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MJ sound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OCCLUSAL REPOSITIONING SPLINT에 의한 악관절음(顎關節音)의 치료(治療)에 관한 비교연구(比較硏究) (COMPARATIVE STUDY OF EFFECT OF STABILIZATION SPLINT AND ANTERIOR REPOSITIONING SPLINTS FOR CLICKING SOUND)

  • 홍준표;우이형;최대균;최부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41-150
    • /
    • 1986
  • This study conducted 2 types of occlusal splint therapy to eliminate clicking sound. 15 patients who had clicking on their joints were selected, and divided, at random, into 3 groups. In the first group, 4 persons put on stabilization splint and in the second group, 6 persons put on anterior repositioning splint which had made condyle to protrude 3mm, and in the last group, 5 persons put on anterior repositioning splint which had made condyle to protrude 6mm. Patients who wore anterior repositioning splint were instructed to use the splint for all days. The evaluation of clicking was measured by occlusal soundscope. The clicking was converted to aucostic signal by the attached microphone, instead of vibrating sensor The in-put aucostic signal on the occlusal soundscope made it possible to observe the experiment's result. Anterior repositioning splint was produced in the centric occlusion state, when the model was mounted to articulator and inserted two pieces of 3mm and 6mm resin blocks each into the rear wall of articulator fossa. The observation of the patients who wore three different splints for 3 weeks ha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Stabilization splint produced no effect in eliminating the clicking sound. 2. Anterior repositioning splint therapy with 3mm condylar protrusion produc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eliminating the clicking sound. 3. The 6mm protruded anterior repositioning splint caused pain on affected TMJ area as well as the clicking on unaffected joint.

  • PDF

관절과두를 닮은 오훼돌기 변형증의 일 증례 (A CASE OF CORONOID PROCESS MALFORMATION MIMICKING CONDYLAR HEAD)

  • 김종렬;이성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157-161
    • /
    • 1994
  • 이상에서 저자들은 하악관절과두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편측성과 양측성 오훼돌기 변형증의 가각의 원인, 성장형태, 발현연령과 성별 및 발생기전등에 대해서 문헌 고찰을 해보 았다. 본 증례에서도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환자의 과거 병력상 우축 악관절의 외상으로 추정된다. 외고작으로 exploration시 coronoidotemporal area에서 또 다른 관절의 양상을 보여 주어 이중관절을 이루고 있었으며 오훼돌기의 절제와 함께 물리치료 후 환자는 개구시 악골의 심한 우측 악관절의 관절잡음도 들리지 않았다. 현재 환자에게서 볼 수 있는 안면비대칭은 향후 주기적인 관찰과 성장 여력에 의해 개선이 기대되지만 추후 악교정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Air Insoles in Improv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Mi-Ae Sung;Su-Youn Ko;Dong-Kyu Kim
    • PNF and Movement
    • /
    • 제21권3호
    • /
    • pp.273-280
    • /
    • 2023
  • Objective: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ir insoles are used to investigate functionality and pain change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when walking in daily life. Intervention: Sixty-fiv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were recruited: 34 as a control group who walked more than 7,000 steps a day in daily life, and 31 as an experimental group who were instructed to take at least 7,000 steps every day while wearing their air insoles. Measurement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ir insoles on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steady-state pain, maximum mouth opening, average pain, and the most severe pai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addition, to evaluate functionality, the ability to open the mouth in a comfortable state, pain when opening the mouth, and the point of sound and maximum degree to which the mouth could be opened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sults: Pain, mouth openness, and sound poi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maximum mouth opening ran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When air insoles were used by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he functionalit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was improved and pain was decreased.

악관절 잡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ound Analy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 Soo-Yong Kim;Sung-Chang Chung;Hyung-Suk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7권2호
    • /
    • pp.51-61
    • /
    • 1992
  • 저자는 서울대학병원 치과진료부 구강진단과를내원한 두 개하악장애 환자 중, 악관절음이 있음을 호소하는 환자 106명을 대상으로 SonoPAK을 이용하여 악관절음을 분석하고 Transcranial TMJ Series와 파노라마상 판독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onoPAK에 기록된 210회의 발생 악관절음 중 왕복성 관절음은 44건, 88회 발생하였고, 개구시 관절음은 74회, 그리고 폐구시 관절음은 48회 발생하였으며, 개구시에 관절음이 더 빈번히 나타났다. 2. 왕복성 악관절음이 있다고 인정되는 혼자군에서, 개구시 평균 최대 단위는 18.6(%)$\pm$15.6(%), 폐구시 평균 최대 진폭은 16.6(%)$\pm$17.4(%) 이었으며, 개폐구간 진폭의 차이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p>0.05). 3. 악관절음을 미약한 소리, 중간소리, 큰소리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각각 110, 79,21회의 발생을 기록하였다. 4. (>300Hz)/(<300Hz)의 비율이 0인 경우는 34회 였고, 300Hz 이상의 주파수가 관찰된 경우는 176회였다. 5. Transcranial TMJ projection series 와 파노라마상의 판독 결과 하악과두의 골 변화가 인정된 환자군에서 SonoPAK 기록의 평균 주파수 비율((>300Hz)/(<300Hz))은 0.387$\pm$0.284이었고 골 변화가 인지되지는 않았으나 주파수 비율이 0.01 이상인 환자군의 평균은 0.286$\pm$0.227이었다.

  • PDF

Clinical evalu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patients

  • Jang, Jin-Hyun;Choi, Sung-Keun;Park, Sung-Ho;Kim, Jin-Woo;Kim, Sun-Jong;Kim, Myung-R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3호
    • /
    • pp.139-144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occurrence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1 patients who underwent orthognathic surgery for the correction of dentofacial deformities by a single surgeon at Mokdong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from 2000 to 2010. They underwent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for the treatment of undesirable mandibular advancement.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symptoms prior to surgery were recorded and the radiographic evaluation (panorama, bone scan,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the post-surgery temporomandibular joint (TMJ) were assessed in order to evaluate condylar resorption, remodeling and disc displacement. The minimum follow-up period, including orthodontic treatment, was 12 months. Orthognathic procedures included 1-jaw surgery (n=8 patients) and 2-jaw surgery (n=13 patients). The monocortical plate was used fo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fixation. Results: Among class 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TMD symptom, clicking improved in 29.1%, and maximum mouth opening increased from $34.5{\pm}2.1$ mm to $37.2{\pm}3.5$ mm.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Radiographic changes in bone scan improved slightly based on the report by radiologist but not in TMJ dynamic MRI. Conclusion: No particular improvements were found in patients with joint sound only. Patients with limitation of mouth opening showed an increase in the degree of opening,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대구광역시 일부 초등학교 교사들의 주관적인 구강보건실태 (A study of subjective oral health actual condi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egu area)

  • 최성숙;김재도;류혜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48-261
    • /
    • 2009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figure out Oral Health Actual Condi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eagu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hrough May 2008. Method : A total of three hundred and t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ral Health Actual Condition and cognition, Diet habit or living and one's own intellect health state, Oral disease sign symptoms of percent and 2-test and One-way ANOVA test by using SPSS12.0 Program. Results : 1. The most of result Frequencies of tooth brushing per one day were 3 over 91.0% and Oral Examination, Oral Health Education need. 2. The result of oral disease sign and symptom were hypersensitivity due to cold food(39.0%), halitosis(21.6%), gingival bleeding tendency(21.3), clicking sound on TMJ(18.7%), hypersensitivity due to tooth burshing(17.1%), easy crown fracture and to be fine(10.0%), pain on TMJ or limitation of mouth opening(7.1%). 3. The most of result age a group oral hygiene assistance article age 20 for interdental tooth brushing(46.4%), age 50 over not used interdental tooth brushing 38.5%. 4. The result of sign and symptom and snack follow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health of own cognition and Oral health of own cogni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Conclusion : The study of understanded the Subj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ral Health Actual Condition and Promotion of Oral Health follow up Oral examination and Oral Health Education have to system groping.

  • PDF

An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associated history and problems in Nepalese subjects

  • Rokaya, Dinesh;Suttagul, Kanokwan;Joshi, Shraddha;Bhattarai, Bishwa Prakash;Shah, Pravin Kumar;Dixit, Shantanu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27-33
    • /
    • 2018
  • Backgrou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represents a subgroup of painful orofacial disorders involving pain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fatigue of the cranio-cervico-facial muscles (especially masticatory muscles), limitation of mandible movement, and the presence of a clicking sound in the TMJ. TMD is associated with multiple factors and systemic diseas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TMD in Nepalese subjects for the first time. Methods: A total of 500 medical and dental students (127 men and 373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May 2016 to September 2016. The Fonsec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tool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TMD, and Fonseca's Anamnestic Index (FAI) was used to classify the severity of TMD. Result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ith TMD had a history of head trauma, psychological stress, and dental treatment or dental problems. The prevalence of TMD in Nepalese students was mild to moderate.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TMD in Nepalese subjects was mild to moderate. The majority of the study subjects had eyesight problems, history of head trauma, psychological stress, and drinking alcohol and had received dental treatments.

일부 치과 외래환자의 측두하악장애 실태와 음식섭취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Food Intake Ability among Dental Clinic Outpatients)

  • 한세영;유지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85-292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의원에 내원한 일부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측두하악장애 실태와 음식섭취능력을 파악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대전광역시 소재 5개 치과의원에 내원한 외래환자 208명을 대상으로 2010년 1월부터 9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 악습관 및 이상기능, 음식섭취능력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을 보면 악관절 동통 45.7%, 관절잡음 45.2%, 저작 시 동통 41.3%, 개구 시 동통 38.0%, 비저작시 동통 19.7%, 관절탈구 13.0% 순으로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른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을 보면 관절탈구별로는 남자군 18.0%, 여자군 8.3%로 관절탈구를 보였으며(p=0.038), 저작 시 동통별로는 남자군 49.0%, 여자군 34.3%로 저작 시 동통을 보였으며(p=0.031) 유의하게 높았다. 3. 성별에 따른 악습관 및 이상기능을 보면 이악물기별로는 남성군 35.0%, 여성군 22.2%로 이악물기를 보였으며(p=0.041), 이갈이별로는 남성군 21.0%, 여성군 9.3%로 이갈이를 보였으며(p=0.018) 유의하게 높았다. 4. 연령에 따른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을 보면 악관절 동통별로는 21-30세군에서 자주 27.8%, 가끔 25.0%로 52.8%가 악관절 동통을 보였으며(p=0.001) 유의하게 높았다. 5. 연령에 따른 악습관 및 이상기능을 보면 두통여부별로는 31세 이상군에서 48.3%가 두통을 보였으며(p=0.046) 유의하게 높았다. 6.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에 따른 음식섭취능력을 보면 관절잡음이 없는 군일수록(p=0.000), 저작시 동통이 없는 군에서(p=0.000), 악관절 동통이 없는 군 일수록(p=0.000) 유의하게 높았다. 7. 악습관 및 이상기능에 따른 음식섭취능력을 보면 이악물기가 없는 군에서(p=0.000), 이갈이가 없는 군에서(p=0.000), 두통이 없는 군에서(p=0.000) 유의하게 높았다. 8. 조사대상자의 측두하악장애에 따른 치료방법을 보면 휴식 30.8%, 물리치료 24.0%, 약물치료 16.4%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 시 동통별로는 저작 시 동통에서 36.0%로 약물치료가, 악관절 동통별로는 악관절 동통에서 자주 52.4%, 가끔 40.5%로 약물치료와 물리치료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0).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측두하악장애의 복합요인에 대한 관리 조사가 병행되어 치료 및 예방 등에 대한 프로그램의 구축과 음식섭취능력을 높여 삶의 질이 향상되어지도록 신체적,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인 측면을 고려함과 동시에 개인차가 심하기 때문에 다각적인 후속 연구가 계속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급성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에 따른 급성 교합변화의 증례 (Acute Occlusal Change Following Acut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 Case Report)

  • 정재광;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205-211
    • /
    • 2012
  • 35세 여자환자가 갑작스런 개구장애와 함께 발생한 급성 교합변화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이전 수년 동안의 관절잡음의 병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관절잡음의 소실과 동시에 개구제한이 발생하였음을 보고하였다. 환자는 개구제한과 함께 개구시 우측 악관절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구강내 교합 검사 시 전치부의 개교합과 함께 하악이 우측으로 전위된 양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좌측으로의 측방운동량 또한 감소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악관절에서 비정복성 관절 원판 전방 변위가 관찰되었으며 후방 관절강의 협착이 관찰되었다. 이 환자는 우측 악관절의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로 진단되었으며, 급성 교합변화는 변위된 관절원판에 의해 야기된 과두위치의 변화로 초래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처음 3개월간의 물리치료와 약물치료와 병행된 안정교합장치요법에서는 만족할 만한 치료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나, 그 다음 약 8개월간 사용된 악간견인장치 치료를 통해서 통증 및 교합변화가 해소되었으며 정상적인 개구량으로 회복되었다. 술후 촬영된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과두가 재형성된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경기도 지역 대학생의 측두하악장애증상에 관한 역학적 연구 (An Epidemiologic Study of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Korean College Students)

  • 박혜숙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91-104
    • /
    • 2007
  • 측두하악장애증상과 이와 관련될 수 있는 기여요인들의 유병율을 알아보고자 경기도 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측두하악장애증상의 증상별 빈도, 성별, 연령별 양상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대상자 중 한 가지 이상의 측두하악장애 주관적 증상을 가진 자는 80.6%였다. 2.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증상은 두통(45.7%)이고 그 다음이 관절음(43.5%)이었는데 두 가지 모두 남녀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3. 20대 남자 연령이 증가할수록 급성 부정교합 증상 비율이 낮았으며, 20대 여자 연령이 증가할수록 저작시나 말할 때의 악관절부 동통 증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 4.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낸 증상으로는 개구시 악관절부 동통, 저작시나 말할 때의 악관절부 동통, 턱 피곤함, 급성 부정교합 증상이 있고,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낸 기여요인으로는 턱 괴기, 스트레스, 껌씹기, 불면증, 이악물기가 있다. 5. 기여요인과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이악물기, 불면증, 편측저작, 턱 괴기, 스트레스에서 유의성이 높았다. 6.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은 보통 성격과 관련성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