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DN

검색결과 623건 처리시간 0.025초

거세한우 비육후기 농후사료 에너지 수준이 육질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ergy Level of Concentrate Feed on Meat Quality and Economic Evaluation in Finishing Hanwoo Steers)

  • 백봉현;홍성구;권응기;조원모;유영모;신기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447-45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nergy level of concentrate feed in finishing Hanwoo steers for 6 months before slaughter. Feeding trial was done with 2 treatment groups, IDN72 (72% of TDN in concentrate) and TDN74 (74 % of TDN in concentrate). The body weight (from 19 to 24 months) tended to be higher in TDN74 than in TDN72, but was not significant. Average daily gain of TDN74 was higher by 4.4 % in comparison to TDN7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ntrate, dry matter and TDN intake per I kg body weight gain between TDN72 and TDN74. And there was a tendency to improve crude protein intake per I kg body weight gain by increasing TDN content from 72 to 74 %. The dressing percentage tended to be higher in TDN74 than in TDN72, but was not significant. Salable meat percentage tended to be lower in TDN74 than in TDN72 because of higher body fat percentage in TDN74 than in TDN7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bling score, meat color, fat color, carcass weight, rib-eye area and back fat thickness between TDN72 and TDN74.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shear value, cooking loss, water holding capacity or moisture and protein contents of longissimus dorsi (LD) muscles between TDN72 and TDN74. Fat content of LD muscles tend to be lower in TDN74 than in IDN72 but without any significance. There was a tendency to improve juiciness and taste by feeding IDN74 rather than TDN72. Especially, tenderness of TDN74 was increased by 7.4% in comparison to TDN72 (p < 0.05). Gross income from TDN74 was higher than TDN72 by 5% The results suggest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growth performance, feed convers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between TDN72 and TDN74. The results also show that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clarify the energy level for finishing Hanwoo steers.

Delftia acidovorans로부터 Aniline 분해관련 유전자의 분리 (Cloning Genes Involved in Aniline Degradation from Delftia acidovorans.)

  • 김현주;김성은;김정건;김진철;최경자;김흥태;황인규;김홍기;조광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1
    • /
    • 2003
  • 아닐린을 분해할 수 있는 Deiftia acidovoran 51-A가 기존에 분리되어 아닐린 분해능이 우수함이 보고되었다. 이 균주로부터 아닐린 분해관련 유전자를 선발하기 위하여 Tn5-B20삽입 변이체들을 유도하여 영양요구형이 아니면서 아닐린을 분해할 수 없는 변이균주 D. acidovorans 10-4-2 균주를 선발하였다. Southern hybridization 결과 이 변이균주에는 Tn5-B20이 한 copy만 삽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변이균주의 Tn5-B20삽입의 인접 유전자들을 분리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아닐린 분해의 첫 단계에 해당하는 아닐린의 catechol로의 산화적 deamination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tdnQ, tdnT tdnAl 유전자들이 동정되었고 Tn5-B2O은 tdnAl의 바로 밑에 삽입된 것을 알 수 있었다. TdnA2 및 downstream의 유전자 기능을 상실하여 아닐린을 catechol로 전환하는 과정에 변이가 발생하고 따라서 아닐린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표현형을 가지게 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Tn5-B20 의 일부 DNA 조각을 probe로 Southern hybridization 결과 transposon 삽입이 대형의 플라스미드에 삽입된 것으로 나타나 tdn 유전자들이 pTDN51이라고 명명한 100-kb 이상의 대형 플라스미드에 위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D. acidovorans 51-A의 pTDN51상의 tdn유전자들이 아닐린의 분해에 관여함을 보여준다.

Comparison between predicted total digestible nutrients and actual total digestible nutrients using nutrient digestibility of rice straw and timothy in ruminants

  • Ryu, Chae Hwa;Lee, Seul;Kim, Byeonghyeon;Ji, Sang Yun;Jung, Hyunjung;Lee, Hyun-Jeong;Song, Jae-Yong;Baek, Youl Cha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2호
    • /
    • pp.333-342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calculated as Rohweder, NRC, and Waldo and Peiqiang methods and TDN measured as digestibility of in vivo appearance. Rohweder method showed that the TDN of rice straw and timothy were 54.32% and 57.79%, respectively. In NRC method, the digestibility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TDN of rice straw were 50.76% and 53.15%, respectively. When NRC method was applied in Timothy, the digestibility of NDF and TDN were 51.53% and 55.22%, respectively. Waldo and Peiqiang method calculated the results through the rumen in situ test. NDF digestibility of rice straw and timothy was 44.61% and 51.82%,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NRC method. In addition, TDN was predicted to be 48.85% for rice straw and 55.41% for timothy. In the in vivo apparent digestibility experiment, the digestibility of NDF and TDN in rice straw was 41.10% and 44.79%, respectively. In timothy, the digestibility of NDF and TDN were measured as 51.29% and 58.18%,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 series of studies, rice straw was found in Rohweder and NRC methods showed higher TDN than other methods. In this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in rice straw by measurement metho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imothy. Therefore, when evaluating the value of feed in order to provide roughage to ruminant, calculation methods must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addition, TDN should be considered to apply several evaluation methods instead of one method.

Effec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Level of Concentrate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mposition of Korean Hanwoo Steers

  • Ahn, Jun Sang;Son, Gi Hwal;Kim, Min Ji;Choi, Chang Six;Lee, Chang Woo;Park, Joong Kook;Kwon, Eung Gi;Shin, Jong Suh;Park, By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88-40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level of commercial concentrate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mposition of late fattening Hanwoo steers. A total of 28 ste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dietary groups; T1 (73.30% TDN), T2 (74.50% TDN), T3 (76.40% TDN), and T4 (77.10% TDN). Average daily gain (ADG) was slightly but not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2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Dry matter intake (DMI)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higher in the T2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arcass back fat thickness was thicker in the T4 and marbling score was higher in the T2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DN level of concentrates had no effect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longissimus muscle. The finding of this study indicate that less than 74% or greater than 75% TDN in the commercial concentrate did not contribute to improve ADG, FCR, marbling score;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the recommendable TDN level in the commercial concentrate for late fattening period was 74% to 75% in terms of growth performance and marbling score of Hanwoo steer.

두과 사료작물 종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

  • 윤기용;박준혁;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8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133-138
    • /
    • 2008
  • 1) 두과작물의 생초수량과 건물수량은 작물별로 차이가 컸다. 지상부는 Red clover가 생초수량 38.6 ton/ha, 건물수량 7.86 ton/ha로 가장 많았으며, 지하부 또한 Red clover가 생초수량 30 ton/ha, 건물수량 6.2 ton/ha로 가장 많았다. 2) CP 수량 및 TDN 수량은 Red clover가 각각 1 ton/ha, 4.6 ton/ha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NDF와 ADF는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서 Galega와 Cicer milk vetch가 가장 높았다. 또한 상대사료가치(RFV)는 공시품종 대부분이 100 이상을 나타내어 사료가치가 우수하였으며 Yellow blossom sweet clover, Crimson clover, Hairy vetch 등은 151% 이상으로 1등급에 속하였다. 3) 가축사육능력은 $K_{cp}$(2.18 head/ha/yr) > $K_{TDN}$(1.25 head/ha/yr) >K(0.04 head/ha/yr)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으며 이는 두과작물의 적은 수량으로 인한 결과라 판단되어진다. 4) 두과작물과 화본과작물 혼파시 $K_{cp}$ $K_{TDN}$ 모두 두과작물 평균 2.18, 1.25보다 높았다. 또한 Rye-Galega 8:2 비율, Rye-Winter pea 7:3 비율에서 건물수량, $K_{cp}$ $K_{TDN}$이 화본과 단파시보다 증가하여 혼파효과가 인정되었다. 특히 건물수량과 $K_{TDN}$ 관계에서 혼파 비율에 따라 건물수량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_{TDN}$은 모든 비율에서 증가하여 사료가치가 상승하였다.

  • PDF

보리와 헤어리 베치의 단, 혼파 재배 시 우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의 평가 (The Assessment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of Barley and Hairy Vetch Influenced by Sowing Methods)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9-230
    • /
    • 2008
  • 본 실험에서는 답리작으로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단파 혹은 혼파 재배 시 가축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양질의 유기 조사료 자원을 확보하고자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답리작으로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에 연 건물과 TDN 수량이 각각 ha 당 6.8과 4.4톤 및 4.5와 2.7톤으로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혼파해서 재배하는 경보리와 헤어리 베치의 단, 혼파 재배 시 우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의 평가 229 우의 연 건물과 TDN 수량 ha당 8.0 및 4.8톤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또한 보리 단파구의 조단백질 함량은 6.5%이었고 헤어리 베치의 단파구는 16.7%로 가장 높았으나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혼파 재배한 구가 13.8%로 보리 단파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상대조사료가치도 모든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2. 보리 재배 시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에서는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ha 당 각각 7.3과 4.6톤으로 인산과 칼리만 시비한 구(6.5와 4.3톤/ha)와 무비구(5.4와 3.7톤/ha) 보다 높았으며(p<0.05), 화학비료 대비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84와 82%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3.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혼파재배 시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에서는 질소, 인산 및 칼리질 비료의 화학비료 시비구 대비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90과 94%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액상우분뇨 시용구에서 $14.2{\sim}15.9%$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TDN 함량과 RFV도 각각 $60.7{\sim}61.8%$$112.2{\sim}118.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헤어리 베치의 연 건물과 TDN 수량은 액상우분뇨를 100% 시용한 구에서 ha 당 각각 5.3과 3.2톤을 나타내어 가장 높았고 또한 조단백질 함량(18.7%), TDN 함량(59.8%) 및 RFV(108.8)도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보리나 헤어리 베치를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까지 고려하여 보리와 헤어리 베치 등을 혼파재배하고 가축분뇨를 시용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며 유기 가축사양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유기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in Middle Region of Korea)

  • 박준혁;윤기용;박상수;노진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3-384
    • /
    • 2011
  • 본 실험은 중부지역 작부체계 확립을 위한 유기조사료 생산하여 중부 지방에 적합한 초종을 선별하고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가축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수행되었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결과 밭 토양에서는 밭 토양에서의 건물수량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10.9 $ton{\cdot}ha^{-1}$이었고 호밀+레드클로버와 호밀+헤어리베치에서 3.3 $ton{\cdot}ha^{-1}$로 가장 높았으며 호밀 단파구에 대한 상대수량이 높아 혼파효과가 입증되었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조단백질(CP) 함량은 6.2%, 상대사료가치(RFV)는 옥수수가 가장 뛰어난 96.6이지만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84.4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호밀+레드클로버에서 TDN(total digestible nutrient) 함량 59.7%로 다른 처리 구보다 높았다. 상대사료가치는 호밀+레드클로버가 83.8로 가장 높았지만 처리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밭 토양에서 가축사육능력은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수수${\times}$수단그라스교잡종이 4.27 head/ha/yr로 나타났다. 동계작물에서는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호밀+레드클로버가 1.74 head/ha/yr로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논토양에서 건물수량은 유기볏짚이 3.3 $ton{\cdot}ha^{-1}$이였고 호밀+레드클로버가 4.1 $ton{\cdot}ha^{-1}$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 논토양에서 유기 볏짚의 조단백질함량은 3.1%였고, 유기볏짚의 TDN 함량은 55%이었다. 호밀+레드클로버에서 TDN 함량은 59.7%로 다른 처리 구보다 높았다. 상대사료가치는 호밀+레드클로버가 83.8로 가장 높았지만 처리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논토양에서 가축사육능력은 유기볏짚이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 1.04 head/ha/yr. 호밀+레드클로버의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1.84 head/ha/yr로 가장 높았으나 전 처리 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중부지역의 최적 작부조합은 밭 토양에서 수수${\times}$수단그라스교잡종+(호밀+레드클로버)와 논토양에서는 유기볏짚+(호밀+레드클로버)을 최적의 작부체계라고 판단된다.

경운방법 및 비료종류가 호밀의 사초수량, 품질 및 생산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System and Fertilizer Type on the Forage Yield, Quality, and Production Cost of Winter Rye)

  • 김종덕;김수곤;권찬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115-122
    • /
    • 2006
  • 밭에서 호밀에 경운방법과 비료종류를 달리하였을 때 사초의 생산성, 품질 및 생산비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2×2=4요인 시험으로 경운방법은 경운과 무경운을 두었으며, 비료종류는 화학비료와 퇴비를 두었다. 호밀의 건물률, TDN 수량 및 CP 수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경운의 건물수량은 무경운보다 많았다(P<0.01). 한편 비료종류에서는 화학비료의 건물수량, TDN 수량 및 CP 수량이 퇴비보다 많았다. 호밀의 조단백질 함량은 무경운이 경운보다 높았으나((P<0.05), 비료의 종류에서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호밀의 NDF, ADF 및 TDN 함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호밀의 면적당 생산비는 경운이 무경운보다 많았으나, 원물, 건물 및 TDN 1kg당 생산비는 무경운이 많았다. 한편 비료의 종류에서는 화학비료의 면적당 생산비가 퇴비보다 많았으나 원물, 건물 및 TDN 1kg당 생산비는 화학비료가 적었다. 이는 경운과 화학비료가 무경운과 퇴비보다 사초수량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볼 때 경운방법과 비료종류는 호밀의 품질보다 사초수량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경운과 화학비료가 무경운과 퇴비보다 호밀의 1kg당 생산비가 적었는데 이는 경운과 화학비료의 사초수량이 다른 처리구보다 많았기 때문이다.

파종기와 예취시기가 답리작 호밀의 동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Date and Cutting Time on Feed Value of Rye in Paddy Field)

  • 김창호;채제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19-525
    • /
    • 1994
  • 충남 예산지방에서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할 때 파종시기와 채취시기가 사요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호밀의 조단백질, 가소화단백질, 총가소화양분(TDN)과 P, K, Ca, Mg 등의 무기물 그리고 에너지추정값(ENE), 필유에너지(NEL), 유지에너지(NEM), 증체에너지(NEG) 등의 에너지 함량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감소하고 ADF (acid detergent fiber) 와 NDF(neutral detergent fiber)는 증가하였다. 2. 단위면적당 조단백질, 가소화단백질, 총가소화양분(TDN), P, K, Ca, Mg등의 무기물 및 에너지추정값(ENE), 필유에너지(NEL), 유지에너지(NEM), 증체에너지(NEG) 등의 에너지 수량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으며 10월 5일에서 10월 25일까지의 파종기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3. 채취시기별로는 모든 파종기에서 조단백질은 개화후기 예취시, 가소화단백질 및 증체에너지 (NEG)는 출수기 예취시, 총가소화양분(TDN) 수량은 유숙기 예취시 제일 많았다. 4. 호밀의 채취적기는 관행사료가치 관점에서는 유숙기 무렵으로 판단되나 가소화단백질 및 증체에너지(NEG)측면에서는 출수기 무렵이 적기로 판단되었다.

  • PDF

답리작으로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단, 혼파 재배 시 우분뇨 및 화학비료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 평가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and Chemical Fertilizer on Productivity of Rye and Hairy Vetch by Single or Mixed Sowing)

  • 조익환;윤용범;박웅렬;황보순;이성훈;이주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3-330
    • /
    • 2008
  • 본 실험에서는 답리작으로 호밀과 헤어리 베치를 단파 혹은 혼파 재배 시 화학비료와 가축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양질의 조사료 자원을 확보하고자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답리작으로 호밀 단파구와 호밀 및 헤어리 베치 혼파구의 연 평균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TDN) 수량은 각각 ha 당 7.2와 4.0 ton 및 8.0과 4.4 ton으로 헤어리 베치 단파구의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4.5 및 2.7 ton/ha)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또한 호밀과 헤어리 베치의 혼파재배구(7.7%)가 조단백질 함량이 호밀 단파구보다 높았으며 TDN 함량과 RFV(각각 55.8과 79.4)도 높았다. 호밀재배 시 액상우분뇨를 100% 시용한 구에서는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ha 당 각각 7.4과 4.1 ton으로 인산과 칼리만 시비한 구(7.2와 3.9 ton/ha)와 무비구(5.5와 3.1 ton/ha) 보다 높았으며 화학비료 대비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각각 75.52와 78.97%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TDN 함량과 RFV도 무비구와 액상우분뇨가 다른 처리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호밀과 헤어리 베치 혼파재배 시 액상우분뇨를 100% 시용한 구에서는 ha 당 각각 7.6과 4.5 ton을 나타내어 질소, 인산 및 칼리 시비구 대비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79.50과 86.77%의 수준을 나타내었고 조단백질 함량은 액상우분뇨 시 용구에서 8.5%로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TDN 함량과 RFV도 각각 58.3%와 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호밀의 단파보다는 헤어리 베치와의 혼파가 건물수량은 감소하지만 사료가치의 개선 및 영양수량의 증가를 초래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화학비료 시비구 보다 액상우분뇨 시용으로 자원의 재활용, 조사료의 품질 개선 및 사료가치의 급감을 방지하여 수확시기 연장 등을 기대할 수 있었다.