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SAPLING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1초

Tree Diversity, Population Structure, Regeneration and Conservation Status in Sacred Groves of Jhargram District, South-West Bengal, India

  • Sen, Uday Kumar;Bhakat, Ram Kuma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3호
    • /
    • pp.169-192
    • /
    • 2021
  • Sacred groves are large areas of virgin or human-modified landscape with a diverse range of species that have been protected by local people for centuries due to cultural, religious beliefs, and taboo that the deities live in them and protect the villagers from various calamitie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diversity, population structure, regeneration and conservation status of tree species in the four 36.86 ha sacred groves of Jhargram district in West Bengal. Tree species composition, population structure and regeneration status were analyzed by randomly establishing of 1 ha subplots within the sacred groves. Density, frequency, basal area, abundance, evenness, and other diversity indices were calculated for adult trees with girth at breast height (GBH) >31 cm. A total of 146 tree species belonging to 116 genera distributed in 44 families from 21 orders were recorded. Pterospermum suberifolium, family Malvaceae showed the highest Species Importance Value Index (SIVI, 21.33) and Fabaceae showed the highest Family Importance Value Index (FIVI, 35.59) values respectively. Individuals are categorised into three groups, seedling, sapling and adult based on girth classes. The majority of tree species exhibited good (52.74%) regeneration followed by fairly (24.66%), poor (15.75%) and no regeneration (6.85%) respectively. With the healthy existence of the sacred grove, the overall population structure of tree species showed a strong regeneration potential. The current data will be useful in deter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ree species and will be used by the forest department, politicians, and conservationists to establish management plans for the conservation of priority species in the region. Since the study areas were sacred groves, tribal members were keen to preserve them due to their religious significance.

소나무 모수림 시업지의 임분구조 및 치수생육특성 (Stand Structure and Sap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 Stands Regenerated by the Seed Tree Method)

  • 이대성;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678-688
    • /
    • 2021
  • 본 연구는 소나무 모수작업에 따른 천연갱신 조성방안 및 산림시업지침을 마련할 수 있도록 2001년 실시된 소나무 천연하종갱신 시업지를 대상으로 작업 후 18년이 경과한 시기에 표준지조사를 실시하고 임분현황 및 치수생육상태를 분석하여 생장특성 및 임분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내 강원대학교 학술림에 위치하고 있으며, 설치된 모수시험림에서 2018년 11월 조사된 흉고직경, 수고, 수관급, 수간형질, 수령, 수고생장량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시 흉고단면적, 재적, 형상비와 더불어 임분상대밀도, 임목축적도 등의 추가인자를 산출하여 시업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잔존모수는 58본/ha으로 임목축적도 17.7%이었으며, 치수는 2,330본/ha으로 임목축적도 79.0%로 진단되었다. 치수의 수령은 2001~2007년에 발아분포를 보이고 있었는데 대부분은 15~16년생에 속하였다. 치수 생육상태는 흉고직경 10 cm, 수고 8 m로 파악되었다. 수관급이 우세할수록 흉고직경과 수고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분산분석 및 Duncan 다중비교검정에서도 수관급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0001). 형상비는 80~90% 범위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95%이상 대부분 치수의 형질은 수간이 곧고 분지가 없으며, 초두부가 부러지지 않고 병해충의 피해가 없는 양질의 형태로 파악되었다. 치수의 평균 연년수고생장량은 1년생 21.9 cm, 5년생 43.3 cm, 10년생 54.3 cm, 15년생 64.3 cm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수령증가에 따라 생장량이 우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분산분석 결과, 수관급별 연년수고생장량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파라미터 추정치는 수령이 증가하거나 수관급이 우세할수록 연년수고생장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원주 성남리 성황림-천연기념물 제 93호-의 생태적 변화 (Ecological Changes of Seunghwanglim -Natural Monument No. 93- Wonju Seungnamri)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59-564
    • /
    • 2007
  • 원주 성남리 성황림(척연기념물 제 93호)에서 보호철책의 설치 이후 노거수의 치수들이 어느 정도 생육하는가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성황림의 생태적 변화를 밝히고자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989년 보호철책의 설치로 사람들의 출입을 통제한 결과 평지림의 토양강도(토양견밀도)는 도로로 이용되었던 부분을 제외하고는 크게 완화되었다. 피해도 2, 3, 4로 지피식생이 없었던 평지림에서 1,202개체의 치수가 자라고 있어 가장 많았고, 피해도 1인 지역에서 565개체, 피해가 없었던 사면림에서는 403개체가 조사되었다. 수고 2m 이상의 유목단계인 치수들은 피해도 1인 지역에서 48개체로 가장 많았고, 피해도 2, 3, 4인 지역에서는 31개체, 피해가 없었던 사면림에서는 $400m^2$의 면적에 14개체로 조사되었다 교목의 치수들은 피해도 2, 3, 4로 지피식생이 거의 없었던 평지림에서 느릅나무, 복자기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피해도 1인 평지림에서 귀룽나무, 쪽동백, 피해가 없었던 사면림에서 고로쇠와 당단풍나무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피식생이 거의 없었던 평지림에서 줄딸기, 복분자딸기, 산딸기, 으름덩굴 등이 먼저 왕성하게 자라고 있으나 교목성 치수들의 생장에 따라 점차 개체수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한라산 황칠나무 집단의 구조 및 생육동태 (Population Structure and Growth Dynamic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Araliaceae) in Mt. Halla)

  • 김세현;정헌관;장용석;김선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8-256
    • /
    • 2004
  • 천연도료 황칠자원을 보전하고 육성하기 위한 육종계획의 일환으로 한라산 황칠나무 천연집단의 식생구조, 공간분포 및 생육동태 등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중요치(Ⅳ)가 높은 수종은 구실잣밤나무, 서어나무, 황칠나무, 종가시나무, 가시나무, 동백나무, 당단풍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 모든 조사구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수종은 구실잣밤나무와 서어나무 2종이었다. 층위별 황칠나무의 적산중요치는 상층에서 17.2%, 중층 12.9%, 하층 10.3%로 비교적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분포형은 상층, 중층, 하층에서 확률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칠나무 임분은 낙엽활엽수인 서어나무를 우점으로 하는 군집에서 종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를 우점으로 하는 군집으로 진행되는 천이단계에 있었으며, 황칠나무는 이들 임분에서 주로 상층의 아우점종이거나 중층의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Morisita's index를 통한 공간분포는 치수(seedling)와 어린개체 (sapling)들은 대체로 모수로서 추정되는 성숙목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집중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성숙목(Mature tree)은 규칙 분포하는 양상이었다. 결론적으로, 황칠나무는 다른 상록활엽 수들과 동반하여 집단 확산이 일어나며 , 집단의 확산을 위한 치수의 발생과 생장에 있어서 주변의 임분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체군의 동태를 예측한 결과, 낮은 직경급의 밀도가 높고 높은 직경 급의 밀도가 낮은 전형적인 역J자형 분포를 보였다.

도시공원에 식재된 왕벚나무 수종을 중심으로 한 수목활력도의 정량평가지표 개발 및 이론적 고찰에 관한 연구 (Indicators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ree Vigor Condition and Its Theoretical Implications : A Case Study of Japanese Flowering-cherry Trees in Urban Park)

  • 송영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7-67
    • /
    • 2014
  • The vigor condition of trees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orested area. But difficulties in how to assess the tree vigor condition still remain. Previous efforts were limited in the 1) measurement of single indicator rather than using multiple indices, 2) purpose-oriented measurement such as for air-pollution effect or specific pathological symptom, and 3) ordinal-scale evaluations by field crews 4) despite human errors based on his/her experiences or prior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quantitative and objective methodology for assessing tree vigor condition, by measuring multiple modules and building the profile inventory. Furthermore,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chematic frames describing tree vigor condition. The vigor condition of 56 flowering cherry plants in urban park were assessed by in-situ measurements of following eight items; growth of crown(Gc), growth of shoots, individual tree volume(Vol), plant area index, woody area index, leaf area index, leaf chlorophyll content(Lc) and leaf water content(Lw). For validation, these measurements were compared with the ranks of holistic tree vigor condition, which were visually assessed using a 4-point grading scale based on the expert's knowledge. As a result, the measures of each evaluation item successfully highlighted a variety of aspects in tree vigor condition, including the states of both photosynthetic and non-photosynthetic parts. The variation in the results depending on evaluated parts was shown within an individual tree, even though the broad agreement among the results was fou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ested measurements and 4-point visual assessment, demonstrated that the state of water-stressed foliage of the season (Lw) or the development of plant materials since sapling phase (Vol) could be better viewed from the outer appearance of trees than other symptoms. But only based on the visual assessment, it may be difficult to detect the quality of photosynthesis (Lc) or the recent trend in growth of trees (Gc). To make this methodology simplified for the broad-scale application, the tested eight measurements could be integrated into two component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hich was labelled with 'the amount of plant materials' and 'vigor tren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use of these quantitative and multi-scale indicators underlies the importance of assessing various aspects of tree vigor condition, taking into account the response(s) on different time and spatial scale of pressure(s) shown in each evaluated module. Future study should be advanced for various species at diverse developing stages and environment, and the application to wide areas at a periodic manner.

The Changes of Understory Vegetation by Partial Cutting in a Silvopastoral Practiced Natural Deciduous Stand

  • Kang, Sung Kee;Kim, Ji 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2호
    • /
    • pp.156-164
    • /
    • 2008
  •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multi-purpose management of natural deciduous fores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lement the partial cutting for stand regulation to examine agroforestry practice as well as other concurrent forest resource production,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tand characteristics and understory vegetation in a silvopasture practiced natural deciduous stand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Three different partial cutting intensities (68.1%, 48.6%, and control) were performed in the unmanaged natural deciduous stand in order to improve the growing condition, especially light condition, for introducing some commercial herbaceous plants on the forest floor to establish agroforestry and/or silvopastoral system. Dominated by Quercus varibilis Blume (50.5%) and Quercus dentata Thum. ex Murray (42.6%), eight tree species were composed of the study forest, including poles of Pinus desiflora Siebold & Zucc and sapling of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The total of 87 (13 tree species, 12 shrub species, 58 herbaceous species, and 4 woody climbers) vascular plant species were observed in study site after partial cutting treatments, while that of before partial cutting was 53 species (14 tree species, 8 shrubs species, 30 herbaceous species, and 1 woody climbers). The proportion of life form spectra in plot B was Mi (28.4%)-Na (23.0%)-Ge (17.5%)-Ch (10.8%)-He (9.5%)-MM (6.7%)-Th (4.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hanges of life form spectra from before to after partial cutting treatment and among partial cutting gradients in this study. Partial cutting and scratching for forage sowing made plants invade easily on the forest floor, and light partial cutting (LPC) plot (500 stems/ha) had much higher number of undersory species than those of heavy partial cutting (HPC) plot (310 stems/ha) and control plot (1,270 stems/ha).

벌채시기와 그루터기 높이가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 (Habitation of the Insect Vector, Monochamus alternatus of Pine Wood Nematode on Height Sound Stumps by Felling Seasons)

  • 전권석;박남창;이성민;최해웅;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2호
    • /
    • pp.170-175
    • /
    • 2013
  •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법 중 임업적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숲가꾸기 시 발생하는 어린 소나무림(수고 1~2 m)과 장령 소나무림(수고 9~10 m)의 건전한 벌근(伐根)이 소나무 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야외 그물망 케이지(1 m ${\times}$ 1 m ${\times}$ 1 m)내에 어린 소나무림과 장령 소나무림별로 4가지 종류의 처리를 하였다(2010년 2월, 2011년 2월, 4월, 6월). 2010년 6월 하순에 각 케이지 마다 4~5쌍의 솔수염하늘소 성충을 방사한 후 2011년 8월말까지 후식(maturation feeding)시켰다. 2011년 10월말에 각 시료목에 출연하는 유충의 침입공과 서식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솔수염하늘소의 우화 당년도인 2011년 2월, 4월, 6월에 숲가꾸기한 어린 소나무림과 장령 소나무림의 건전한 벌근에서는 솔수염하늘소 유충이 서식하였으나 솔수염하늘소 방사 16개월전인 2010년 2월에 숲가꾸기한 건전한 벌근에서는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이 출현하지 않았다. 어린 소나무의 벌근에 서식하는 유충은 장령 소나무의 벌근에 서식하는 유충에 비하여 몸통 크기가 작게 나타났으며, 장령 소나무림벌근의 경우 수피의 요(凹)형 부위(할목 부위)에서 유충이 서식하는 경향이었으며, 출현한 유충 모두가 수피부나 수피부와 목질부 사이에 서식하고 있었으나 목질부에서는 출연하지 않았다. 따라서 숲가꾸기한 건전목의 벌근처리에 대한 방제 지침을 마련을 위하여 건전목의 벌근 높이에 따른 매개충의 산란 및 유충 서식여부에 대한 조사가 요구된다.

Disturbance, Diversity, Regeneration and Composition in Temperate Forests of Western Himalaya, India

  • Tiwari, Om Prakash;Sharma, Chandra Mohan;Rana, Yashwant Singh;Krishan, Ra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6-24
    • /
    • 2019
  • We have investigated the impact of anthropogenic and natural disturbances on regeneration, composition and diversity in some temperate forests of Bhagirathi Catchment Area of Garhwal Himalaya. The forests were categorized on the basis of canopy cover and magnitude of disturbance into highly, moderately and least disturbed classes. The dominant tree species at lower elevation were Pinus roxburghii and Quercus leucotrichophora, while Abies pindrow, Q. semecarpifolia and Rhododenron arboreum were the dominant species at the upper elevational forests. Cythula tomentosa and Indegophera heterentha were the dominant shrub species present in all the forests. Similarly, Circium wallichii and Oxalis corniculata were the dominant herb species found in all forests (except Q. leucotrichophora forest), whereas Thalictrum foliolosum and Viola pilosa were noticed in each forest (except P. roxburghii forest). The tree density values oscillated between $400{\pm}10\;trees\;ha^{-1}$ to $750{\pm}89.1\;trees\;ha^{-1}$ which generally decreased from lower to higher disturbance regimes however, the total basal cover value was highest ($88.1{\pm}23.6m^2\;ha^{-1}$) in highly disturbed forest and lowest ($25.8{\pm}2.2m^2\;ha^{-1}$) in moderately disturbed forest. The shrub and herb densities were maximum in least disturbed forest, while the young regenerating individuals i.e., sapling and seedling were observed increasing from high to low disturbed forests which reflected that the forest fragmentation adversely affected the regeneration. However, A. pindrow and P. roxburghii were found invariably encroaching the habitats of R. arboreum and Q. leucotrichophora at various altitudes, respectively. The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learly indicated that the elevation and lopping intensity have more impact on trees, while shrub and herbs were more influenced by elevation, canopy cover, light attenuation and soil erosion. Pinus roxburghii was the only species which was affected by heavy litter removal and forest fire.

접목묘 및 접목원묘의 뽕밭 식재밀도별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Leaf Productivity in Various Densities of Plantation with Mulberry Saplings or Grafts)

  • 김호락;성규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2-109
    • /
    • 1994
  • 밀식뽕밭의 성력조성을 위한 접목원묘 직식조성구와 접목묘 식재조성구와 비교하여 식재밀도별(1,666~4,166주/10a) 생산성과 뽕잎의 사료가치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재당년에는 접목묘가 접목원묘에 비하여 생장이 빨라서 주당 주조장이 길었으나, 적심에 의하여 기조장이 증대되지는 않았다. 식재 2년 및 3년차의 춘기 주당 신초장 및 하기의 주당 기조장은 주당 기조수구 많았던 저밀도의 경우가 더 길었으나 10a당 기조장은 밀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어 고밀도일수록 길었다. 2. 불발아 및 고손장비율은 적심여부나 식재밀도에 따른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2. 주당 수량은 접목묘보다 많았으나 그 차이는 식재당년 가을 및 2년차 봄에 크고 그 이후 적어졌다. 식재밀도별 3년 평균주당수량은 1,666주구에 비하여 2,083주구가 다소 적었으나 그 이상 고밀도인 2,777~4,166주구에서는 23~39% 감소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10a당 수량은 식재당년부터 밀식일수록 많았으나 해를 경과하면서 그 차이는 적어졌다. 3년 평균으로 보면 2,083~4,166구는 관행 1,666주구에 비하여 20~63% 증수되었으나 2,083주이상에서는 밀도증가인만큼 중수정도가 크지 않았다. 적심은 기조장 및 수량증대에 영향하지 않았다. 4. 식재밀도와 수량구조요인과의 상관관계는 10a당 기조장과 수량과의 사이에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식재 2년차이후에는 식재밀도와 주당 수량과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내어 밀식에 따른 단위수량의 증대효과가 감퇴되었다. 5. 1,666, 2,083 및 2,777주 밀도의 1역식 식재양식은 같은 밀도의 2열식에 비하여 생산성이 높았다. 6. 식재밀도별 뽕잎의 사료가치를 누에사육시험에 의해 조사한 결과는 1,666~3,333주 밀도사이에서 상견비율, 수견량, 견중 및 견층중의 차이가 없었다.

  • PDF

환경구배처리에 따른 떡갈나무의 생육 반응 (The Growth Response of Quercus dentata Sapling to the Environmental Gradients Treatment)

  • 이상경;유영한;이훈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97-601
    • /
    • 2010
  • 떡갈나무는 우리나라의 건조한 석회암 지역에 서식하는 주요한 교목이다. 본 연구는 떡갈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생육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광, 수분 그리고 유기물 등의 환경요인을 각각 4구배로 하여 온실에서 유식물에 처리하여 생육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광 구배에서 지상부, 지하부 그리고 식물체 무게는 높은 조건에서 잘 자랐고, 낮은 조건에서 못 자랐다. 지하부/지상부 비는 가장 높은 조건에서 제일 높았다. 수분 구배에서 모든 측정 항목에서 구배에 따른 생육의 차이가 없었다. 유기물 구배에서 지상부, 지하부 그리고 식물체 무게는 약간 높은 조건에서 잘 자랐고, 이보나 낮거나 높은 조건에서 못 자랐다. 이상으로 볼 때 떡갈나무의 생육은 수분 조건보다는 광 조건과 유기물 조건에 의하여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