig diet formulated with the ideal protein concept may help improve gut fermentation as well as reduce the odor causing compounds in pig manure.

필수아미노산 결핍에 의한 섭식반응과 Methionine 결핍이 흰쥐의 뇌내 c-f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ssential Amino Acid Deficient Diets in Feeding Response and c-fos Expression in Rats Brain in Response to Methionine Deficiency)

  • 김창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727-738
    • /
    • 2002
  • 본 시험은 각각의 필수아미노산 결핍사료 섭취에 의한 단기간의 섭식반응과 methionine 결핍(-Met) 사료 섭취시 뇌내 각 부위에 나타나는 Fos 면역반응을 조사하여 아미노산 결핍이 뇌내 섭식반응과 관련있는 부위를 명확히 알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사료의 단백질원은 정제아미노산을 이용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모든 사료의 질소원은 순수 아미노산 혼합물을 이용하였으며, 사료내 단백질 함량은 15%로 하였다. 사료는 하루 6시간 동안 섭취하도록 적응을 시켰으며(17:00${\sim}$21:00, meal feeding method),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은 사료급여 7일째부터 매시간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각 필수아미노산 결핍사료가 사료섭취량, 체중 변화 및 섭식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고, 실험 2에서는 Fos 면역조직 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methio- nine 결핍사료에 대하여 회피 반응을 나타내는 동안에 활성을 보이는 뇌의 영역을 확인하였다. 각 필수아미노산 결핍사료 섭취에 따른 초기 섭식 억제 정도는 methionine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 반면 threonine이 가장 약하였다. 결핍사료 급여 3일째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 사료에 비하여 histidine(71%), leucine(68%), isoleucine (66%), threonine(63%), tryptophan(61%), valine (55%), phenylalanine(52%), methionine(51%), lysine(44%), arginine(24%) 순으로 억제되었다. 뇌 신경 영역에 Fos 면역활성은 PPC, amygdala 및 endopyriform cortex(EPC) 부분이 대조구에 비하여 강한 활성을 나타냈으나, LH, VMH 및 PVM에서는 대조구와 처리구가 비슷하게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뇌내 PPC는 필수아미노산 결핍에 반응하는 초기 인식부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 of keratinase on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in five feedstuffs fed to growing pigs

  • Huang, Chengfei;Ma, Dongli;Zang, Jianjun;Zhang, Bo;Sun, Brian;Liu, Ling;Zhang, Shu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2호
    • /
    • pp.1946-1955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keratinase (KE) on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amino acids (AA) in rice bran, cottonseed meal (CSM), rapeseed meal (RSM),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and peanut meal (PNM). Methods: Twelve crossbred barrow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50.5{\pm}1.4kg$ body weight [BW]) fitted with T-cannulas at the terminal ileum were allotted to a $12{\times}6$ Youden Square design with 12 diets and 6 periods. The treatment diets included rice bran, CSM, RSM, corn DDGS, PNM, or corn-soybean meal (cSBM) supplemented with 0.05% KE or not. Diets were given to pigs at a level of 3% BW in two equal meals. The endogenous AA losses were the mean results of three previously experiments determined by a same nitrogen-free diet fed to pigs. Pigs had free access to water during the experiment. Results: The KE supplementation improved (p<0.05) the AID and SID of Met, Thr, Val, Asp, Cys, and Tyr in rice bran. Inclusion of KE increased (p<0.05) the AID and SID of Met and Val in CSM. The KE supplementation decreased (p<0.05) the AID and SID of His in RSM and all measured AA except for Arg, Met, Trp, Val, Gly, and Pro in corn DDGS. There was an increase (p<0.05) in AID and SID of Leu, Ile, Met, Ala, Cys, Ser, and Tyr in PNM supplemented with KE compared with that without KE. Inclusion of KE increased (p<0.05) the AID and SID of crude protein, Leu, Ile, Phe, Thr, Asp, and Ser in cSBM.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KE had different effects on ileal AA digestibility of feedstuffs for growing pigs, which can give some usage directions of KE in swine feed containing those detected feedstuffs.

수면 박탈이 혈동태에 끼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effects of hemodynamics in sleep deprivation)

  • 김경철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25-145
    • /
    • 1999
  • The effects of Wang-ttum, Magnetic Water, Magnetic field and Sibjeondaebotang on hemodynamics in sleep deprivation were studied. The results as follows; 1. In case of Wang-ttum operated group,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at 12 p.m., 2 a.m., 4 a.m. in maximum blood pressure for the first and second overnight stay and at 2 a.m. for the third and, respectively, average blood pressure at 12 p.m., 2 a.m. for the 1st and 2nd overnight stay, minimum blood pressure at 10 p.m.. 12 p.m.. 2 a.m. for the 1st overnight stay and at 10 p.m., 12 p.m. for the 2nd and at 12 p.m. for the 3rd, pulse rate at 12 p.m., 2 a.m., 4 a.m., 6 a.m., for 1st and 2nd and at 2 a.m., 4 a.m. for the 3rd and 4th, TP-KS at 12 p.m., 2 a.m., 4 a.m., 6 a.m. for the 1st and 2nd and at 2 a.m., 4 a.m., 6 a.m. for the 3rd, PRP at 10 p.m., 12 p.m., 2 a.m., 4 a.m., 6 a.m. for the 1st and 2nd and at 12 p.m., 2 a.m., 4 a.m. for the 3rd and at 2 a.m., 4 a.m. for the 4th, TPR at 10 p.m., 12 p.m., 2 a.m., 4 a.m., 6 a.m. from 1st to 4th overnight stay. 2. In case of taking magnetic water group,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at 2 a.m., 4 a.m. in pulse rate for the 1st overnight stay and, respectively, PRP at 2 a.m. for the 1st, TRP at 10 p.m., 12 p.m., 2 a.m., 4 a.m., 6 a.m. for the 1st and 4th. 3. In case of attaching magnet group, TPR was significantly observed at 10 p.m. for the 1st overnight stay. 4. In case of medicating Sibjeondaebotang group,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at 10 p.m., 12 p.m., 2 a.m., 4 a.m., 6 a.m. in maximum blood pressure for the 1st and 2nd overnight stay and at 12 p.m., 2 a.m., 4 a.m., 6 a.m. for the 3rd and at 2 a.m., 4 a.m., 6 a.m. for the 4th and, respectively, average blood pressure at 10 p.m., 12 p.m. for the 1st and 2nd and at 10 p.m. for the 3rd and 4th, minimum blood pressure at 10 p.m., 12 p.m. from 1st to 4th, pulse rate at 2 a.m., 4 a.m., 6 a.m. from 1st to 3rd and at 2 a.m., 4 a.m. for the 4th, TP-KS at 10 p.m., 12 p.m., 2 a.m., 4a.m., 6 a.m. for the 1st and at 10 p.m., 2 a.m., 4 a.m., 6 a.m. for the 2nd and at 2 a.m., 4 a.m., 6 a.m. for the 3rd and at 6 a.m. for the 4th, PRP at 12 p.m., 2 a.m., 4 a.m., 6 a.m. for the 1st and at 10 p.m., 12 p.m., 2 a.m., 4 a.m., 6 a.m. for the 2nd and 3rd and at 12 p.m., 2 a.m., 4 a.m., 6 a.m. for the 4th, TPR at 10 p.m., 12 p.m., 2 a.m., 4 a.m., 6 a.m. from 1st to 4th. As mentioned obove, the effects of Wangttum and Sibjeondaebotang on hemodynamics in sleep deprivation were observed both the impulse of SIM-YANG and mutual function of QI-HYOL. The effects of Magnetic water and Magnetic field were observed the side of mutual function of QI-HYOL.

  • PDF

영암산 염건 숭어알의 가공과 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cessing and Compositions of Salted and Dried Mullet Roe)

  • 조상준;이종욱;김동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2-251
    • /
    • 1989
  • 전통식 품인 영암 어란의 제조 공정을 체계화 하여 숭어알을 염지하고 정형하여 참기름을 바르면서 건조하여 제조한 염건 숭어알과, 전처리를 동일하게 한 진공건조 숭어알을 저장하면서 지질을 분획하고 그 구성지방산을 분석하고 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숭어알을 채취하여 소금물로 씻고 10% 간장액에 24시간 염지하고 건조판 상에서 두께 1.2cm로 가압하여 정형하고 참기름을 1일 2회씩 바르면서 $20^{\circ}C$, 3m/sec 풍속과 70% R. H.에서 3주간 음건하여 제조하였다. 2. 지질함량이 40.12% 이었고, 유리지질은 62mg/100mg, 결합지질은 36mg/100mg이었으나 저장 중에는 감소하였다. 유리 및 결합지질을 분획하여 얻은 유리 중성지질이 40mg/100mg으로 최대 함량이었으나 9주째는 29mg/100mg까지 감소하였으며 결합중성 및 인지질은 각각 13mg/100mg씩, 당지질은 10mg/100mg이었으며 이들은 저장중에 감소하였다. 3. 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C_{18:2}$, $C_{18:1}$, $C_{18:0}$$C_{16:0}$의 순서로 다량 함유되었으며, 홀수지방산은 $C_{13:0}$에서 $C_{21:0}$까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55% 정도 함유되었으며 저장중 다가불포화지방산의 감소 속도는 신속하였다. 4. 구성아미노산은 18종으로 Glu가 11.17%, Pro이 8.33%, Leu이 7.38%, Lys이 7.26% 및 CySH 이 7.55%로 다량성분 이었으며, 이들의 단백가는 155%, 화학가는 109%이고 필수아미노산비(EAA/TAA)는 $0.4{\sim}0.44$이었다. 또한, 진공건조한 경우의 아미노산 함량은 3주째는 많았으나 저장중의 감소량이 많았다. 유리아미노산은 Pro이 50.6l%로 절반 이상이었고. Trp과 Tyr이 다량 함유되어 총 1,376mg% 이었다.

  • PDF

화살나무 물 추출물의 구성성분과 생리활성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Aqueous Extract Isolated from Winged Stem of Euonymus alatus)

  • 오봉윤;황수경;정미영;신홍식;박복희;이정호;김수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98-904
    • /
    • 2005
  • 본 연구는 화살나무의 줄기와 날개를 열수 추출하여 분자량 크기별로 네 분획(F I. F II, F III, F IV)으로 분리하여 각 분획물의 성분조성을 분석하였고, 이들 각 분획물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를 이용한 유리 라디칼 소거능과 동물 세포에서 활성산소종 제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열수 추출물의 정성반응 결과, 네 분획물 모두 대부분 탄수화물이었고, 소량의 단백질을 함유하였으며, 일부 분획물에는 소량의 페놀 화합물 및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구성 성분인 총당과 총단백질 함량은 448mg/g과 21mg/g이었으며, 총 당의 함량은 F III가 가장 높았고, F IV, F II 및 F I의 순서였다. 네 분획물을 가수분해하여 이들의 구성당을 분석한 결과, 중성당은 mannose : fucose : galactose : glucose가 0.01 : 0.02 : 0.14 : 0.83의 비율로, 아미노당은 galactosamine : glucosamine이 0.01 : 0.99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전체 구성당 함량에서 중성당 : 아미노당의 비율은 0.94 : 0.04로 조성된 다당체였다. 분획물별로 총단백질과 구성 아미노산은 F IV가 가장 높았으며, F III, F II 및 F I의 순서로 함유하였다. 조 추출물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종류와 양은 Glu>Asp>Pro>Gly>Leu>Val>Ser>Ala>Thr>Ile>Phe>Cys>His>Arg>Met>Lys>Try>Trp>Cys2의 순서로 19종의 아미노산이 분석되었으며, 특히 산성 아미노산과 중성 아미노산 함량이 높았다. 네 분획물을 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는 $50-1,000{\mu}g/mL$ 처리했을 때 농도에 비례하여 네 분획물 모두에서 F IV, F III, F II 및 F I의 순서로 활성을 나타냈다. CHO-k1 동물 세포에서 활성산소종 제거능을 조사한 결과는, 분획물을 $1-100{\mu}g/mL$까지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활성이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00{\mu}/mL$ 이상의 처리농도에서는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각 분획물별로 F IV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그 다음 F III, F I이었으며, F II은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화살나무 열수 추출물 중에는 항산화능과 활성산소종 제거능을 나타내는 물질이 여러 가지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분자량 크기별로 분획한 네 분획물의 정색반응과 성분조성을 조사한 결과, 주요 구성성분은 단백질이 결합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과 CHO-k1의 세포에서 활성산소종 제거능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다당체(bioactive carbohydrate)일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