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M format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7초

군산지역 음용지하수 트리할로메탄(THMs)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Ms Formation in Drinking Underground Water at Kunsan)

  • 황갑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2-128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THMFP) levels in drinking underground water and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in Kunsan area. In drinking underground water, THMFP increased with the lapse of reaction time and 96hr-THMFP was the highest of THMFPs examined. In many cases, 24hr-THMFP, 48hr-THMFP and 96hr-THMFP reflected 2hr-THMFP level due to the largest composition ratio of CHCl$_3$ decreased with the lapse of reaction of CHCl$_3$ among THM individuals. CHCl$_3$ was mostly formed within early 2hour of reaction time, but CHClBr$_2$ and CHBr$_3$ continued their formation until 48 hour. Accordingly, the composition ratio of CHCl$_3$ decreased with the lapse of reaction time while that of total Br derivatives increased. 96hr-THMFPs of drinking underground water in Kunsan area ranged from N.D.(not detected)~98.80 $\mu\textrm{g}$/$\ell$ and, in general, those of western section of Kunsan area, closer to the coast, showed the higher tendency. But, from their large range of variance,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MFPs differ individually even in the same section depending on such factors as the difference of water stream, circumstances of management and so on. All the parameters for water quality examined(pH, KMnO$_4$ consumption;UV$_{254}$ , TOC. Cl$^{[-10]}$ ) showed very week corelation with 96h-THMFP.

  • PDF

대구수돗물의 THMs 생성특성 (A Study on Characterization of THMs Formation in Tap Water in Daegu)

  • 배기수;백윤경;류기성;신상희;이찬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893-899
    • /
    • 2011
  • 정수처리공정별 THMs 현황과 영향인자와의 상관성 등 생성특성을 분석하고 저감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연구하였다. M정수장의 처리공정은 전염소-응집-침전-여과-오존-활성탄-후염소로 구성되어 있다. 공정별 THMs 농도는 응집침전여과의 기본공정에서 92~93%가 생성되어 전염소처리공정이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Ms 생성과 원수수온, $KMnO_4$소비량의 결정계수는 0.80, 0.72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수장에서는 원수수온과 $KMnO_4$소비량으로 생성농도를 예측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판단된다. 중염소처리를 한 경우 정수 THMs이 전염소처리의 48% 수준으로 나타나, 염소 주입지점만 변경하는 중염소 처리가 THMs 저감에 유용한 방식으로 판단된다. 전구물질 제거를 위한 분말 활성탄 실험에서는 전염소 앞단에 주입하는 경우에 THMs 생성이 줄었다. 생성된 THMs 제거에는 에어스트리핑 방법이 효과가 있었다.

복합 처분환경 모사조건에서의 KURT 화강암의 역학적 물성 변화 평가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KURT granite under simulated coupled condition of a geological repository)

  • 박승훈;김진섭;김건영;권상기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01-518
    • /
    • 2019
  • 심부 지하환경 조건에서 측정된 암석물성의 사용은 고준위폐기물처분장의 장기 안전성 평가 측면에서 해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지하처분연구시설(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Underground Research Tunnel, KURT)의 화강암(한국원자력연구원, 대전)을 대상으로 고준위폐기물 처분장에서 예상되는 복합환경 조건을 구현한 후 암석의 역학적 물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심지층 처분환경이 모사되도록 열-수리-역학적 복합 환경(Thermo-Hydro-Mechanical, THM)이 조절될 수 있는 실험장치를 제작하였다. 다양한 복합 실험조건(M, HM, TM, THM)을 구현하여 일축압축강도와 간접인장강도, 탄성계수, 포와송비 등의 암석물성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처분장 근계암반 예상 온도범위 내에서는 KURT 화강암의 역학적 물성이 온도의 영향 보다 포화유무에 따른 변화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온도 조건에서 포화 유무에 따른 일축압축시험 결과는 최대 약 20%의 상대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간접인장시험 결과는 최대 13%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처분장의 장기거동에 따른 성능평가 및 안전성 예측을 위해서는 기존의 상온 실내시험을 통해 도출된 암석물성을 사용하기보다 심부 지하환경을 반영한 암석의 복합물성을 활용하는 것이 해석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농촌지역 마을상수 중 trihalomethanes의 농도 분포 및 생성 특성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nd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rihalomethanes in drinking water supplies to rural communities)

  • 김희갑;김세영
    • 분석과학
    • /
    • 제28권1호
    • /
    • pp.58-6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마을상수 중에 함유된 trihalomethanes (THMs)의 농도 분포 및 발생 특성을 파악하였다. 농촌지역의 마을상수 시료는 2010년과 2011년 여름에 강원도 춘천시의 40가정에서 두 차례에 걸쳐 채취하였고, 도시상수 시료는 2011년의 같은 기간에 비교 목적으로 20곳의 수도꼭지에서 채취하였다. 현장에서 수온, pH 및 잔류염소(총 및 유리) 농도를 측정하였고, 물 시료는 실험실에서 용존 유기탄소(DOC)와 THMs 농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을상수 중 DOC의 평균 농도는 원수로 사용된 지하수와 지표수 간에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1.81 vs. 1.91 mg/L). 그러나 마을상수의 지하수에서($9.77{\mu}g/L$)의 총 THMs(TTHMs)의 평균 농도는 지표수보다($2.85{\mu}g/L$) 훨씬 더 높았고, 도시상수 중 TTHMs의 평균 농도($10.8{\mu}g/L$)와 유사하였다. 도시상수와는 다르게, 마을상수(특히 지하수)는 dibromochloromethane (DBCM)과 같은 더 많이 브롬화된 THMs을 함유하였는데, 이는 마을상수의 원수 중에 bromide ion(Br-)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존재함을 암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마을상수는 도시상수와는 다른 THMs 생성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아마도 원수의 수질 특성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온실가스($CO_2$) 지중저장과 암반공학적 기술요소 (Greenhouse Gas ($CO_2$) Geological Sequestration and Geomechanical Technology Component)

  • 김형목;박의섭;신중호;박용찬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3호
    • /
    • pp.175-184
    • /
    • 2008
  • 본 고에서는 온실가스 감축방안으로 배출 $CO_2$를 지하심부에 격리 저장시키는 지중 저장기술의 국내외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지반 및 암반공학적 관련기술로서 $CO_2$ 주입에 따른 대상지층의 역학적 안정성 및 누출경로 평가를 위한 열-수리-역학적 연계해석기술 및 적용사례, 기술개발요소를 소개하였다.

The Effect of Porosity of Seiving Particles on the Romoval Efficiency of Organic Substances via Biofilter in the Fixed Bed

  • Park Young Gyu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1호
    • /
    • pp.31-37
    • /
    • 2002
  •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a biodegradation of materials adsorbed on different porous granular-activated carbons (GACs) such as coal-& coconut-based GAC. Total organic carbon, humic substance and ammonia were used to compare their removal efficienc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dsorption capacity of bioregenerated GAC. When raw water reacted with chloride, the yield of THMs increased as a function of the input amount of chloride. The formation of trihalomethanes (THMs) was investigated in water treated with chlorine when humic acid was used as THM precursor. As the input amount of chloride in raw water increased by two or five-fold to remove the $NH_3$, the chloroform of the THMs significantly increased also five or ten-fold. It was found that the chloroform was significantly removed by the treatment of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G) in comparison with the ozone treatment,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THMs in coal-typed GAC was $10-30\%$ better than coconut-typed GAC due to the biological degradation on the surface of the activated carbons.

음용 원수의 염소소독에 의한 소독부산물 생성패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Pattern of DBPs by Disinfection of Drinking Raw Water)

  • 이강진;홍지은;표희수;박송자;유제강;이대운
    • 분석과학
    • /
    • 제16권3호
    • /
    • pp.249-260
    • /
    • 2003
  • 한강에서 채취한 원수에 염소소독제인 hypochlorite를 $10{\mu}g/m{\ell}$의 농도로 투여한 후 1시간~14일까지 TOC (total organic carbon), 잔류염소량 및 탁도 등을 측정하고 THMs (trihalomethanes), HANs (haloacetonitriles), HKs (haloketones), chloral hydrate 및 HAAs (haloacetic acids) 등의 염소소독 부산물의 생성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잔류염소량은 투여후 1시간 경과 시 $6{\mu}g/m{\ell}$ 이상에서 14일째에 $1.23{\mu}g/m{\ell}$으로 감소하였으며 TOC 및 탁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7일 후 발생한 총 소독부산 물의 농도는 $101.3ng/m{\ell}$ (789.6 nM)이며 이 중 THMs이 6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외에 HAAs가 19%, chloral hydrate가 10% 정도 검출되었으며, HANs와 HKs 및 chloropicrin 등은 미량 검출되었다. THMs 중에서는 chloroform이 $61.5ng/m{\ell}$로 총 THMs 중 약 89% 정도를 차지하였으며 HANs 중에서는 DCAN이 95%인 $0.72ng/m{\ell}$, HAAs 중에서는 TCAA가 50% 등으로 가장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각 부산물의 발생량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THMs과 HANs의 경우 THMs의 농도가 $40ng/m{\ell}$인 지점을 경계로 HANs과 경쟁적 발생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HAAs의 경우는 특별한 경향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전체적으로 초기에 산화상태가 큰 화합물에서 산화상태가 작은 화합물로 점차 변화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수중 Trihalomethanes, 농약, 중금속 및 합성세제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한 수처리 방법 제 1보. -상수중 Trihalomethanes의 효율적인 제거방법-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al of Trihalomethanes, Pesticides, Heavy Metals and Detergent in Drinking Water (1). -Effective Removal Method of Trihalomethanes in Drinking Water-)

  • 박종우;김장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72-479
    • /
    • 1994
  • 상수처리시 토양현탁액과 같은 유기물이 있을 때 산화제, 응집제 및 흡착제의 종류를 달리하고 처리방법을 변경시켰을 때 THMs 및 유기물의 제거정도를 조사하였다. 산화제로 처리된 $ClO_2$가 다른 산화제인 $Cl_2,\;NH_2Cl,\;KMnO_2$$O_3$ 보다 THMs 생성억제와 THMs의 전구물질인 유기물을 제거시키는데 가장 효율적이었다. 산화제$(Cl_2,\;NH_2Cl,\;KMnO_4,\;ClO_2,\;O_3)$를 응집 이후에 처리하였을 때 유기물의 양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THMs의 생성량은 응집 이전 처리보다 약 $36.7{\sim}8.2%$ 정도 감소하였다. 수중 유기물을 응집 제거시키기 위하여 응집제로 alum과 ferric sulfate를 처리하였을 때 응집 효율은 유기물의 분자량 분포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THMs 제거 및 생성 억제를 위한 활성탄의 처리는 여과 이후의 처리가 산화제 처리 이전의 활성탄 처리보다 효과적이었다.

  • PDF

녹조류(Chlamydomonas pulsatilla)에 의한 염소소독부산물 생성과 그 특성 (Characteriza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by Chlamydomonas pulsatilla)

  • 금희정;김준성;정용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35-540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lorinated disinfection by-products formation potential (DBPFP) produced from the cell and extracellular product (ECP) of Chlamydomonas pulsatilla after chlorination. Reaction yields of DBPs produced by C. pulsatilla of ECP and the cell were $0.007{\mu}mol/mg{\cdot}C$ and $0.808{\mu}mol/mg{\cdot}C$ respectively, Also, SUVA values of ECP and the cell were measured as $0.313L/mg{\cdot}m$ and $1.052L/mg{\cdot}m$ respectively, The DOC of cell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ECP, while the SUVA value and reaction yields for the cell were higher than those of ECP. For ECP, most of the DBPFP was composed of trihalomethanes (THM; 47.3%) and haloacetonitriles (HAN; 38,83%). THM and HAN were the major DBPFP produced by the cell. Chloroform was found to be the major THM compound; 98.3% for ECP and 99.98% for the cell. Dichloroacetic acid (DCAA) and dichloroacetonitrile (DCAN)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haloacetic acid (HAA) and HAN compounds formed by ECP and the cell as a precursor, respectively. As the chlorine dose was increased, concentrations of DOC, THMs, and HANs were increased. However, the chlorine dose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오존산화에 의한 반응성염료의 제거 및 THM생성능의 제어 (Ozonation of Reactive Dyes and Control of THM Formation Potentials)

  • 한명호;김범수;허만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4-40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move the reactive dyes by the Ozone demand flask method which are one of the main pollutants in dye wastewater, Ozone oxidation of three kinds of the reactive dyes was examined to investigate the reactivity of dyes with ozone, 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s(THMFPs), competition reaction and ozone utilization on various conditions for single- and multi-solute dye solution. Concentration of dyes was decreased continuously with increasing ozone dosage in the single-solute dye solutions. THMFPs per unit dye concentration were gradually increased with increase of ozone dosage. By the result of THMFPs change with reaction time, THMFPs were rapidly decreased within 1 minute in single-solute dye solutions. Dey were increased after 1 minute of reaction time, and then they were consistently decreased again after longer reaction time. Competition quotient values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preferential oxidation of individual dyes in multi-solute dye solutions. Competition quotients$(CQ_i)$ and values of the overall utilization efficiency, no$_3$, were increased at 40mg/1 of ozone dosage in multi-solute dye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