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 ultrastructur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8초

산 표면처리 후 상아질 표면의 습윤이 하이브리드층 형성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RESIN-DENTIN HYBRID ZONE PRODUCED BY THE MOISTENING OF ACID CONDITIONED DENTIN SURFACE)

  • 이광원;이명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2호
    • /
    • pp.463-486
    • /
    • 1995
  • The effect of moistening and air-drying of acid-conditioned dentin before priming on the formation of resin-dentin hybrid zone was investigated, Freshly extracted human molars were used and divided at random into 5 groups, Groups 1 - 3 consisted of specimens conditioned with 10 % phosphoric acid for 20 seconds; Group 1 served as a control in which the conditioned dentin was simply blot-dried with a damp facial tissue; Group 2 was air dried for 30 seconds ; Group 3 was air dried for 30 seconds and immediately remoistened for 10 seconds with air-water syringe. and then the specimen was blot-dried with a damp facial tissue. Groups 4-5 were not acid conditioned ; In group 4, the smear layer on the dentin was blot dried before primer placement; Group 5 was air dried only for 30 seconds, The acetone-based primer and bonding agent of All Bond 2 (Bisco. Inc., USA) and composite resin (Z-100, 3M Dental products, USA) were applied for acid conditioned dentin and non-conditioned dentin. The morphologic ultrastructure of resin-dentin hybrid zone was examined by the use of SEM and TEM. and the existence of inorganic material and analysis of Ca/P weight-percent ratio in the resin-dentin hybrid zone were revealed by the EDAX,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moistened specimens from acid-conditioned groups, the resin penetrated about 3-$4{\mu}m$ into dentin and the denatured collagen smear layer was not present at the surface. The resin tag was formed to a thickeness of 3-$4{\mu}m$ at the upper part of dentinal tubule and compa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many lateral branching. 2. In the air-dried specimens from acid-conditioned groups, the resin penetrated about 2.0-$2.5\;{\mu}m$ into dentin and an upper thin black layer to a thickness of 30-35nm was identified between adhesive resin and demineralized collagen layer. The resin tag to have a diameter of $2.5{\mu}m$ wa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dentinal tubule. However the funnel shape of the tag was not notable compared to the moistened specimens. 3. In the remoistened specimens from acid conditioned groups, the resin penetrated about 2.0-$2.5{\mu}m$ into dentin and an upper black layer was not present. The resin tag at the upper part of dentinal tubule was formed less than $2{\mu}m$ and was weak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few lateral branching. 4. In the non-conditioned groups, the smear layer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0.5{\mu}m$ at dentin surface. However, the resin-dentin hybrid zone was not identified by TEM. The evidence of resin penetration into intertubular and intratubular dentin did not show. 5. All the acid-conditioned groups showed that the detected calcium and phosphorus weight percent ratios at the $2{\mu}m$ upper portion from the resin-dentin interface into the resin were much higher than that at the $2{\mu}m$ lower portion from the resin-dentin interface to dentin. (P<0.01).

  • PDF

Salsola속 Kranz구조내 광합성조직의 구조분화 (Structural Differentiation of Photosynthetic Tissue in Kranz Anatomy of Salsola Species)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4호
    • /
    • pp.367-374
    • /
    • 2001
  • Salsoloid Kranz구조를 지닌 다육질성의 Salsola komaravii의 두 단계 잎의 광합성 엽육조직에 대하여 LM 및 TEM에 의한 구조적 분화발달 양상을 연구하였다. 수분저장조직을 둘러싸는 내부 유관속세포층 및 외부 엽육세포층으로 구성된 두 층의 광합성조직은 어린 잎에서는 연결되어 발달하나 성숙한 잎에서는 불연속적으로 발달하였다. 중앙의 유관속 외 다수의 미세맥들은 대개 내부 유관속세포층과 접하여 형성되며 발달초기에는 이 두 세포층의 구조적 차이는 뚜렷하지 많았다. 이들 엽육조직이 신장 발달하면 franz구조 내 내부 유관속 세포층과 외부 엽육세포층은 세포형태, 세포소기관의 분포, 엽록체의 내부 특성, 세포벽의 비후, 원형질연락사의 발달양상 등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이며 구조적으로 분화하였다. 특히 이들이 지닌 엽록체의 미세구조 및 원형질 연락사 등의 특성은 생화학적으로 알려진 NADP-ME 유형과 거의 일치하였다. 이들은 세포특이성을 나타내는 C-4 광합성 효소의 발현양상을 조사하는 세포 면역화학법과 접목되어 연구될 것이다.

  • PDF

정상 및 atg5 유전자 제거 섬유아세포에서 자가포식체의 미세구조 및 이들의 정량적 분석 (Ultrastructural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autophagic vacuoles in wild-type and atg5 knockout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

  • 최수인;전푸름;허양훈;이진아
    • 분석과학
    • /
    • 제31권5호
    • /
    • pp.208-218
    • /
    • 2018
  • 자가소화작용은 세포 내 물질들을 이중막 구조의 자가포식체를 형성하여 라이소좀(lysosome)과 융합한 후 이들을 분해시키는 과정이다. 자가소화작용은 유전적, 세포적, 생화학 수준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왔지만, 자가포식체의 미세구조 분석 및 정량적 분석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초 자가소화작용이 진행되는 환경과 기아상태로 자가소화작용을 유도한 환경의 세포에서 각각 자가포식체 막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TG5가 결핍된 섬유아세포와 정상 섬유아세포에서의 자가포식체의 미세구조를 비교 관찰 하였다. 정상 섬유아세포에서는 초기 패고포어, 초기 및 후기 자가포식체, 오토라이소좀과 같은 자가포식체의 단계별 미세구조를 확인한 반면, ATG5가 제거된 섬유아세포에서는 이중막 구조가 완성되지 않은 자가포식체 구조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여 ATG5가 자가포식체 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다시 한번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한 자가포식체 미세구조 분석법을 활용하여 확장된 폴리글루타민을 가지는 N-말단 헌팅틴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헌팅턴병의 세포학적 모델에서 단계별 자가포식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흥미롭게도 헌팅틴 단백질이 발현된 세포에서 후기 자가포식체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헌팅틴 돌연변이 단백질 응집체 제거에 필요한 자가소화작용 활성화를 위해서 자가포식체와 라이소좀의 결합 단계를 촉진하는 것이 효과적일 가능성에 대해서 유추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전자현미경을 활용한 자가포식체의 단계별 미세구조 관찰 및 정량 분석이 다양한 인간 질병모델에 적용되고, 자가소화작용과 연관된 병리 메커니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라(Batillus cornutus) 외투막의 미세구조 (Mantle Ultrastructure of the Spiny Top Shell, Batillus cornutus (Gastropoda: Turbinidae))

  • 정귀권;박정준;진영국;주선미;이재우;정애진;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1-50
    • /
    • 2008
  • 소라 (Batillus cornutus) 외투막의 조직화학적 특성 및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소라의 외투막은 결합조직층을 단층상 피층이 위아래로 둘러싸고 있는 구조였으며, 상피층은 내장 기관계 쪽을 향하고 있는 내부상피층과 패각 쪽의 외부상피층으로 구분된다. 상피층에 의해 둘러싸인 결합조직층은 주로 교원섬유와 근섬유다발로 구성되며, 혈림프동이 발달하고 있었다. 외투막의 각정부 상피층에 분포하는 점액세포들은 산성 및 중성 점액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중간부와 가장자리의 상피층에 분포하는 점액세포들은 비황화 강산성의 당단백질 점액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투막의 두께, 상피층의 두께, 혈림프동의 면적은 각정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외투막의 상피층은 단층으로 원주형 상피세포, 섬모세포, 흡수세포, 분비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외투막 상피세포들은 원주형으로 장방형의 핵을 가지며, 자유면에는 미세융모들이 발달되어 있었다. 상피세포 사이에는 폐쇄띠, 폐쇄대와 수지상막구조로 연결되어 있었다. 섬모세포는 자유면에 섬모와 미세융모를 가지며, 세포질의 상부에는 다수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었다. 상피층에서는 흡수기능을 가지는 두 종류의 세포가 관찰되었다. 이들은 원주형으로 미세융모, 음소포, 미토콘드리아 그리고 전자밀도가 다양한 용해소체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소라 외투막에서는 네 종류 (A, B, C, D)의 분비세포를 구분할 수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단세포선으로 확인되어 대부분의 복족류와 이매패류의 외투막에서 보고된 선세포들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 PDF

Micro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engal (Neobalanocarpus heimii) Heartwood Decayed by Soft Rot Fungi

  • Kim, Yoon Soo;Singh, Adya P.;Wong, Andrew H.H.;Eom, Tae-Jin;Lee, Kwang H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68-77
    • /
    • 2006
  • The heartwood of cengal (Neobalanocarpus heimii) is known to have a high degree of decay resistance by virtue of its high extractive content. After 30 years in ground contact an utility pole of this tropical hardwood was found to be degraded only in the surface layers by cavity-forming soft rot fungi. The present work was undertaken 1) to characterize the degradation of cengal heartwood from the aspect of ultrastructure and chemistry and 2)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oft rot decay and its extractive microdistribution in wood tissues. The chemical analysis of cengal heartwood revealed the presence of a high amount of extractives as well as lignin. The wood contained a relatively high amount of condensed lignin and the guaiacyl units. Microscopic observations revealed that vessels, fibers and parenchyma cells (both ray and axial parenchyma) all contained extractives in their lumina, but in variable amounts. The lumina of fibers and most axial parenchyma were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filled with the extractives. TEM micrographs showed that cell walls were also impregnated with extractives and that pit membranes connecting parenchyma cells were well coated and impregnated with extractives. However, fungal hyphae were present in the extractive masses localized in cell lumina, and indications were that the extractives did not completely inhibit fungal growth. The extent of cell wall degradation varied with tissue types. The fibers appeared to be more susceptible to decay than vessels and parenchyma. Middle lamella was the only cell wall region which remained intact in all cell types which were severely degraded. The microscopic observations suggested a close correlation between extractive microdistribution and the pattern and extent of cell wall degradation. In addition to the toxicity to fungi, the physical constraint of the extractive material present in cengal heartwood cells is likely to have a profound effect on the growth and path of invasion of colonizing fungi, thus conferring protection to wood by restricting fungal entry into cell walls. The presence of relatively high amount of condensed lignin is also likely to be a factor in the resistance of cengal heartwood to soft rot decay.

HVEM에 의한 둥근잎꿩의 비름 (Sedum rotundifolium L.) 색소체의 결정체 구조 (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y of Structural Patterns of Plastid Crystalline Bodies in Sedum rotundifolium)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2호
    • /
    • pp.73-82
    • /
    • 2006
  • 둥근잎꿩의비름(Sedum rotundifolium L.) 엽육조직에 대한 초박절편 및 연속 후박절편의 시료를 제작하여 TEM 및 HVEM 고압전자현미경으로 연구하였고, 이로부터 수합된 색소체 결정체 구조의 tilting 및 연속절편 결과에 image processing을 실시하여 세포수준에서의 초미세구조 정보를 추출 3-D 입체구조로 재구현하였다. ${\pm}60^{\circ}$에서의 tilting과 $0.125{\sim}1{\mu}m$에 이르는 연속절편에서 결정체를 구성하는 미세한 관상요소(tubular elements)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결정체는 일시적으로 분화 초기단계에서 형성되어 $4{\sim}5{\mu}m$에 이르기까지 크게 여러 형태로 발달하나, 엽육조직이 성숙하면 이들 구조는 색소체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특성을 보였다. 결정체를 구성하는 관상의 요소는 절단각도에 따라 격자구조 또는 평행구조를 이루었으며, 이들 구조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정교한 구조적 pattern은 회절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결정체 내에는 규칙적으로 약 20nm의 격자간격으로 이루어진 초미세관상의 요소들이 수백-수천 개 무리지어 발달하였다. 색소체 내에는 이러한 결정체가 하나 이상 형성되기도 하며, 일부 결정체의 경우 결정구조의 말단부위가 국소적으로 융합 또는 분지되기도 하였다. 결정구조는 막으로 둘러싸이지는 않으나, 대부분 틸라코이드 막성계와 밀착하여 발달하였다. 일차적으로 수집된 HVEM 상의 2-D 결과는 디지털화 과정을 거친후 Imod와 3-D Max를 이용하여 3-D 입체구조로 재구현되었다.

소라, Batillus cornutus의 정자형성과정 (Spermatogenesis of the Spiny Top Shell, Batillus cornutus (Lightfoot, 1786) (Gastropoda: Turbinidae))

  • 정귀권;박정준;이재우;이정식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2호
    • /
    • pp.97-104
    • /
    • 2007
  • 본 연구는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소라, Batillus cornutus의 정자형성과정과 정자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소라는 2003년 5월에 전라남도 완도군 연안에서 잠수하여 채집하였다. 실험개체의 크기는 각고 $60.0{\sim}69.9\;mm$였다. 소라의 정소는 다수의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며, 이들 소낭 내에는 다양한 발달단계를 가지는 생식세포들이 존재하였다. 태사기의 제 1정모세포에서는 연접사복합체가 관찰되었다. 초기의 정세포에서는 골지체의 출현, 핵질 전자밀도의 증가 및 관상의 미토콘드리아가 확인되었다. 초기 정세포에서 관찰되는 아첨체과립은 전자밀도가 높은 작은 이형과립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정자변태과정의 중기부터는 핵의 후방에서 중심립이 확인되며, 이들 중심립을 중심으로 잘 발달되어진 미토콘드리아들이 위치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 아첨체과립은 응축되며, 얇은 막을 가진 첨체를 형성한다. 후기 정자변태과정 동안에 첨체는 길게 신장되어 원뿔모양으로 변화한다. 정자는 두부, 중편, 미부로 구성된다. 정자의 두부는 원형의 핵과 원뿔모양의 첨체로 구성되며, 미세섬유로 구성된 첨체기둥이 핵과 첨체 사이에 존재하고 있었다. 중편에는 5개의 미토콘드리아가 존재하고 있었다. 정자의 꼬리는 중심립에서 유래된 미세소관의 전형적인 "9+2" 구조를 하고 있었다.

  • PDF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난자형성과정에 관한 미세구조적 기재 (Ultrastructural Description on Oogenesis of the Melania Snail,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 (Gastropoda: Pleuroceridae))

  • 김은경;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5-151
    • /
    • 2009
  • 담수 복족류인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난자형성과정 동안 생식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난소는 나탑 후방부의 간췌장의 표면에 위치하며, 성숙시기에는 녹색을 나타내었다. 난소는 다수의 난자형성소낭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난자형성과정은 5단계로, 난원세포기, 난황형성전기, 난황형성개시기, 난황형성활성기, 성숙기로 구분하였다. 난원세포는 직경 $4-6\;{\mu}m$의 원형으로 커다란 핵을 가진다. 난황형성전기의 난모세포는 직경이 약 $20\;{\mu}m$이며, H-E 염색에서 세포질은 호염기성을 나타냈다. 난황형성개시기의 난모세포는 직경 $60-80\;{\mu}m$ 내외로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낮은 난황과립들을 가지며, 난병에 의하여 난자형성소낭에 연결되어 있었다. 난황형성 활성기의 난모세포는 직경 $100-120\;{\mu}m$로 난황과립의 전자밀도, 크기, 양이 증가하였으며, 세포질에는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조면소포체들이 발달하였다. 성숙기 난모세포의 세포질 대부분은 전자밀도가 높은 단백질성의 난황과립들로 채워져 있었으며, 난막에서는 길이 약 $1.1\;{\mu}m$의 미세융모가 관찰되었다.

  • PDF

한국산 동물로부터 크립토스포리디움의 분리 및 동정 II. 마우스로부터 Cryptosporidium muris의 분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ryptosporidium from various animals in Korea II. Identification of Cruptosporidium muyis from mice)

  • 이재구;서영석;박배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2호
    • /
    • pp.149-160
    • /
    • 1991
  • 한국산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크링토스포리디움(Cryptosporidium)의 대형 오오시스트 (C. muris)를 SPF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여 분변 내 오오시스트 배출 양상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위선 조직에서 발견되는 여러 발육기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마우스에 있어서 prepatent period는 평균 5.6일, patent period 63.0±1.6일, 오오시스트 배출 정점기는 투여 후 36.6±2.8일째, 그리고 일반적으로 30일부터 50일까지 20일간에 걸쳐 다수의 오오시스트가 분변으로 배출되었다. 이 원충의 거의 모든 발육기의 크기는 C. Parwum보다 커서 오오시스트 1.4배, 스포로조이트 2.4배, 메로조이트 1.6배, 수생식체 1.5배이었다. 그리고, 숙주세포에 부착되어 있는 부위는 C. parwum의 것과 현저하게 다르므로 모든 발육기에서 바같쪽이 숙주의 두터운 사상돌기로 둘러싸여 있는 전단 돌출부를 볼 수 있었다. 또한, 한국산 마우스 유래 오오시스트가 strain RN 66의 것보다 다소 작았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한국산 마우스 유래 크립토스포리디움을 C. maris라고 동정하였으며, Cryptesporidium tsuris(strain MCR)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 PDF

대두(大豆)의 수침시간(水浸時間)에 따른 조직(組織)의 미세구조(微細構造), 단백질(蛋白質) 특성(特性) 및 두부수율(豆腐收率)의 변화(變化) (Changes in Ultrastructure of Tissues, Characteristics of Protein and Soybean Curd Yield with Increased Soaking Time during Soybean Curd Processing)

  • 박용곤;박부덕;최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1-386
    • /
    • 1985
  • 본 연구는 두부제조시 수침시간을 연장시킴에 따라 두부수율이 증가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대두 조직의 미세구조와 초원심침강법에 의한 두유, 두부단백질 fraction의 특성 및 이행을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두의 수침시간을 5, 10, 24시간으로 연장시킴에 따라 두부수율은 각각 45.93%, 50%, 55.4%로 증가하였고, 고형분추출율, 응고율 역시 증가하였다. 2. 두유, 두부의 disc-gel전기영동에서 수침시간을 연장시킴에 따라 band수는 증가했고, 주(主)band의 두께는 더 굵었다. 그리고 두유의 고분자의 band가 두부로 많이 이행 하였다. 3. 두유, 두부의 crude 7S protein과 crude 11S protein은 전기영동에서 두유의 7S는 5개, 11S는 9개의 band가 나타났고, 두부의 7S는 4개, 11S는 8개의 band가 나타났는데 두유의 band중 주로 11S 성분들이 두부로 많이 이행 하였다. 4. 대두조직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에서 수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rotein body는 그 크기가 상당히 팽창했고 protein body사이에 산재해 있던 spherosomes의 수는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